View : 11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정연-
dc.contributor.author이경은-
dc.creator이경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445-
dc.description.abstract천년만세(千年萬歲)는 전통음악 중 줄풍류로 구성된 음악이다. 줄풍류곡인 현악영산회상을 모두 연주한 후 이어서 천년만세를 연주하는 것을 뒷풍류라고도 한다. 천년만세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세 곡을 일컫는다. 계면가락도드리는 계면조의 가락으로 된 도드리이고 양청도드리는 보허자에서 파생된 웃도드리를 다시 변조한 곡으로 평조의 가락으로 된 도드리이다. 우조가락도드리는 우조, 즉 평조의 가락으로 된 도드리이고 계면가락도드리와 대칭되는 이름으로 양청도드리 뒤에 이어지는 곡이다. 이 곡은 왕의 장수를 기원하며 만들어진 음악으로, 이로 인해 곡의 제목을‘천년만세’라 지었다고 한다. 본 논문은 천년만세의 선율에 관한 연구로써 해금, 가야금, 거문고 선율을 비교하여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로 구분하였다. 그 중에서 유사선율과 상이선율은 해금을 중심으로 가야금과 거문고의 선율진행과 음정관계를 알아보았다. 선율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 가야금, 거문고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계면가락도드리는 타령 장단으로 구성되었으며 한 장단 12박 중 3박을 하나의 기준 선율로 나누어 총 168선율을 분석하였다. 동일선율은 168선율 중 91선율이 출현하여 54.16%로 나타난다. 유사선율은 37선율이 출현하여 22.02%로 나타나고 상이선율은 34선율이 출현하여 20.23%로 나타난다. 양청도드리는 초장에서 6장까지 한 장단, 즉 4박을 하나의 기준 선율로 하고 7장은 12박이 한 장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3박을 하나의 기준 선율로 나누어 총 89선율을 분석하였다. 동일선율은 89선율 중 23선율이 출현하여 25.84%로 나타난다. 유사선율은 18선율이 출현하여 20.22%로 나타나고 상이선율은 26선율이 출현하여 29.21%로 나타난다. 초장에서 6장까지는 동일선율이 없다. 우조가락도드리는 한 장단에 3박을 하나의 기준 선율로 나누어 총 142선율을 분석하였다. 동일선율은 142선율 중 74선율이 출현하여 52.11%로 나타난다. 유사선율은 49선율이 출현하여 34.50%로 나타나고 상이선율은 17선율이 출현하여 11.97%로 나타난다. 둘째, 해금 선율을 중심으로 가야금, 거문고의 선율을 분석한 결과 계면가락도드리의 유사선율에서 다수 출현한 진행은 해금이 하행 진행시 가야금이 하행 진행하는 경우이다. 리듬형은 ‘4분음표 8분음표’의 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또한, 해금이 하행 진행 시 거문고가 장음으로 길게 뻗어 평행 진행하는 경우이고 리듬형은 ‘점 4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상이선율은 해금 선율 진행에 있어서 다수 출현한 진행은 해금과 가야금이 음을 달리하여 평행 진행하는 경우이고 1도, 2도, 3도, 4도의 음정관계가 나타난다. 리듬형은 ‘점 4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해금과 거문고는 해금이 하행 진행시 거문고가 평행 진행하는 경우와 해금이 평행 진행시 거문고가 음을 달리하여 평행 진행하는 경우 두 가지로 리듬형은‘점 4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양청도드리는 초장에서 6장까지는 한 장단 4박으로 선율 진행 분석이 어렵고, 따라서 음 비교만을 하였다. 7장의 유사선율은 해금 선율에 대한 가야금, 거문고의 선율이 1도와 8도로 시작해 3도의 음정관계로 진행하고 해금 선율이 상행 진행하는 경우 가야금과 거문고는 평행 진행으로 나타난다. 리듬형은 초장에서 6장까지는 ‘8분음표 8분음표 8분음표 8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나고 7장은 ‘4분음표 8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상이선율에서 해금 선율을 중심으로 가야금과 거문고와의 음정관계는 옥타브 차이가 나고 선율진행은 두 악기가 음을 달리하여 평행 진행으로 나타난다. 리듬형은 초장에서 6장까지는 ‘8분음표 8분음표 8분음표 8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나고 7장은 ‘4분음표 8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우조가락도드리의 유사선율에서 다수 출현한 진행은 해금이 하행 진행시 가야금이 하행 진행하는 경우이다. 리듬형은 ‘ 4분음표 8분음표’의 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해금과 거문고는 해금이 하행 진행 시 거문고가 평행 진행하는 경우이고 리듬형은 평행 진행이지만 동일한 음이 반복 출현하는‘4분음표 8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상이선율은 해금 선율 진행에 있어서 다수 출현한 진행은 해금이 하행 진행시 가야금이 하행 진행하는 경우이다. 리듬형은 ‘4분음표 8분음표’의 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해금과 거문고는 해금이 하행 진행 시 거문고가 하행 진행하는 경우이고 리듬형은 ‘4분음표 8분음표’패턴이 주로 나타난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천년만세의 계면가락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에서 나타나는 동일선율은 전체 선율의 각각 54.16%와 52.11%로 유사선율과 상이선율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청도드리에서 나타나는 상이선율은 전체 선율의 29.21%로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천년만세에서 각 악곡마다 선율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선율 분석 결과 해금 선율을 중심으로 가야금 선율은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거문고 선율은 <㣴>음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대부분 평행 진행을 하고 있어 상이선율에서 빈도수가 더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천년만세의 계면가락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의 선율형은 동일선율이 많이 나타나나 양청도드리의 경우는 상이선율이 많이 나타난다.;“Cheon nyeon manse” is composed of Julpungnyu of traditional music. When it is played consecutively after playing Yongsan hwesang, a Julpungnyu song, it is called behind pungnyu.“Chen nyeon manse” refers to three songs such as Gyemyeon Garak dodri, Yangcheon dodri, and Ujo Garak dodri.Gyemyeon Garak dodri is dodri with melody of Gyemyeon-jo and Yangcheong dodri is that with melody of Pyeong-jo, which is deviation from Bohuja which was changed in terms of its tone.Ujo Garak dodri is Ujo namely dodri composed of melody od Pyeong-jo and is symmetry of Gyemyeon Garak dodri, following after Yangcheong dodri. This song is composed to wish for king’s longevity and was titled “Chennyeon manse”(meaning ‘ long live to eternity.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melody of the song and classifies the identical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comparing the melodies of Haegeum, Gayageum, and Geomungo.Inter alla,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were classfied based on melody progression and note relations with Haegeum being a center. The results of melody analysis are folowing : First, as a result of melody comparison among Haegeum, Gyageum and Geomungo, Gyemyeon Garak dodri used Taryeong rhythm and I divided three beats out of 12 in one rhythm based on a standard melody, analyzing total of 168 melodies. Identical melodies occur 91 times out of 168 accounting for 54.16%. Similar melodies couur 37 time which is 22.02% and different melodies do 34 times making it 20.23% of the song. On Yangcheong dodri, I made a rhythm, composed of 4 beats, a standard melody from 1st chapter to 6th chapter and on 7th chapter, I made one rhythm of 12 beats, 3 beats of them being a standard melody and analyzed 89 melodies. Identical melodies appear 23 times out of 89 which is 25.84% Simlilar melodies occur 18 times being 20.22% and different melody 26 times accounting for 29.21%. From 1st ro 6th chapter there is no identical melody. In Ujo Garak dodri where I analyzed total of 142 melodies, 3 beats are a standard melody per a rhythm. Identical melodies occur 74 times in the total of 142 which is 52.11%. Similar melodies appear 48 times, 34.50% and different melodies do 17 times, being 11.97%. Second, as a result of Haegeum-based analysis between the melodies of Gayageum and Geomungo, in Gyemyeon Garak dodri, when we look into the progress where Haegeum and Gayageum, and Haegeum and Geomungo often appear in similar melody, in the case of Haegeum’s downward motion, Gayageum moved down ward and ‘crotchet quaver’ pattern is the main rhythm pattern. Also, when Haegeum moves downward, Geomungo had a parallel motion,‘point a quarter’pattern being the main one. In different melodies, when it comes to haegeum melody progression, the progression which often appears is parallel motion between Haegeum and Gayageum different in terms of notes with interval relationship of prime, second, tierce and quarte. For a rhythm pattern , ‘point a quarter’pattern mainly appears. For Haegeum and Geomungo, There are cases where when haegeum has downward motion, geomungo has parallel motion and other cases where with Haegeum having parallel motion, Geomungo, with different notes, has parallel motion, ‘point a quarter’pattern being the main one. For from 1st to 6th chapter of Yangcheon dodri, 4 beats being one rhythm made it hard to analyze, so I compared the notes only. For the similar melodies of 7th chapter, melodies of Gayageum and Geomungo to the melody of Haegeum started with prime and octachord and progressed with tierce. When Haegeum melody has upward motion, Gayageum and Geomungo have parallel motion. When it comes to rhythm pattern, from 1st to 6th chapter, ‘quaver quaver quaver quaver’is the main pattern and for 7th, ‘crotchet quaver ’pattern is. In different melodies, the interval relationship of Gayageum and Geomungo has an octave difference from Haegeum and in melody progression, the two instruments have different notes with parallel motion. About the rhythm pattern, From the 1st to the 6th ‘quaver quaver quaver quaver’pattern is the main one and in 7th chapter, ‘crotchet quaver’pattern mainly does. In similar melody of Ujo Garak dodri, the most frequent motion was the downward motion of Haegeum with Gayageum’s downward motion. The main rhythm pattern was ‘crotchet quaver’. Between Haegeum and Geomungo, as Haegeum has downward motion, geomungo has parallel motion. And ‘crotchet quaver’pattern with repeated notes is the main pattern for the rhythm pattern despite of being the parallel motion. In different melodies, for the melody progression of the Haegeum, the progression which appears frequently is the case where Haegeum has downward motion with Gayageum having downward motion. And ‘crotchet quaver’pattern mainly appears. For Haegeum and Geomungo, when Haegeum has downward motion, Geomungo has downward motion with ‘crotchet quaver’pattern being the main one. So far, with the results put together, I found that in Gyemyeon Garak dodri and Ujo Garak dodri from “Cheonnyeon manse”, similar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do not appear much, with identical molodies appearing with percentage of 54.16% and 52.11% repectively. But the different melodies appearing in Yangcheong dodri accounts for 29.21% of total melody, meaning that identical melodies and similar melodies do not appear much. Thus, I could fi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elodies in each melody are different. As the result of melody analysis, the melody of Gayageum progresses similarly to the Haegeum’s but in the melody of Geomungo, the note repeats frequently with most having parallel motion appearing more frequently in upward motion. Therefore, while in Gyemyeon Garak dodri and Ujo Garak dodri of “Cheonnyeon manse, identical melodies appear much, in the case of Yangcheon dodri, there are upward mo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Ⅱ. 본론 5 A. 천년만세 해금, 가야금, 거문고 선율비교 5 1. 계면가락도드리 6 2. 양청도드리 35 3. 우조가락도드리 70 B. 천년만세 해금선율을 중심으로 가야금, 거문고 선율진행 분석 97 1. 계면가락도드리 97 2. 양청도드리 100 3. 우조가락도드리 104 Ⅲ. 결론 108 참고문헌 111 부록악보 113 ABSTRACT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990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천년만세 선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해금 선율을 중심으로 가야금, 거문고 선율 비교-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melodies in “Cheonnyeon manse” : The Haegeum-based comparison between melodies of Gayageum and Geomungo-
dc.creator.othernameLee, Kyung Eun-
dc.format.pageviii, 138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곽은아-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