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놀이활용 자기표현훈련이 위축된 지적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 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놀이활용 자기표현훈련이 위축된 지적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 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on the Emotional Competency and Peer Relationships of Withdraw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Classrooms
Authors
박시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on withdraw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classroom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emotional competency of withdraw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graders in two different classrooms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each class composed of a withdrawn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31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exposed to 12 sessions of a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during the morning-activity hour and the creativity-building time slot in their school curriculum. The routine session was held 1~2 times in a week for fifty five minutes each.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children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chosen by their teacher during the same period. With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ssess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emotional competency and peer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withdraw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rithmetical change of the raw score of scale of emotional competency was examined based on their homeroom teacher’s 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emotional competen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sub-domains of emotional competenc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 but was not found in the change of emotional awareness,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the peer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sub-domains of the peer relationshi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the two domains. One is the domain to checking whether you have friends or not and faith, and the other is the domain of adaptation to friend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the persistence of relationships and the communal life with friends. Third, the withdrawn child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mprovement in the emotional competency than the withdrawn child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results in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s emotional competency, peer relationships and the withdrawn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s emotional competency. This study contributed to existing literature in that it implemented the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for a withdrawn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er peers in inclusive classroom.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ed the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to children in their school curriculum.;감정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특성으로 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적절한 자기표현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위축된 장애학생은 권리주장과 자기표현에 미숙하고 사회적 맥락에 대한 두려움으로 상황을 회피하려 하며 이로 인해 사회적 기술 및 상호작용과 타인에 대한 수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 부적절한 자기표현행동으로 인해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되고 이는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어려움을 야기한다. 따라서 적절한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위축된 장애학생에게 자기표현훈련을 제공한다면 원만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장애학생은 언어적 설명 위주의 자기표현훈련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놀이를 첨가하는 것이 아동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에게 익숙하며 중요한 환경인 학교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모두가 많은 일상을 함께 하며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는 곳이고 특히 학급은 더욱 밀접한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곳이므로 학교 안에 있는 학급은 자기표현을 익히고 연습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축된 지적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또래들을 대상으로 놀이를 활용한 자기표현훈련을 통합학급에서 실시하여 이들의 정서적 능력을 ‘초등학교 저학년용(1~2학년) 정서지능 검사’(문용린, 1997)로 측정하고 교우관계를 ‘교우관계 검사’(김형태, 1989; 문소영, 2007)로 측정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의 경우 정서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김경희,1998)를 사용하여 교사가 평정하여 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 D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위축된 지적장애학생 2명과 그 아동이 속한 통합학급의 또래 62명이다. 실험집단은 학급의 아침활동시간과 이어지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1~2회 55분 씩 12회기에 걸쳐 놀이를 활용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학년 교육과정에 따라 아침 자습 및 안전교육과 한자교육 그리고 담임재량의 활동으로 구성된 수업을 받았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적 능력, 교우관계에서 두 집단의 변화 정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적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평정 정서지능 평정 척도 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 능력의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 능력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정서표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실험집단 통합학급 또래들의 교우관계의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 통합학급 또래들의 교우관계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친구 유무와 신의, 친구간의 적응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제의 지속성, 친구와의 공동생활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의 전체 정서적 능력의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의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의 전체 정서적 능력의 점수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놀이를 활용한 자기표현훈련은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 능력과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적 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축된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 또래들 전체를 대상으로 중재를 실시하였고 아동들에게 흥미를 일으키고 활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놀이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안에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