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8 Download: 0

만 1세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 방안

Title
만 1세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ation of Block Play for One-Year-Olds
Authors
허은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n to activate block play for one-year-old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activation plan on the infants an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How can block play be activated? 2. How does the activation plan affect teachers and infants? Ten one-year-olds in Saessak Class and two teachers―the class teacher and researcher and the co-class teacher―at Jaram Childcare Center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free play of the infants and analyzed the block activity from March to August 2014 to identify problems, developed a solution through interviews with the co-class teacher and literature review, and made a specific plan to implement. The study started with problem identification and solution development, followed by the firs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e second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and assessment of the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 plan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14, 2014. To investigate the results, video clips, the researcher's journal, and field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with block play in Saessak Class for one-year-olds suggested the ne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give management based on a systematic plan, taking infants' movements and interest into account. Careful observation identified the reasons for individual infants' failing to take interest in block play and suggested the need of a teacher's good support. Second, a plan to solve the problems with block play at Saessak Clas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interest area was rearrang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giving more consideration to movements, and diverse types of play items in the area of block play were analyzed to make systematic management and replacement. After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infants took more interest in free exploration and block play and shifted from simple, repetitive operation play to diverse types of play; in this process, they felt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However, it was necessary to give the infants time to experience full exploration and play and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continued to express emergent interest naturally in the process of play and that such interest could be educationally valuable and maintain and expand their play.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er adjusted daily routines and left play items to give sufficient time for exploration and play, reflecting the assessment of the first implementation, and implemented an emergent curriculum reflecting the infants' emergent interest. Third, as for the effects of the plan to activate block play for the infants in Saessak Class on the infants and teachers, the infants could make a free exploration, participate actively in play, and feel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block play. They also cam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or interest actively and operate objects and participate in simple operation play crea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teachers could rediscover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physical environment creation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intervention in play. They could find out the way to intervene well in play through careful observation and, on this basis, improve their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physical environment creation, the importance of a teacher's support condition creation to activate block play for infants, the importance of a teacher's support to activate block play for infants, the importance of an emergent curriculum reflecting diverse methods and infants' interest, and so on.; 본 연구는 목적은 만1세 영아의 쌓기 놀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개선 방안이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2. 개선 방안이 교사와 영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자람 어린이집 만1세 새싹반 학급에서 실시했으며, 연구 대상은 새싹반 영아 10명과 공동 담임인 교사와 학급 담임이자 연구자를 포함해 교사 2명이다. 연구자는 영아들의 자유놀이를 관찰과 2014학년도 3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진 쌓기 활동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공동 담임교사와의 면담과 관련 문헌 고찰 등을 토대로 해결 방안을 모색한 후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9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로,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실행 및 평가, 1, 2차 실행 방안의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알아보고자 동영상 촬영, 연구자 저널, 현장 노트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1세 새싹반의 쌓기 놀이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영아의 동선 및 영아의 흥미를 고려한 물리적 환경의 재정비와 체계적인 계획을 갖춘 관리가 필요하였다. 또한 세심한 관찰을 통해 개별 영아가 쌓기 놀이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교사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둘째, 새싹반의 쌓기 놀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한 후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물리적인 환경의 재정비를 위해 동선을 조금 더 고려하여 흥미영역을 재배치하였으며, 쌓기놀이 영역의 다양한 놀잇감의 종류에 대한 분석을 거쳐 체계적으로 관리와 교체를 해 주었다. 1차 실행 경과 영아들의 자유로운 탐색과 쌓기 놀이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으며, 단순 반복 조작 놀이에서 다양한 형태의 놀이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영아들이 즐거움과 성취감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영아들에게 탐색과 놀이를 충분히 경험 할 수 있는 시간 제공이 필요하였으며, 영아들에게 발현적으로 나타나는 흥미가 놀이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흥미가 교육적으로 가치 있고 영아들의 놀이를 지속시키고 확장 시킬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하루 일과를 조절하고 놀잇감을 남겨두어 영아들에게 탐색과 놀이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였으며, 영아의 발현적인 흥미를 반영한 발현적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셋째, 새싹반 영아들의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들이 자유롭게 탐색하고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며, 쌓기놀이 과정에서 즐거움과 성취감을 경험 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경험이나 흥미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단순 조작 놀이에서 창의적으로 사물을 조작하고 놀이하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교사는 질 높은 물리적 환경 구성의 중요성을 재인식과 함께 교사의 놀이개입의 중요성 인식시킬 수 있었다. 세심한 관찰을 통한 적절한 놀이 개입방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질 높은 물리적 환경 구성의 중요성과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지원 환경 구성의 중요성과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지원의 중요성과 다양한 방법, 영아의 흥미를 반영한 발현적인 교육과정의 중요성 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