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만 5세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

Title
만 5세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
Other Titles
The ‘My Community Park' Project to Improve the Attitude of Five-Year-Olds toward the Environment
Authors
정해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project with a theme of a community park young children frequently used on a usual basis and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s fou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ojec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How is the My Community Park project implemented for five-year-olds? 2. What attitude do five-year-olds have toward th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y Community Park pro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8 five-year-olds at a public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children's activity situations were recorded, videotaped, or photographed to collect their activity results from September 22 to November 4,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by stages of the project approach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children's significant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found in that proces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My Community Park project for five-year-olds was implemented largely in three stages: after the pre-stage of a teacher's arrangement, the project started in the first stage, was implemented in the second stage, and was finished in the third stage. In the pre-stage of arrangement, the teacher selected the theme of a park,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erm and considering the children's interest, and made a theme network, an expected activity plan, and a resource list. In the first stage of start, the children's prior experiences with a park were shared and represented to make a common theme network for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In the second stage of implementation, the children were asked to visit the park so that they could become aware of its problems, try to solve the waste problem, and discover a dying cherry tree and treat it by inviting an expert. On the basis of these experiences, they also participated in several expanded activities, for example, by performing tree hospital play in the area of role play, by observing trees in the park to make a book and share it with other classes in the area of language, by reconstructing and expressing a play, by exploring and mapping the park, and by renaming the park and conducting a survey. In this process, they also satisfied their new curiosity by asking questions to a park manager to get answers. In the third stage of finishing, the children invited younger children's class to perform a play and had time to reflect on the entire process of the project. Second,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environment, as fou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y Community Park project for five-year-ol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eeling sensitive to the environment, getting an attitude of caring an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participating in the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terms of feeling sensitive to the environment, the children discovered beauty among several natural things in the park and expressed respect for nature as an organism. They have got an attitude of caring an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tried to visit plants in the classroom and within the kindergarten as well as trees requiring care and consideration at the park to take care of them for themselves through outdoor plays and those plays in the free-choice activity class. They also continued to expand their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book-based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with the aim of participating in the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e children share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found in the park with their peers and cooperated with them by participating spontaneously and continuously in the activity of picking up trashes as a solution they suggested. Such a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them to take interest in economizing on those items they frequently used in their life.; 본 연구는 유아들이 평소 자주 이용하는 우리 동네의 공원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그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프로젝트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태도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5세 유아의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의 전개과정은 어떠한가? 2. 만 5세 유아의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환경에 대한 유아의 태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 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 22일부터 11월 4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유아들의 활동 상황을 오디오 녹음 또는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유아들의 활동 결과물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본으로 기록하였고 연구절차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단계에 따라 기록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미 있는 환경에 대한 태도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는 크게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즉 교사의 사전 준비 단계를 거쳐, 프로젝트의 시작인 1단계, 프로젝트의 전개인 2단계, 프로젝트의 마무리인 3단계로 전개되었다. 먼저 사전 준비 단계에서 교사는 1학기 교육과정 분석과 유아들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공원’을 주제로 선정한 후, 주제망과 예상 활동안 및 자원 목록표를 작성하였다. 프로젝트의 1단계인 시작 단계에서는 공원에 대한 유아들의 사전 경험 공유 및 표상, 유아와 교사의 공동 주제망 작성을 하였다. 다음 2단계인 프로젝트 전개 단계에서 유아들은 공원 답사 후 공원의 문제점 인식하여,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죽어가는 벚나무 발견 및 전문가 초청을 통한 치료하기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확장된 활동들을 하였는데, 역할놀이영역에서의 나무병원놀이, 언어영역에서의 공원의 나무 조사하여 책 만들고 다른 반과 공유하기, 동극 재구성하여 표현하기, 공원의 모습 탐색하기와 지도 그리기, 공원의 새 이름 짓고 설문조사하기 등의 활동들이 그 예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롭게 생긴 궁금증들을 공원 관리자에게 질문하고 답변을 얻기도 하였다. 마지막 3단계인 프로젝트의 마무리 단계에서 유아들은 동생반을 초청하여 동극 공연을 하였으며, 프로젝트 전 과정을 돌아보며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만 5세 유아의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환경에 대한 감수성 느끼기, 환경에 대한 돌봄과 배려의 태도 갖기, 환경문제 해결에 참여하기와 같이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먼저, 환경에 대한 감수성 표현하기와 관련하여 유아들은 공원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자연물에 대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연을 생명체로서 존중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돌봄과 배려의 마음을 가지게 되었는데, 유아들은 바깥놀이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놀이를 통해 돌봄과 배려가 필요한 공원의 나무, 교실과 유치원 안에서 기르는 식물들을 직접 찾아 보살피고자 하였다.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에 참여하기 위해 유아들은 책을 통해 지속적으로 환경의 문제에 대해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며 관심을 확장시켜 나갔다. 또한 유아들은 자신들이 발견한 공원의 환경오염문제를 또래와 공유하였고 스스로 제안한 해결방안인 쓰레기 줍기 활동에 자발적․지속적으로 참여하며 또래와 협력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책임감은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건 아껴 쓰기에 관심을 가지는 데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