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9 Download: 0

중고등학교 영어교사의 수업 실태 및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

Title
중고등학교 영어교사의 수업 실태 및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lity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classroom instruction
Authors
허예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서 영어는 이제 필수가 되었으며 우리나라 역시 영어교육을 매우 중요시 여기며 영어로의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야함을 끊임없이 강조한다. 우리나라는 교실 밖 환경에서는 영어를 사용할 기회가 많지 않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이기 때문에 대부분 영어를 실질적으로 접하거나 배울 수 있는 곳은 교실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만큼 학생들에게 학교에서의 영어수업의 질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더 나은 영어수업을 위해서는 먼저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이 실제 교실 상황에서 어떻게 행해지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교실에서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현재 행해지는 수업과 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교사와 학생의 설문조사나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구(김현진, 이희경, 2006; 박현일, 2007; 양은영, 2010; 이의갑, 2005; 피상호, 2010; 한승희, 2007)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수업 녹음이나 수업관찰을 통한 직접적인 연구는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 수업이 어떻게 행해지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사 6명, 고등학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교과서 한 단원을 수업하는 것을 녹음하고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수업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교과서에서 어떤 영역을 채택‧생략하여 가르치는지 알아보고 각 영역을 가르치는데 얼마나 시간을 할애하는지 살펴봄으로써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 발음의 각 언어 영역을 어떠한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는지를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신의 수업 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업 실태를 각각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영어수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채택‧생략 영역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대부분 교과서의 일부 영역을 생략하고 있었다. 하지만 쓰기 영역을 생략한 1명의 교사를 제외하고는 중학교 교사들은 모두 주요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전부 다루고 있었던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 2명의 교사를 제외하고 모든 교사들이 교과서에서 읽기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생략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 시간에 교사들이 어떤 영역을 가장 비중 있게 다루는지 분석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읽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중학교의 경우 읽기가 3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문법 20%, 듣기 17%, 말하기 16%, 어휘 13%, 쓰기 4%, 발음 1%의 순이었다. 중학교 교사들은 교과서의 영역을 골고루 다루는 편이었는데 그 중 상대적으로 쓰기와 발음 지도가 소홀히 행해지고 있었다.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읽기 지도 시간이 8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어휘 8%, 문법 6%, 듣기 4%, 말하기 2% 순이었고 쓰기와 발음 영역을 다루는 교사는 없었다. 셋째, 교사들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 발음의 각 영역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업하였는지 분석한 결과, 듣기 지도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모두 학생들에게 CD-ROM으로 듣기 지문을 들려주고 질문에 답하게 하거나, 교사가 듣기 지문을 해석, 분석해주고 지문에 있는 표현이나 단어를 설명해주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말하기의 경우에는 CD-ROM으로 대화문을 들려주고 질문에 답하게 하거나 역할 맡아서 묻고 답하게 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읽기 지도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교사가 문장 단위로 본문을 해석해주고 중요한 문법, 어휘, 표현을 설명해주는 방식과 본문 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풀고 정리하게 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쓰기 지도의 경우 중학교 교사들은 질문을 읽고 영어 문장을 쓰고 발표시키기, 문장의 빈칸 채워 넣기, CD-ROM으로 예시 문장 들려주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교과서의 쓰기 영역을 다룬 고등학교 교사는 없었다. 문법 지도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 모두 문법 규칙을 설명하고, 예문 읽고 해석하고, 배운 문법 규칙을 토대로 연습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어휘 지도는 어휘의 뜻, 품사, 동의어, 반의어 등을 설명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발음 지도는 중학교 교사들만 실시하고 있었는데 발음을 따라하게 하고 문장을 큰 소리로 읽고 해석하게 하였으며 다른 발음들과 비교하여 설명해주었다. 넷째, 교사들을 수업 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중학교 교사들은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협동학습 중심의 수업, 의미 위주의 수업, 반복적인 문장 말하기 연습과 문법 번역식 수업을 진행한 교사로 나눌 수 있었다. 반면 고등학교 교사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교사 중심의 문법 번역식 수업과 협동학습 수업을 진행한 교사 유형이 있었다. 다섯째, 설문지를 통해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과서에서 특정 영역을 생략하는 이유로 중학교 교사들은 수업시간 부족과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쉬운 난이도라고 하였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입시와의 관련성 부족과 수업시간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다른 단원을 수업할 때도 채택하고 생략하여 가르치는 영역이 동일하다고 하였으며, 1명의 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들이 수업에서 필요에 따라 교과서 내용을 일부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교과서로 수업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 모두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과 실제 생활에서 쓰일 수 있는 진정성 있는 활동이 부족한 점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교과서의 활동과 난이도가 수능과 괴리감이 있는 점이라고 응답하였다. 수업시간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업방식으로는 중학교의 경우 협동학습과 발표 수업, 고등학교의 경우 강의식 수업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교사들이 한국어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영어로 수업을 하지 않는 이유는 학생들의 수준차이로 인해 영어로 수업을 했을 경우 이해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며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수능과 맞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영어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실려 있는 모든 내용을 전부 다루지는 못하더라도 되도록 모든 언어 기능을 골고루 다룰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둘째, 단순히 문법 번역식으로 문장을 해석해주고 문법을 설명하는 방식의 수업이 아니라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이 전반적인 영어 실력 향상에 큰 역할을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며, 연수를 통해 교사들에게 각 언어 기능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구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참고하여 교과서를 제작할 때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각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난이도의 언어 입력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영어로 수업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English has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Korea also recognizes English learning a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 and consistent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etting, the quality of English classes in schools is vital to students’acquisition in Englis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se classes,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hose classes are actually conducted and textbooks are used in schools. However, previous research in forms of surveys or interviews cannot sufficiently identify how real lessons run exactly in classroom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English classes in both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Korea. This study is executed by recording one lesson of the textbook and conducting a survey of 16 English teachers, which consist of 6 middle school teachers and 10 high school teacher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ers use textbooks by examining the language skills that teachers include and omit from the textbook for class use and the amount of time assigned to teach each language skill. Second, this study examined what method teachers employ to teach each language skill(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and wha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their classes are by utilizing questionnair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sults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identify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classes in Korea and any potential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teachers included and omitted some parts of the textbooks. In middle school level, all teachers dealt with all major language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in their classes, except for one teacher who omitted the writing part. On the other hand, all high teachers, except two of them, omitted all sections except reading. Secondly,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emphasized the reading part the most. In case of middle school, reading took up 30% of the total amount of teaching time, whereas grammar accounted for 20%, listening 17%, speaking 16%, vocabulary 13%, writing 4%, and pronunciation 1% of the time. As shown, almost every section was treated fairly equally, but writing and pronunciation were taught lightly. However, in case of high school, reading occupied80% of the total amount of teaching time, while vocabulary 8%, grammar 6%, listening 4%, and speaking 2%, in descending order. But nobody taught pronunciation. Thir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eaching method used for teaching each language skill in class showed that some types of methods are frequently used for each language skill. In the case of listening,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used 'listening to CD-ROM and answering the questions' and 'translating listening script and explaining expressions in the text' methods. In the case of speaking, the methods of 'listening to CD-ROM and answering the questions' and 'role-play'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addition to this, the methods of teaching reading, 'grammar translation method' and 'answering the questions' were used the most by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other method that middle school teachers used the most for teaching writing were 'sentenced-based writing', 'filling in the blank', and 'listening to the example writing', but none of the high school teachers dealt with writing. On the other hand,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mostly adopted the methods of 'explaining the rules', 'reading and translating sentences' and 'answering the questions' when teaching grammar. In the case of vocabulary, 'explaining the meaning and part of speech' method was used the most. In the case of pronunciation, only middle school teachers taught it and they used 'repeating after the sounds', 'reading sentences aloud', and ‘comparing to the other sounds' methods. Fourthly, teachers could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styles.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teachers whose classes are based on communication-based using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whose classes are meaning-based, and the teachers whose classes are based on audio-lingual and grammar translation methods. In the case of high school,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teachers whose classes are based on the teacher-centered grammar translation methods and the teachers whose classes ar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Finally,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When asked for the reasons why teachers omitted some parts in the textbook, in case of middle school, teachers replied that it was due to the lack of class time and the difficulty level for students. In case of high school, teachers replied that the materials were not related to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class time was not enough. Most teachers acknowledged that the sections they included and omitted for teaching were consistent all the time, and it was desirable for them to omit some sections in textbooks when necessary. According to responses by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most difficult part of teaching with textbooks was the lack of interesting and authentic activities from the books. In addition, at high school level, there was also gap between textbook activities and university entrance exam requirements. Moreover, teaching methods that middle school teachers used the most were cooperative learning and presentation, while high school teachers used lecture almost exclusively. Most importantly, most teachers talked in Korean, not English, when they taught. That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students' individual English level, and it was not the appropriate method for university entrance ex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deal with all components of English learning in their clas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do not cover allparts of the textbook necessarily. Second, as opposed to grammar translation method, student-centered lessons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this method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es. Third, teachers need to introduce various teaching methods to suit each language skill as part of training programs. Fourth, the problems of current textbooks should be addressed when constructing new versions of textbooks. When creating a textboo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correct any previous problems in the structure of the textbook. Fifth, as students exhibit different levels of English abilities, teachers should make an adequate effort in using suitable level of language input that can balance the needs of all students. Lastly, the importance of delivering lessons in English is highly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