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박나현-
dc.creator박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2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97-
dc.description.abstractThe primary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English teachers have focused on improving students' four skills: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Under the circumstances, vocabulary learning became a minor part of English education. However, for developing these four skills and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essential to learn vocabulary knowledge. In particular, the acquisition of collocation knowledge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part of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ffective methods for learning collocations. One of the useful learning methods is collocation tasks. However, the studies of collocation tasks were insufficient. Thus, research on collocation task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s. For this study, 11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receptive treatment group, productive treatment group and combination treatment group. Moreover,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s o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each group of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high proficiency group and low proficiency group. The students learned 48 target collocations with different types of collocation tasks. The control group learned the target collocations in traditional method focusing on definitions.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learned the collocations through collocation tasks.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e receptive treatment group, conducted receptive tasks: multiple choice questions, English collocations into Korean meanings translation and finding the meanings of the collocations. The students in productive treatment group learned the target collocations with productive tasks: fill-in-the-blanks, Korean into English translation and correcting the wrong collocations.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learned the collocations by carrying out integrated tasks consisting of both productive and receptive methods. Eight class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In the first class, students took pre-test consisted of receptive test and productive test. The post-test was implemented in the end of the class to examine the short term effect of learning. Moreover, the post-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After eight weeks, delayed retention test was given to students to examine delayed effects of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showed higher scores on the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It indicates that all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were effective to learn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combination tasks, in common with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tasks, were effective to lear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productive collocation test showed that the productive task, regardless of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was the most effective task among three collocation tasks for learning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Second, in the delayed retention test, it i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o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learning lasted.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among the effects of the three collocation tasks. In terms of delayed receptive collocation learning, the receptive collocation task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mbination collocation tasks for the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to learn the receptive collocation knowledge. In terms of long-term productive collocation learning, the productive tasks were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collocation tasks for both high-proficiency and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For the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the productive collocation tasks were much more beneficial than the receptive collocation tasks for the maintenance of the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Finally, the result of post-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learning collocation through collocation tasks gave positive influence to most students in terms of raising their interest and increasing their self-confidence.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learning collocation with collocation tasks. Most participants preferred learning collocation through collocation tasks to studying the collocations with traditional methods. However, some students had problems with conducting the collocation tasks because of a shortage of time.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from the study. First, utilizing the collocation tasks can be helpful to students for successful collocation learning. Thus, learning collocation knowledge through receptive tasks, productive tasks and combination tasks is recommended. Secondly, the type of collocation knowledge and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must be considered. For learning receptive collocation knowledg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would be effective. In terms of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it would be beneficial to use productive collocation tasks for both high-proficiency and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Last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dequate collocation tasks the class.;영어 교육의 주된 목적은 학생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영어 교사들은 영어의 네 가지 기술 즉,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에 초점을 맞춰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어휘 학습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었다. 그러나 영어의 네 가지 기술과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어휘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즉, 외국어를 습득할 때 가장 근본이 되는 요소는 어휘인 것이다(Thornbury, 2002). 특히, DeCarrico(2001), Lewis(2000) 등의 학자들이 주장했던 바와 같이 어휘를 안다는 것은 개별 어휘가 아닌 그 어휘와 빈번하게 함께 사용하는 어휘들을 아는 것이라는 점에서 연어를 학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연어를 학습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야 한다. 현재 연어 및 연어 학습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연어의 개념 정리 및 분류에 대한 것이다. 연어 학습에 관한 연구에는 연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의 효과, 개별 어휘 학습과 연어 학습이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어 학습이 영어의 네 가지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실 수업 현장에서 효과적인 연어 학습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어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연어 과제를 활용하는 것이라는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어 과제가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어 과제가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연어 학습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어 과제 유형에 따른 연어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제 집단과 세 실험 집단을 정하였다. 실험 집단은 수용적 연어 과제 집단, 생산적 연어 과제 집단, 혼합 연어 과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연어 과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중간고사 점수를 기준으로 각 집단을 상위와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은 정규 수업 시간에 진행되었으며 각 집단은 서로 다른 연어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용적 연어 과제 집단은 연어와 연어 영어 뜻풀이 연결하기, 선다형 연어 문제, 목표 연어를 모국어로 번역하기 등으로 구성된 수용적 연어 과제를 통하여 연어를 학습하였다. 생산적 연어 과제 집단은 문맥에 맞는 연어 쓰기, 잘못된 연어 찾아 바로 고치기, 연어 뜻을 목표 연어로 번역하기 등의 생산적 연어 과제를 수행하였다. 혼합 과제 집단은 수용적 과제와 생산적 과제를 혼합한 형태의 연어 과제를 수행하였다. 통제 집단은 명시적인 정의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어휘 수업 방식을 바탕으로 제작한 학습지로 연어를 학습하였다. 학생들이 학습한 목표 연어는 정규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과서에서 선정하였다. 목표 연어는 Benson, Benson과 Ilson(1997)이 제시한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를 모두 포함하였다. 또한 문법적 연어 분류를 위해서는 Lewis(2000)와 Thronbury(2006)의 연어 유형 분류를 참고하였다. 어휘적 연어 중 동사와 명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연어와 문법적 연어 중 동사와 전치사로 이루어진 연어를 각각 23개와 25개를 선정하여 총 48개의 연어를 선정하였으며, 학습자들은 한 차시에 8개의 연어를 학습하였다. 실험은 총 8차시로 진행되었다. 1차시에는 사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6차시에 걸친 모든 실험 수업이 끝난 후 8차시에는 사전 평가와 동일한 평가지로 사후 평가가 실행되었다. 그리고 연어 과제가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설문지를 실행하였다. 또한 연어 학습의 지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수업이 종료되고 8주가 지난 후에 지연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수용적 연어 과제, 생산적 연어 과제, 혼합 연어 과제 모두 연어의 이해력과 표현력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어의 이해 지식과 표현 지식 사이에 전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용적 연어 과제, 생산적 연어 과제와 마찬가지로 혼합 연어 과제도 연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어 표현력 학습에는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 생산적 연어 과제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집단에서는 세 실험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생산적 연어 과제, 혼합 연어 과제, 수용적 연어 과제 순으로 연어 표현력 학습에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능숙도가 연어 학습의 지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어 이해력 학습의 지연 효과에 세 과제 유형을 통한 학습의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집단의 장기적인 연어 이해력 학습을 위해서는 혼합 연어 과제보다 수용적 연어 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어 표현력 학습의 지연 효과 결과를 보면, 세 연어 과제 유형이 모두 장기적인 연어 표현력 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어 과제별 학습 지연 효과의 정도 차이를 살펴보면, 혼합 과제와 생산적 과제는 통제 집단의 과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용적 연어 과제와 생산적 연어 과제가 모두 연어 표현력 지연 학습에 큰 차이 없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하위 집단의 연어 표현력 학습 지연 효과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생산적 과제를 통한 연어 표현력 학습의 지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으로 봤을 때 연어 이해력 학습 보다는 연어 표현력 학습의 학습 효과 유지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연어 표현력 향상을 위한 학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어 과제를 활용한 연어 학습이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태도에 미친 영향을 보면, 연어 과제를 통한 연어 학습이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자신감 부분에서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어 과제를 통한 연어 학습이 학생들의 연어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수용적 연어 과제, 생산적 연어 과제, 혼합 연어 과제를 활용한 연어 수업을 진행하여 학습자들의 연어 지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어 지식의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를 고려하여 알맞은 연어 과제를 활용해야 한다. 연어 이해력 지식의 학습을 위해서는 수용적 연어 과제, 생산적 연어 과제, 혼합 연어 과제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어 표현력 지식을 위한 학습에서는 생산적 연어 과제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므로 생산적 과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위 집단의 학생들에게 과제 유형에 따른 연어 표현력 학습 효과의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생산적 연어 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연어 표현력 학습의 효과는 연어 이해력 학습의 효과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효과의 유지가 어렵다는 사실을 통해서 연어 이해력 지식에 대한 반복적인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어 과제의 복잡성과 연어 과제 수행 시간을 고려하여 교실 수업에 알맞은 연어 수업을 설계해서 수업 현장에서 효과적인 연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A. 어휘 4 1. 어휘 지식 4 2. 어휘 이해 지식과 어휘 생산 지식 5 B. 연어 8 1. 연어의 정의 및 특징 8 2. 연어의 유형 10 C. 어휘 및 연어 학습 16 1. 어휘 접근법 16 2. 연어 학습의 필요성 18 3. 어휘와 연어 과제 20 D. 선행 연구 25 1. 어휘 학습과 어휘 과제에 관한 연구 25 2. 연어 학습과 연어 과제에 관한 연구 28 Ⅲ. 연구 방법 31 A. 연구 문제 31 B. 연구 대상 32 C. 연구 자료 33 1. 목표 연어 선정 33 2. 사전․사후 평가지 36 3. 연어 과제 38 4. 사후 설문지 44 D. 실험절차 45 1. 실험 이전 절차 45 2. 실험 수업 절차 47 3. 실험 이후 절차 48 4. 자료 분석 49 E. 연구의 제한점 50 Ⅳ. 연구결과 분석 및 논의 52 A.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52 1.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이해력 학습에 미치는 영향 52 2.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표현력 학습에 미치는 영향 57 B.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학습의 지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 61 1.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이해력 학습의 지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 61 2. 연어 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표현력 학습의 지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 67 C. 연어 과제를 통한 연어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72 1. 연어 과제 유형 따른 정의적 영역의 차이 비교 72 2. 연어 학습 및 연어 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74 Ⅴ. 결론 81 참고문헌 85 부록 92 ABSTRACT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1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연어 과제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연어 학습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s-
dc.creator.othernamePark Na Hyun-
dc.format.pagexiii, 156 p.-
dc.contributor.examiner양혜순-
dc.contributor.examiner한종임-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