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상급자의 피드백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상급자의 피드백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upper level feedback on writing efficiency in Korean writing education
Authors
공유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upper level’s feedback on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of feedback giver and receiver, by separating feedback activity, emphasized in process-centered writing educ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vel. Second Language Writing Educ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cess-centered writing.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necessity of feedback activit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process-centered writing by researchers, this research aims to prove the effect of feedback activity, using the learner’s level difference, in Korean Writing Class on learner’s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see the effect of feedback activity between upper and lower level learners on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of feedback giver and receiv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analyze the effect of feedback activity between upper and lower learners on recognition and attitude of feedback of learners. This research selected 10 upper-class learners and 10 lower-class learners learning Korean as foreigners from certain college department located in Seoul. To confirm the research questions, pre/post writing materials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and through pre/post survey research, recognition and attitude of learners were analyz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7 weeks, separated into pre-feedback activity, feedback activity, and post-feedback activity. For pre-feedback activity, pre-writing and pre-survey was assessed, and feedback preliminary learning and preparation experiment were performed. For feedback activity, feedback activities of feedback givers were given twice, and receivers rewrote the writing in reflection of feedbacks given them. After feedback activities, post-writing and post-survey were performed.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 measured the credibility of assessors through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v22.0 statistic program to measure and analyze the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of learners. Also,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o analyze the change of reactions and attitude of learners before and after feedback activitie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feedback activities between upper and lower learners had meaningful effect on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of feedback giver and receiver. Based on the analysis of writings before and after feedback activities, overall writing scores of feedback giver and receiver were higher than that of before feedback activities, and even in subsections of writing, the scores of before feedback activity were greater than that of after. Also, the difference between scores of before and after feedback activities of feedback receivers was greater than the scores of giver. It shows that feedback activity does have meaningful effects on both feedback giver and receiver, and meaning-centered feedback activities are more effective on receivers. Second, the feedback activities between upper and lower learners had positive effect on recognition and attitude of learners about feedbacks. To assess the change of recognition and attitude of learners about feedbacks, pre and post survey researches were done to analyze the results. As the result, before the feedback activities, more than half of givers showed positive reactions to feedback activity but only 50%of receivers showed positive reactions. But after the feedback activity, same number of givers showed positive reaction, which shows that there was no change of perception in receiving help, but 70% of feedback receivers showed positive reactions, which showed that feedback activity does bring positive changes to recognition and attitude of learners about feedback activity. With many other researches that emphasize the meaningful effects of feedback activity on feedback giver and receivers as basi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parts that feedback activities were done between upper and lower learners, and not only one side of feedback activity was assessed but both sides of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were assessed. If more diverse and active researches are performed to provide more credible and general education methods, with this research as basis, feedback activities between learner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would play great parts in writing proficiency improvement of Korean learners.;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에서 강조하는 피드백 활동을 상·하급 학습자들의 수준 차를 이용하여 실시한 후에 상급자의 피드백이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2 언어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를 강조하고 있고 과정 중심 쓰기에서는 협력학습을 통한 피드백 활동이 필수적이라는 여러 연구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학습자 간의 수준 차를 이용한 피드백 활동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상·하급 학습자 간 피드백 활동이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며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상·하급 학습자 간 피드백 활동이 학습자들의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한 대학 기관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 가운데 상급반 학습자 10명, 하급반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쓰기 자료를 평가하여 쓰기 능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았고, 사전·사후 설문지 조사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았다. 실험은 7주차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피드백 활동 이전 절차, 피드백 활동 절차, 피드백 활동 이후 절차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피드백 활동 이전 절차에서는 사전 쓰기와 사전 설문지 조사를 하였고 피드백 선행 교육과 예비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피드백 활동 절차에서는 피드백 제공자들의 피드백 제공 활동을 2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피드백 수용자들은 제공받은 피드백 내용을 반영하여 2차에 걸쳐 다시 쓰기를 실시하였다. 피드백 활동 이후에는 사후 쓰기와 사후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크론바 알파계수(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채점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SPSS v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한 후에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정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피드백 활동 전과 후에 학습자들의 반응과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하급 학습자 간 피드백 활동은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피드백 활동 전과 후의 작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의 전체적인 작문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가 더 높아졌고 피드백을 한 쓰기 세부 항목에 있어서도 사후 작문 점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드백 제공자보다는 수용자의 사전, 사후의 점수 차이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 활동은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의미 중심의 피드백 활동은 수용자에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둘째 상·하급 학습자 간 피드백 활동이 학습자들의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피드백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설문지와 사후 설문지 조사를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피드백 활동 전에는 제공자들은 피드백 활동에 대해 과반 수 이상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데 반해 수용자들은 50%만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피드백 활동 후에는 피드백 제공자들은 사전과 사후에 같은 수의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인식에 변화가 없었고 피드백 수용자들은 피드백 활동 전과 비교해 봤을 때 피드백 활동 후에 70%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피드백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간 피드백 활동이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는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하급 학습자 간 수준 차를 이용하여 피드백 활동을 하였다는 것과 피드백 제공자와 수용자 한쪽의 결과만 분석한 것이 아니라 양 집단 모두의 쓰기 능력 향상 정도를 검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피드백에 대한 더욱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신뢰도 있고 일반화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간 피드백 활동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