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6 Download: 0

사이버대학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Title
사이버대학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Other Titles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through Diagnosis of Teaching Competency in Cyber University.
Authors
안상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사이버대학은 2001년 평생교육법에 의한 학위인정 기관으로서 출범한 후 10여 년이 지나면서 고등교육법상의 정규대학으로 전환되며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평생학습시대에 발맞추어 전문 지식의 획득이나 학위취득을 원하는 많은 학습자들이 강의를 수강하고 있다(강민석, 임연욱, 박종선, 이영태, 2013; 임연욱, 이옥화, 2008). 사이버대학에서의 교수-학습 과정은 대부분 온라인상의 가상공간에서 진행된다. 즉,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상에서 강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질의응답, 퀴즈, 토론과 같은 학습활동을 한다는 점, 비동시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점,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등에서 전통적인 형태의 일반 대학과 차별화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사이버대학의 특징 및 발전 가능성을 고려할 때 사이버대학만의 교수-학습 환경에 맞는 질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의 주요 인적 주체자인 교수자와 학습자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나, 학습자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교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특히 사이버대학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에는 무엇이 있는지, 교수자들이 어떤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실천하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한승연, 임규연,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사이버대학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여 교수역량 요구도를 도출하고 그 우선순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승연, 임규연(2012)의 연구에서 전문가 델파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사이버대학 교수역량 항목을 설문지로 재구성하여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교수역량 요구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사이버대학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3. 개별 교수자의 교수역량 영역별 요구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사이버대학 1개교를 편의표집 하여 해당 사이버대학에서 강의 및 수업운영을 담당하는 교수자에게 이메일 발송 및 직접 배부 방식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 전 교수역량 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토가 있었으며, 설문 후에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통해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설문지 배포 후 최종적으로 111명의 중요도와 실행도 자가진단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SPSS 18.0 for Windows로 종속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영역별, 문항별 교수역량 요구도 점수를 도출하고 점수의 크기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초점의 소재 모형을 통해 영역별, 문항별로 사분면의 위치를 확인하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상 도출된 Borich 요구도 및 초점의 소재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도가 높게 측정된 항목을 확인하여 교수역량 요구도의 최우선순위, 차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별 교수자 2인을 선정하여 각 교수자가 자가진단한 중요도와 실행도 및 요구도 점수를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는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문항별로는 2개 문항을 제외한 문항들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실행도보다 중요도가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기본소양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자료탐색 및 활용, 수업계획 및 조직 영역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행도는 자료탐색 및 활용, 강의실 운영, 기본소양 역량의 순서로 높은 실행도를 보였다. 반면에 학습환경 조성 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교수자 개인의 능력과 철학 등과 같은 개인적 차원의 역량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음을,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지원하는 촉진자로서의 역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와 실행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역량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도출된 역량은 앞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게 측정되었던 기본소양 영역으로 나타났다. 기본소양 영역은 Borich 요구도 점수가 높게 나왔을 뿐만 아니라 초점의 소재 모형 그래프에서도 1사분면에 위치하여, S사이버대학 교수자들이 해당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업설계 영역 역시 Borich 요구도가 높게 측정됨과 동시에 초점의 소재 1사분면에 위치하여 요구도가 높은 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의 및 콘텐츠개발 영역, 자료 탐색 및 활용, 강의실 운영 영역 등은 Borich 요구도가 낮으나 초점의 소재 4사분면에 위치하여 요구도 판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항목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별 교수자 2인의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교수자별로 서로 다른 요구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교수는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의와 운영에 익숙한 편으로 수업운영과 관련된 영역의 요구도가 낮은 반면에, 강의 자료를 수집하거나 실무 중심의 수업설계에 대한 요구도를 높게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교수는 700명가량의 대단위 강좌를 운영하면서 과제 피드백이나 컨설팅 등에 부담을 가지고 있어 해당 항목에 대한 요구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B교수는 다수의 영역에서 본인의 실행도를 높게 평가하였으나, 실무자 관찰평가를 통해 실제 수행 정도보다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개별 교수자 요구도 확인은 개개인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 및 개선의 실질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대학 교수자 및 교수역량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는데 기여하였으며, 사이버대학 교수자가 인식하는 역량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향후 교수역량 개발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역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별 교수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수 개개인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개별 특성에 맞는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사이버대학을 편의표집하고 설문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교수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때문에 설문지 회수율이 낮은 편이고 표본 특성으로 인한 오류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을 확대하여 보다 다수의 사이버대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설문 문항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의 측정은 교수자의 자가진단으로 이루어져, 주관적 판단에 의해 측정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교수역량의 요구도를 측정함에 있어 당사자인 교수자의 자가진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개별 교수자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스스로를 실제보다 관대하게 또는 낮게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교수 인터뷰, 동료 교수자 평가, 학습자 만족도 확인 등 보다 다면화된 자료 수집을 통해 교수역량 및 요구도를 해석하는 데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수역량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고려된다. 자기효능감이나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과 같은 교수자의 지식, 기술, 태도 및 강의유형, 전공, 직급 등의 외적 요소가 교수역량 요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각 변인들과 교수역량 요구도의 관계를 밝히는 것도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Cyber university has been growing in number and quality since it started in 2001. Instruction and learning process in cyber universit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one. A lot of learners take the courses of cyber university to keep pace with the Age of Life Long Learning. Considering benefits and potential of cyber university, quality management adjusted to cyber university is required. In spite of this importance,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about cyber university, especially about faculties and their teaching competency. So, This research tried to study about faculties' teaching competency in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value of teaching competency which faculties themselves are aware of and to know the priority of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y of the professors in the cyber university. Based on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elements to develop the program which can allow faculties to encourage self-development and teaching competency. To attain the purpose described abov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value which the faculties in the cyber university realize? 2. What is the priority in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y in the cyber university? 3. What is the needs of each individual faculty's teaching competency?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 cyber university and 111 faculties' data includ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value are used. Data analysis was done by t-test,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Based upon these two model, the highest needs in teaching competency were prioritized. In the last step, two faculties were selected, comparing their importance, performance value and needs. The main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value except two items in questionnaire. Also, performance values are measured higher than importance value in most of the areas. In the importance value section, basic accomplish ar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followed by searching and using of materials for teaching, and instructional planning. On the other hand, in the performance value section, searching and using of materials for teaching is shown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followed by classroom management and basic accomplish in order. However, composi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s measured as the lowest area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value. Second, according to the needs of teaching competency, basic accomplish is the most prioritized area. This is determined by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Instructional design is also measures high in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so instructional design also indicates the high needs of the important competency. Development of lecture and contents, searching and using of materials for teaching, classroom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determining the needs assessment because they indicate the low needs level in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hile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Third, this research fou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individual faculty by comparing two faculties. A faculty is familiar to the instruction and management, which leads to the low needs of classroom management, while resulting in the high needs of working-level instructional design. B faculty manages the big class and has feeling of responsibility, which is reflected in the needs. In addition, B faculty is assessed himself high in performance value, but compared to observation assessment, B faculty thinks himself more positive than practitioner. Based upon all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ccumulate the study findings about faculties in cyber university and teaching competency. Second, this research figures out teaching competency that faculties should consider first by understanding the priority that faculties in cyber university are aware of. Thir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aculty's needs i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The limit of the current study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