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0 Download: 0

노인과 초기성인의 음성 및 음악 조건별 음역대 비교

Title
노인과 초기성인의 음성 및 음악 조건별 음역대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Voice Range and Voi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Authors
홍혜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을 통해 노인과 초기성인의 음성과 음악 조건별 음역대를 조사하고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및 광주시 소재의 노인복지회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 44명과 서울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 대학생 59명으로 총 103명이었다. 음성특징과 음역대를 조사하기 위해 Praat으로 음성녹음이 실시되었는데, 첫째 /a/ 모음 연장 발성에 따라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 음고(Pitch), 강도(Intensity), 주파수 변동률(Jitter), 진폭 변동률(Shimmer) 및 배음대 소음비(Noise to Harmonic Ratio: NHR) 등 총 6가지 지표를 분석하였고, 둘째, 음정 제시 조건에 따라 음역대를 수집하였으며, 셋째, 편안한 노래부르기 시 첫음의 음고를 수집하였다. 실험은 독립된 공간에서 연구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행 되었으며 대상자 선별을 위해 노인그룹에는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 version: MMSE-K)와 벡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가, 초기성인 그룹에는 BDI 검사가 사전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남성 노인의 경우 초기성인에 비해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고가 모두 높아졌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 반대로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고 외의 음질과 관련해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Jitter, Shimmer 및 NHR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음정을 듣지 않고 음역대를 조사했을 때는 성별에 관계없이 노인그룹에서 C3에서 E4로 조사되었으며 초기성인은 A#2 ~ A#4로 나타났다. 음정 제시 유무에 따라 음역대를 조사한 결과 초기성인은 음정을 들을 때 최저음과 최고음이 더 확장되어 발성하였으나 노인의 경우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편하게 노래를 부르도록 유도했을 때 남성 노인은 C3 ~ D3으로 조사되었으며 여성 노인은 D#3 ~ E3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성인의 경우 남성이 A#2에서 시작하였던 것에 반해 여성은 G3 ~ G#4로 노인에 비해 초기성인의 성별 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 결과는 노화에 따른 노인의 음성 및 음역대 변화를 객관적인 수치로 입증하였으며, 편안하게 유도한 노래부르기 과제에서 음역대 변화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역대는 추후 노인대상 음악치료 임상 현장에서 곡 선정과 조성 선택에 있어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oice range and voi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healthy elderly and young adults. Participants were 44 older adults aged from 60 to 85 years and 59 university students aged from 19 to 25 years.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produce and sustain the sound of the vowel /a:/ as long as they can. The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vocalize in a pattern of pitch scale to examine the possible highest pitch to the lowest pitch in two conditions; with and without pitch cues presented by a pre-played scale on a keyboard. Lastly, they sang two familiar songs, ‘Arirang’and ‘Happy birthday’starting the first note of each song at comfortable pitch. All of speech and singing during experiment were recorded and further analyzed using the Praat program. Maximum and minimum pitch and six parameters such as maximum phonation time, pitch, intensity, jitter, shimmer, and noise to harmonic ratio (NHR)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in the voice range and voi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In terms of the voice range depending on the gender and the age group, while the maximum and minimum pitch of male participants was higher in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young adults group, the minimum pitch of females was lower in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young adults group. In details, voice range for elderly adults when they vocalized without pitch cues was from C3 to E4 and for young adults from A#2 to A#4. Indices for the vocal quality, such as jitter, shimmer, and NH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When presented with pitch cues, while young adults could expand their voice range, the elderl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Furthermore, when they were asked to sing familiar songs at comfortable pitch, the starting pitch of the elderly men and the elderly women was respectively C3 and D#3, which were different from young adults comparing that they were A#2 and G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ging affects the voice range and voice-related characteristics. The gender may also be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the voice of aging population. Objective information on speech and singing voice-related profiles of the elderly in comparison with young adults presents clinical implication for singing-based activities, in terms of how a song would be selected and modulated to the appropriate ke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