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xa pellets (K9) and nei-guan (P6) acupressure in reducing nausea and retching, and improve blood pressure, pulse rate, oxygen saturation, and stabilize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the cholelithiasis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e listed three groups, i.e., the control group,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E1: K9 acupressure group)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E2: P6 acupressure group). The study subjects were the patients with cholelithiasis who underwent ERCP and were recruited from January to April 2014 in a tertiary hospital in Bundang, in Gyeonggi-do province in Korea. A total of 59 cholelithiasis patients who underwent ERCP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The subjects in the E1 group (n=20) received K9 acupressure with moxa pellets and the E2 group (n=19) received P6 acupressure with wrist bands for 3 times. control group (n=20) received routine nursing care. The korean version of the Rhodes INVR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nausea and retching. Evaluations included degrees of severity of nausea and vomiting based on NRS tool, blood pressure, blood pressure, pulse rate, oxygen saturation, and the measurement of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by cutaneous electrogastrography. The data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from each subject (pretest and 2 post-test time points). Statistical analyzed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using SPSS windows 21.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1-1. The score for perceived the levels of nausea & retching among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12.34,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E1 group (p<.001) and E2 group (p<.00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nausea & retching after ERCP. 1-2. The severity of nausea among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28.10, p<.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E1 group (p<.001) and E2 group (p<.001)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the severity of nausea after ERCP. Hypothesis 2. 2-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mong three groups after ERCP (F=2.18, p=.076). 2-2. The heart rate among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2.80, p=.029).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E2 group (p=.015) showed significant decreasing heart rate after ERCP. 2-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xygen saturation among three groups after ERCP (F=0.31, p=.870). 2-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inant frequency (F=17.678, p<.001), dominant power (F=4.153, p=.022), normal bradygastria (F=45.540, p<.001), tachygastria (F=48.265, p<.001), gastric arrhythmia (F=398.801, p<.001) and among three groups after ERC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E1 group and E2 group showed significant stabilization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after ERCP. Based o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K9 acupressure with moxa pellets & P6 acupressure with wrist bands are considered to be safe and easy-to-apply intervention of release nausea, retching and stabilization of heart rate and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cholelithiasis patients undergoing ERCP in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is represented as a finite exemplar of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and warrants research to expand avenue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ho undergoing gastroscopy in future. The study findings would considerably advance the field and it may help healthcare providers worldwide.;본 연구의 목적은 내시경적역행성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 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ERCP)을 시행하는 담석증 대상자에게 서암봉을 이용하여 자극을 주는 방법(K9)과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P6)을 적용한 중재가 오심과 구역, 혈압과 심박동수 및 산소포화도, 위의 전기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담석증으로 의식하 진정 ERCP를 시행 받는 성인으로 하였다. 내시경실 입실 순서대로 서암봉 자극군 20명, 내관지압군 19명, 대조군 20명으로 각각 배정하였다. 서암봉 자극군에게는 서암봉을 수지요법의 상응점인 K9, 양손의 네 번째 손가락에 검사 전 30분부터 회복실 퇴실 시까지 부착하였고, 내관지압군에게는 손목밴드를 검사 전 30분부터 회복실 퇴실 시까지 양쪽 팔목 내관부위에 부착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기존에 시행하고 있던 간호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중재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 전과 회복실 퇴실 시, 회복실 퇴실 1시간 후 병실에서 오심과 구역의 정도 및 오심의 강도를 측정하였고, 생리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혈압, 심박동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으며, 검사 전과 회복실 퇴실 1시간 후 병실에서 위전도를 통해 위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세 군 간의 오심과 구역 반응 및 생리적 반응 차이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사후분석은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세 군 간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결과 분석은 Paired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오심과 구역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1-1 가설인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오심과 구역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 간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2인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오심의 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 간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2가설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생리적 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2-1 가설인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혈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일부 지지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과 시점 간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2인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심박동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 간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3 가설인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산소포화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일부 지지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과 시점 간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4 가설인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위의 전기적 활동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검사 전과 회복실 퇴실 1시간 후 세 군의 위의 전기적 활동 측정 결과 주주파수와 주파워, 위빈맥, 위부정맥에서 유의한 감소가 보였고, 정상 위서파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서암봉 자극군과 내관지압군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위의 전기적 활동이 느리게 나타났고, 정상 위서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위부정맥의 비율이 낮아졌다. 또한 리듬이 규칙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암봉 자극법과 내관지압은 대조군에 비해 ERCP를 시행하는 담석증 대상자에게 오심과 구역을 감소시키고, 심박동수 및 위의 전기적 활동을 정상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가설 6 D. 용어정의 7 II. 문헌고찰 10 A. ERCP를 시행한 담석증 대상자의 오심과 구역 10 B. 서암봉 자극법의 효과 16 C. 내관지압의 효과 20 III. 연구방법 27 A. 연구 설계 27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기간 28 C.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30 D. 연구 도구 31 E. 연구 절차 35 F. 자료분석방법 42 G. 연구의 제한점 42 IV. 연구 결과 43 A.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 43 B. 가설 검정 47 V. 논의 69 VI. 결론 및 제언 76 A. 결론 76 B. 제언 80 C. 간호학적 의의 81 참고문헌 83 부록 100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47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서암봉 자극법 및 내관지압이 ERCP 대상자의 오심과 구역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xa Pellets and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and Retching of the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y.-
dc.creator.othernameKim, Ji Hyun-
dc.format.pagevii, 113 p.-
dc.contributor.examiner강윤희-
dc.contributor.examiner차지영-
dc.contributor.examiner황진혁-
dc.contributor.examiner강현철-
dc.contributor.examiner김옥수-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