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1 Download: 0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 개발 및 효과

Title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and Its Effects on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Authors
황선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for the elderly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given intervention. The study design was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effec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completing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a specialists’ discussion panel and pilot study were performed. Trial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were conducted at 2 senior community colleges and 3 senior citizen centers. A separate meeting area was set up in order to avoid the dissemination of the given nursing intervention to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8 and the control group had 29 participants with a total of 57 participants enrolled in the study.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consisted of group training and self-training for 8 weeks. The nursing intervention was performed daily by the participant and also performed weekly as a group. Saliva production, orofacial strength, and swallowing function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 swallowing capacity of each participant. Resul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were measured a total of 3 times in 4 week intervals(before intervention, 4 weeks after intervention, 8 weeks after intervention). Saliva production was checked by using KISO-WeT Tester, orofacial strength was evaluated by using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 and swallowing function was indirectly assessed by 2 parameters including a subjectively perceived swallowing function and dysphagia risk assessment too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was included in lectures regarding dysphagia and also in a 8-week training performed individually on a daily basis and weekly as a group.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arm up session(deep breathing, stretching neck and shoulders), main session(salivary glands stimulation exercise, tongue-lips-cheeks exercise, swallowing practice, vocal practice and singing), and post session(deep breathing).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liva produ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mong the pre intervention, 4 weeks after intervention and 8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group-time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saliva produc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e data have shown the salivary production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rofacial strength(tongue elevation pressure, tongue lateralization pressure, tongue protrusion pressure, lip compression pressure, and cheek compression pressu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ngue elevation pressu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e intervention, 4 weeks after intervention and 8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group-time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orofacial strength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e data have shown the orofacial strength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wallowing function(subjective perceived swallowing function and dysphagia risk)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mong the pre intervention, 4 weeks after intervention and 8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group-time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swallowing func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e data have shown the swallowing function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has shown improved saliva production, orofacial strength, and swallowing function with use of the nursing intervention. Th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in the elderl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our community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for seniors.;연하기능은 생명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능력일 뿐만 아니라,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노인의 경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연하기능이 저하되어 연하장애 위험도가 높아진다. 연하장애는 흡인성 폐렴, 영양 부족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지만, 효과가 검증되고 활용하기에 용이한 중재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개발된 중재가 타액 분비량, 구강안면 근력,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의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구성한 초안을 전문가 4인의 자문과 예비적용 대상자 3인의 의견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으며, 개발된 중재의 효과 검증 단계에서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도시 소재의 2개 노인대학, 3개 경로당에서 모집하였으며, 65세 이상 연하장애 위험이 있는 여성노인으로서 실험군 28명, 대조군 29명으로 총 57명이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타액 분비량, 구강안면 근력, 연하기능을 중재 전,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에 측정하였다. 타액 분비량은 흡습지(KISO-WeT Tester)를 이용하고, 구강안면 근력은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연하기능은 본인이 생각하는 연하기능의 상태를 NRS(Numerical Rating Scale) 점수로 표현한 ‘주관적 연하기능 상태’와 연하장애 위험 평가척도 개정판을 적용한 ‘연하장애 위험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타액 분비량, 구강안면 근력, 연하기능의 중재 전,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 변화 검증을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개발된「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는 총 8주 동안 그룹 훈련과 자가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다. 중재는 노인의 연하장애에 대한 이론 교육을 포함하며, 세부 내용은 준비운동(심호흡, 목 운동, 어깨 운동), 본 운동(타액 분비 운동, 혀 운동, 입술 운동, 볼 운동, 삼킴 운동, 발성 운동, 가성발성 운동, 노래 부르기), 정리운동(심호흡)으로 구성하였다. 2.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를 적용하여 중재 전,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에 측정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타액 분비량은 집단 간 차이, 시간에 따른 차이, 집단과 시간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본 중재의 효과로 실험군의 타액 분비량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3.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를 적용하여 중재 전,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구강안면 근력으로 혀의 거상 압력, 혀의 외측화 압력, 혀의 내밀기 압력, 입술의 압박 압력, 볼의 압박 압력을 측정하였다. 혀의 거상 압력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그 외 모든 항목에서 집단 간 차이, 시간에 따른 차이, 집단과 시간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본 중재의 효과로 실험군의 구강안면 근력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4.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를 적용하여 중재 전,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하기능으로 주관적 연하기능 상태와 연하장애 위험도를 측정하였다. 집단 간 차이, 시간에 따른 차이, 집단과 시간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본 중재의 효과로 실험군의 연하기능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는 실험군의 타액 분비량 증가, 구강안면 근력 증가, 연하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연하기능 증진 간호중재」는 재가노인의 연하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가 검증된 중재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