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자세안정성 원리에 기반한 환자이동기술 개발 및 효과검정

Title
자세안정성 원리에 기반한 환자이동기술 개발 및 효과검정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atient transfer techniques and assessment of their effectiveness based on postural-stability principles for the nursing home’s direct care-giver
Authors
마예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직접돌봄제공자의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 신체이동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 개발과 효과검정으로 나누었다. 개발 단계는 직접돌봄제공자의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현황조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요양시설 내 환자대상 신체이동 방법의 종류 및 내용, 동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상해 발생 위험도가 높고 빈번히 사용하는 동작 중 「침대머리로 올리기」「옆으로 눕히기」「침대에 걸터앉기」「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의 4가지 신체이동기술 동작을 선정하였다. 동작의 세부 내용은 전문가 협의를 통해 구인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각 동작의 수행과정을 영상 촬영하여 시작, 중간, 마무리자세의 구간별로 질적 분석하여 내용 타당도를 높였다.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의 효과검정을 위한 실험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약 1개월 간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로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총 20명이다. 실험에 사용한 신체이동기술 방법은 노인요양시설에서 환자 체위변경 및 신체 이동에 직접돌봄제공자가 수행하는 방법, 요양보호사 표준교재에 제시된 환자 신체이동 방법,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 방법이다. 세 가지 신체이동기술 방법을 수행하는 연구대상자의 중부 승모근과 다열근의 근활성도와 견관절, 주관절, 요추, 슬관절의 각도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작업부하와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 세 가지 신체이동기술 방법 수행 시 최대 힘을 발휘하는 중간자세 구간에서 측정된 근활성도(중부 승모근과 다열근) 값과 영상자료를 이용해 측정한 관절각도(견관절, 주관절, 요추, 슬관절 각도)를 분석하였고, 주관적 작업부하 및 통증 정도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21.0 program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 가지 신체이동기술 방법에 따른 근활성도, 관절각도, 주관적 작업부하, 그리고 통증의 차이는 Friedman test를 하였고, 사후검정으로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하였다. 세 가지 신체이동기술 방법에 따른 4가지 신체이동기술 동작의 근활성도, 관절각도, 주관적 작업부하 및 통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활성도 분석결과, 승모근 근활성도는 4가지 모든 신체이동기술 동작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3이 신체이동기술 방법 1, 2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다열근 근활성도는「침대머리로 올리기」「옆으로 눕히기」「침대에 걸터앉기」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3이 1, 2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관절각도 분석결과, 「침대머리로 올리기」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3에서 슬관절 각도가 유의하게 낮아 자세를 낮춘 안정된 자세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옆으로 눕히기」에서는 견관절 각도가 유의하게 낮아 어깨 벌림 각도가 작고 신체중심에 가깝게 유지하며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침대에 걸터앉기」경우 신체이동기술 방법 3에서 견관절과 허리 각도가 유의하게 높아 상체를 세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주관적 작업부하 분석결과, 「침대머리로 올리기」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3이 1, 2와 비교하여 허리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옆으로 눕히기」 경우 허리와 어깨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2와 3이 신체이동기술 방법 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4) 통증 분석결과, 「침대머리로 올리기」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3이 1, 2와 비교해 어깨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옆으로 눕히기」에서는 허리와 어깨에서 신체이동기술 방법 2, 3이 신체이동기술 방법 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 개발된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실제 사용하는 신체이동기술과 요양보호사 표준교재에 제시된 신체이동기술과 비교하여 어깨와 허리의 근육을 적게 사용하고, 관절을 안정적으로 굴곡하였으며, 주관적으로 느끼는 주관적 작업부하 및 통증정도가 일부 수행동작에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은 임상 및 지역사회 기관에서 환자를 돌보는 직접돌봄제공자의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stural-stability patient transfer techniques for the nursing home’s direct care-giver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forementioned aims. This test was conducted from October 11, 2013 to November 10, 2013 and all study participants was qualified care helpers working at a nursing home in the province of Gyeonggi-do. In the development stage, an analysis of patient transfer methods regarding types, contents, and motions was performed by way of survey and literature study. Ultimately, the following four types of patient transfer have been selected: 「Lifting towards the bed’s head board」 「Turning to lateral position」「Upright sitting on the bed」and「Transfer from wheel chair to bed」. The soundness of the movement’s process was verified by expert consultation. During this examination, the four types of patient transfer were practic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three methods: The habitually used patient transfer methods – including the change of the patient’s posture – by the study participants (hereinafter the “Method 1”), the patient transfer methods according to care-giver standard textbooks (hereinafter the “Method 2”), and a method developed by the author ensuring a postural-stability (hereinafter the “Method 3”). By doing so, the study participants’ muscle activity and the shoulder joint, the elbow joint, lumbar, and knee joint angle as well as the subjective work load and pain were measured. The hereb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rogram SPSS Statistic 21.0. To differentiate the muscle activity, joint angle as well as the subjective work load and pain, the Friedman Test was executed; the ex-post analysis was held by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concerning muscle activity comes to the result that the activity of the trapezius is - during all four types of patient transfer - lower while practicing the Method 3 compared to the Method 1 and 2. The activity of the multifidus during「Lifting towards the bed’s head board」「Turning to lateral position」and 「Upright sitting on the bed」is comparatively lower when performing the Method 3. 2. The analysis as to joint angle shows that, while performing the Method 3, 「Lifting towards the bed’s head board」has a lower knee joint angle and, therefore, a lower but more stable position, whereas 「Turning to lateral position」demonstrated that the angle of the shoulder joint was lower, whereby the angle of the shoulder spread was also lower and the body movement was closer to the center of gravity. 「Upright sitting on the bed」revealed to have a higher angle of the shoulder joint and the waist and, as a consequence of these events, the lumbar, responsible for lifting the arms, showed a small movement curve. 3. The analysis relating to subjective work load concluded that「Lifting towards the bed’s head board」showed a lower waist position while operation the Method 3 compared to the others.「Turning to lateral position」appeared to have a comparatively lower waist and shoulder position when performing the Method 2 and 1. 4. The pain analysis comes to the conclusion,「Lifting towards the bed’s head board」had a lower shoulder position when practicing the Method 3 and「Turning to lateral position」showed a lower waist and shoulder position while practicing the Method 2 and 3.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findings, the patient transfer method developed by the author ensuring a postural-stability patient transfer techniques features a minor usage of the lumbar and shoulder muscles, a stable movement curve of the joints, and a lower subjective work load and pain degree during several types of patient transfer. Therefore, this technique could be a great contribution to prevent that active care-givers suffer from muscularskeletal disease due to the physically demanding patient care in clinical trial and local community fac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