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2 Download: 0

교육 수준에 따른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의 인구집단 기여위험도

Title
교육 수준에 따른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의 인구집단 기여위험도
Other Titles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by Education Status
Authors
장성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최경희
Abstract
Background Investigating socioeconomic position-specific disease occurrence trend would probably act as a decisive role to understand what risk factor have main function on disease occurrence. This study explore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of breast cancer risk factor for different socioeconomic position group, in order to building baseline data to make socioeconomic position-specific health policy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Methods The authors determined ten breast cancer risk factors of this study, To integrate results of existed reference,, meta-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Preferred Reporty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statement, using Review Manager 5.3.5 software. To calculate exposure prevalence of risk factors in order to estimating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2005 was used. Results In premenopausal women with a middle-school diploma or lower had the highest PAF in oral contraceptives use (19.0%) and second highest PAF in alcohol drinking (13.5%). Whereas, college or graduate school graduated premenopausal women had the highest PAF in reproductive risk factors as never breastfed (13.9%), delayed childbearing (13.8%), and lower parity (13.5%).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group of less than elementary school graduate had the highest PAF in oral contraceptives use (22.2%) In the group with a middle school diploma or higher had the highest PAF i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24.3%). Conclusion In premenopausal women, reproductive factors, oral contraceptive use, alcohol drinking consisted of 90% from total PAF. Reproductive factor had an stronger influent on breast cancer development among higher education group in premenopausal. After menopause, effect of reproductive factors on breast cancer developing was decline and exogenous hormones was getting more powerful effect.;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유방암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한 위험요인의 변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암종과는 달리 유방암에서 높은 사회경제적 위치는 오히려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위치별 분포가 다른 대부분의 암종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위치의 주요 지표인 교육 수준별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의 기여위험도를 산출하여 국내 유방암 발생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위치별 유방암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 번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유방암 위험요인을 선정하였다. 국제암연구소 발암등급별 물질 항목의 Group1 발암 요인 중, 유방암 발생에 충분한 인과관계를 보이는 요인, 국제암연구소 연구회에서 암 발생과 인과적 관련성이 있다고 밝힌 요인, 서울대 유방암연구에서 다룬 생식 위험요인 및 외인성 호르몬 노출을 본 연구의 대상 유방암 위험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두 번째, 기존 국내 문헌을 통합하여 유방암 위험요인의 통합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메타분석은 문헌 검색, 문헌 선택과 배제, 비뚤림 위험도 평가와 자료 추출, 메타분석과 이질성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세 번째, 메타분석에서 산출된 위험요인 별 통합 위험도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 자료를 분석해 얻은 위험요인의 인구집단 노출 수준을 이용하여 인구집단 기여위험도를 구하였다. 본 연구 대상 유방암 위험요인은 음주, 과체중, 운동 부족,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적은 출산 횟수, 늦은 첫 출산, 모유수유 경험 없음, 경구 피임약 복용, 호르몬 치료 10가지였다. 유방암의 위험요인에 관한 국내 연구를 모두 통합하여 메타분석 한 결과, 각 위험요인 별로 하나의 통합 위험도(pooled OR)를 산출하였다. 운동 부족을 제외한 모든 위험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도를 보였고 개별 연구 간 이질성도 낮았다. 교육 수준별 유방암 위험요인의 노출 유병률과 각 위험요인의 통합 위험도를 이용하여 교육 수준별 인구집단 기여위험도를 계산하였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음주, 적은 출산 횟수, 늦은 첫 출산, 모유수우 미경험, 경구 피임약 복용의 인구집단 기여위험도가 높았으며, 이 중 생식 요인(적은 출산 횟수, 늦은 첫 출산, 모유수우 미경험)의 인구집단 기여위험도는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에서 높았다. 폐경 후 여성에서는 생식 요인의 기여위험도가 줄어들고 경구 피임약 복용과 폐경 후 호르몬 치료의 영향이 커졌다. 특히 폐경 후 호르몬 치료의 경우 교육 수준별 인구집단 기여위험도에 차이가 컸고,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유방암 발생률이 높은 현상은 생식 요인과 폐경 후 호르몬 치료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높은 교육수준을 가진 여성은 낮은 교육수준의 여성에 비해 첫 출산을 늦게 하고 출산 횟수가 적으며, 모유수유를 적게 하고, 폐경 후 호르몬치료를 많이 받는다. 이러한 위험요인 노출 격차로 인해 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유방암 위험요인의 인구집단 기여위험도가 높고, 이로 인해 유방암 발생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교육 수준에 따른 위험요인 노출 양상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