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편지윤-
dc.creator편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5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5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이밍 이론에 근거하여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독자의 ‘정향적 의미 실현’을 미숙한 읽기, 오독으로 보는 관점에서 주체로의 성장에 이르는 가능성의 발현으로 보는 관점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프레이밍(framing)’을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하고자 하는 것은 이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프레이밍을 읽기 교육 담론 안에서 다루기 위해서는 기존 논의와 어떠한 점에서 같고 다른지를 밝히는 논리적‧체계적 관계 규명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읽기와 프레이밍의 접점을 ‘결정적 자기 경험의 구성’으로 보고, 프레이밍의 여러 국면에서 비판적 읽기의 제 요소가 적절하게 수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 비판적 프레이밍의 작용 구조를 밝힘으로써,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비판적 읽기의 작용 기제인 비판적 사고의 구성 요소를 ‘분석’, ‘평가’, ‘성찰’의 세 차원으로 규명하고, 비판적 읽기의 대상역을 ‘텍스트 요인’, ‘필자 요인’, ‘독자 요인’ 등 읽기 상황 요인을 중심으로 구체화하였다. 텍스트를 매개로 한 소통에서 비판적 사고가 비판적 읽기의 대상역에 발현되는 양상을 조망함으로써 비판적 읽기의 요소를 ‘비판적 분석’, ‘비판적 성찰’, 그리고 ‘비판적 평가’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비판적 읽기 요소의 의미 및 속성을 구체화함으로써 비판적 읽기의 본질 및 개념의 구조를 명료화하고자 했다. 또한 ‘프레임’과 ‘프레이밍’을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하였다. 기존 프레이밍 논의와 읽기 교육 논의를 종합하여, 프레임을 ‘대상을 의미화하는 구성 행위에 관여하는 것으로 정향성을 지향하는 해석 틀’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의미구성의 과정이자 행위라는 읽기의 본질과 직접적으로 접맥하는 개념인 프레이밍은 ‘주체가 텍스트의 부분적 의미와 요소를 질서화하여 정향적 의미 체계로 실현시켜나가는 행위이자 이러한 정향적 의미구성의 기제’로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프레임과 프레이밍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판적 읽기에서의 프레이밍 양상을 비판적 프레이밍(critical framing)으로 구체화하였다. 비판적 프레이밍의 작용 구조는 독자가 프레임을 구성해 나가며 경험하게 되는 사건을 중심으로 ‘필자 프레임 구성’, ‘독자 프레임 구성 과정에서의 충돌’, ‘독자의 정향적 의미 실현’의 세 차원으로 나누어 살폈다. 실천성‧적용가능성이 높은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논의에 더하여, 학습독자가 어떠한 수행 특성을 보이며, 무엇에 능숙 혹은 미숙한지 등 수행 실태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Ⅲ장에서는 중학생 독자 8명의 비판적 읽기 수행을 분석함으로써 비판적 프레이밍의 작용 구조가 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비판적 프레이밍 면면에서의 수행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되, 합당한(reasonable) 정향 실현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비판적 읽기 요소의 수행 양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학습독자의 사고 과정 및 경험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시선추적장치(Eye-Tracker)와 반성적 사고 구술(Retrospective Think Aloud), 그리고 의미구성 결과물에 대한 내용 분석(contents analysis)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살핀 이론적 논의와 Ⅲ장에서 확인한 학습독자의 수행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레이밍 논의에 기반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였다. 이때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정향적 의미구성의 경험’ 및 ‘학습독자의 메타적 자각에 의한 비판적 사유의 균형적 경험’의 마련을 교육 내용 구성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교육 내용의 체계는 ‘지식’, ‘실천 원리’, ‘태도’의 세 차원으로 제시하였으며, 내용 범주별로 구체적인 내용 요소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살피고, 논의 발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차원에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주체로의 성장을 도모하고, 나아가 비판적 읽기의 경험이 학습독자의 결정적 자기 경험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읽기 교육으로의 변화를 위해 ‘프레이밍’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학습독자의 정향성이 주체성 발현으로 인식되고, 비판적 읽기 경험이 결정적 자기 경험으로 이어지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읽기 교육 논의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education in critical reading to form critical subjects based on the Theory of Framing. To this end, one must shift his perspectives, and understand that a reader's "realization of orientational meaning" does not come from misinterpretation, but rather from manifesting one's subjectivity and from realizing potential growth as an independent subject. Thus, putting "framing" in the concept of reading education is an effort to shift such perspectives. To discuss "framing" in the context of reading education, one must find out the logical and system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the existing discussions. Thus, in this study, "critical self-experience" is to be interpreted as a common ground between critical reading and framing. The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 educational framework to clearly reveal the factor of critical reading by finding out the mechanism behind critical framing. In Chapter 2, critical thinking, the mechanism of critical reading, would be defined in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analysis, evaluation, and reflection. Moreover, this study will limit the field of object for critical reading to the reading situations. With text as the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critical thinking as the field of object for critical reading, this study suggests ‘critical analysis’, ‘critical evaluation’, and ‘critical reflection’ as the elements of critical reading. It also aims to simplify the essence, concept and structure of critical reading by specifically defining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ritical reading elements. In this study, "frame" and "framing" are conceptualized in the context of reading education. With the existing discussion for framing and the discussion on reading education, "frame" is defined as "an orientational interpreting framework associated with making meaning with a subject." Moreover, the study further defined "framing," which is both the process of meaning-making and the essence of reading as "a subject's act of revealing orientational meaning by putting the text's parts and factors in order" and also "a mechanism behind orientational meaning-making." Moreover, in this study, framing in the context of critical reading would be considered a critical framing. As the subject forms the frame under framing circumstances, framing would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the writer forming the frame," "a conflict arising in the process of forming reader frame," and "the readers' realization of orientational meaning." To provide more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one must not only make theoretical discussions, but als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readers while they are being educated, including the areas these learning readers perform well and poorly. Therefore in Chapter 3, this study analyzed 8 middle schoolers' critical reading based on mechanism of critical framing. While critical framing of the middle schoolers were analyzed in depth, the important elements for critical reading, which is of essence in heading toward proper orientation, were specifically analyzed. To better analyze the thinking process and experience of learning reader, the eye-tracker, retrospective think aloud (RTA), and contents analysis on the results of meaning-making were utilized. In Chapter 4, building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from Chapter 2 and the analysis on the learning readers' education from Chapter 3, the study lays groundwork for critical reading education with discussion on framing in mind. Providing the students with "experience with orientational meaning-making to form critical subject" and "balanced experience with critical thinking through learning readers' independent realization" were set as the basic goal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Educational system includes knowledge, practicing principles, attitude; and more specific elements under each category were suggested throughout the chapter. In Chapter 5, the overview of the study,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 for further discussion were covered. In the study, "framing" was suggested to nurture critical subject and change the reading education that could turn learning reader's experience with critical reading into one's critical self-experience. With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ects the learning reader's orientation to be recognized as a factor that can contribute to his subjectivity, and hopes that further discussion on reading education helps the critical reading experience become critical self-experience for learning read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연구 4 2. 시선추적연구 및 내용 분석법 7 C. 연구 내용 및 방법 9 1. 연구 내용의 범위 9 2. 연구 방법 및 연구 도구 11 II. 비판적 읽기 교육과 프레임 이론 13 A. 비판적 읽기 개념에 대한 반성적 검토 13 1. 비판적 읽기 개념의 변화 13 2. 비판적 읽기 개념의 재구조화 16 B. 비판적 읽기 교육과 프레이밍 28 1. 프레이밍의 개념 및 특성 28 2. 비판적 읽기에서 프레이밍의 개념 및 작용 구조 32 III. 중학생 독자의 비판적 프레이밍 양상 47 A. 연구 설계 47 1. 연구 대상 48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50 B. 중학생 독자의 비판적 프레이밍 양상 분석 62 1. 필자 프레임 구성 과정에서의 양상 63 2. 독자 프레임 구성 과정에서의 충돌 경험 양상 75 3. 정향적 의미 실현 과정에서의 양상 89 IV. 프레이밍 기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98 A.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 98 1.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정향적 의미구성의 경험 마련 98 2. 메타적 자각에 의한 비판적 사유의 균형적 경험 마련 99 B. 프레이밍 기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의 구성 100 1. 프레이밍 주체의 지식 101 2. 비판적 프레이밍의 실천 원리 103 3. 프레이밍 주체의 태도 118 V. 결론 및 제언 123 A. 결론 123 B. 제언 127 참고문헌 128 부록 136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9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프레이밍 기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시선추적기법 및 내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nts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Based on Framing Theory : Using Eye-Tracking and Contents Analysis-
dc.creator.othernamePyeon, Ji Yun-
dc.format.pageviii, 140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