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최수진-
dc.creator최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7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aesthetic experience that polishes up readers’ sensibility and lets readers enjoy literature, and to propose the contents of poetry instruction. Aesthetic experience allows readers, who often find literature difficult and unfamiliar, to experience the pleasure of literature and could be a solution to the crisis in literature education. The aesthetic of literature has been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literary language and linguistic forms, all of which have been transferred to readers as a fixed set of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the aesthetic of literature as one that could be experienced through interaction with readers, not as the inherent knowledge of the object. By focusing on poetry that best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art, this study explores different aspects of readers' aesthetic experience while reading poems, and proposes poetry instruction that prioritizes readers’ aesthetic experience. Chapter Ⅱ defines ‘beauty’,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as one that is not inherent in the aesthetic object and not created by the subject, but as one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order to redefine aesthetic experience. Also, the chapter theoretically explains the two pillars of aesthetic experience - poetry as the aesthetic object and the reader as the appreciato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is study views that the aesthetic nature of poetry can exist through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form within the poems, and concretizes the elements of the content and the form as aesthetic elements. Also,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 elements of readers who are the appreciators that the poetry interact with are pinpointed as knowledge, operational ability, and experience. Next, elements for aesthetic experience are introduc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needed for the practical discussion about aesthetic experience in terms of ‘immersion’, ‘imagination’, and ‘affection’. First, immersion means a state where readers closely interact with the text with an adequate distance throughout the process of perceiving aesthetic elements and forming responses. Immersion is related to aesthetic attitude in that other purposes are not involved and readers pay attention to the text in a disinterested way. Secondly, imagination is a process that readers form meanings about the poetic world by utilizing elements in their imagination after reading the text. Thirdly, affection means aesthetic feeling that embraces various emotional responses that come from aesthetic experience, and involves value judgment. Chapter Ⅲ reviews how aesthetic experience unfolds in the readers’ poetry essays that learning-readers wrote based on the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explained in Chapter Ⅱ. In order to see how aesthetic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unfolds, the poem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poems in middle school textbooks, and learning-readers’ essays were collected for two times. By analyzing learning-readers’ poetry essays, their aesthetic experience was concretized by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as follows - When it comes to immersion, some learners tended to notice aesthetic elements in a conceptual way whereas others sensitively perceived and felt aesthetic elements. When it comes to imagination, some relied on related experience to recall relational images while others reproduced unique images through active imagination. When it comes to affection, some engaged in value judgment on the content and form of the text based on standards formed by experience where as others discovered and internalized values from their subjective perspective as readers. Chapter Ⅳ proposes educational design to raise aesthetic experience of learning-readers while appreciating poetry. Readers' operational ability which interacts with the process of aesthetic experience was considered as aesthetic sensi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believes that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can polish up readers' aesthetic sensibility. Moreover, the purposes of poetry instruction is to let readers know that reading poetry is ultimately something they can enjoy, and to let them actively appreciate poetry. To achieve these purposes of poetry instruction, this study proposes the content of poetry instruction in detail. First, in order to deepen immersion, readers should sensitively perceive aesthetic elements, pay attention to relations between various aesthetic elements, and form their own feelings. Secondly, by re-enacting poetic imagination, readers can engage in creative imagination. Thirdl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as readers, and beyond that, by adding value to the context of the real world, readers can internalize affection. This study views that readers, who are the ones who actually appreciate poetry, should experience the aesthetic of literature, and that ultimately, poetry appreciation should be something enjoyable and evoke feelings from readers. By prioritizing aesthetic experience of learning-readers in poetry instruction, it is more than possible to nurture readers who can actively enjoy poetry. Therefore, I hope there will be more research that puts readers' aesthetic experience first.;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심미성을 체험함으로써 감수성을 세련하고, 이를 통해서 문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심미적 체험의 양상을 밝히고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심미적 체험은 문학을 낯설고 어렵게만 느끼는 독자에게 문학 감상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문학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문학의 심미성은 문학의 언어와 형식적 측면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으며, 이는 독자에게 고정된 지식으로 전달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상에 내재한 지식으로서가 아닌, 독자와의 상호작용 가운데 체험되는 심미성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특히 언어예술적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시 장르를 중심으로 독자의 실제 시 감상 과정에서 심미적 체험 양상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의 심미적 체험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시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심미적 체험의 재개념화를 위해 미학적 논의를 참고하여 본고에서는 ‘미’가 심미적 대상에 내재한 것도 아니고, 주체로부터 만들어지는 것도 아닌 둘의 만남에서 ‘체험’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심미적 체험이 일어나기 위한 두 축인,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시와 감상 주체인 독자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전자의 경우, 시의 본질적 특성인 심미성은 내용과 형식이 시 텍스트 안에서 역동적 관련성을 맺으며 존재한다고 보고, 내용과 형식의 여러 요소들을 심미적 요소로 구체화하였다. 또한 후자의 경우, 감상 주체인 독자가 시를 감상하는 데 있어서 작용하는 요소를 검토하고, 교육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식, 수행능력, 경험으로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심미적 체험에 대한 실제적인 논의를 위해서 필요한 이론적 틀로써 심미적 체험의 요소를 ‘몰입’, ‘상상’, ‘감동’으로 상정하였다. 첫 번째 요소는 몰입으로 독자가 심미적 요소를 지각하고 반응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적절한 거리를 두고 텍스트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상태를 의미한다. 몰입은 다른 목적이 개입되지 않고, 무관심적으로 주목한다는 점에서 심미적 태도와도 관련된다. 두 번째 요소는 상상으로 독자가 텍스트를 읽고 독자의 상상 속에서 독자 요소를 활용하여 시적 세계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세 번째 요소는 감동으로 독자가 심미적 체험에서 느끼는 다양한 정서적 반응을 포괄하는 심미적 정서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가치 판단의 과정이 전제되어 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설정한 심미적 체험의 요소를 근거로 학습독자의 시 감상문에 나타난 심미적 체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학생 학습독자의 심미적 체험 양상을 보기 위해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를 검토하여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2회에 걸쳐 수집한 학습독자의 시 감상문을 분석하고, 심미적 체험의 요소별로 학습독자의 심미적 체험 양상을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였다. 몰입의 측면에서 학습독자는 심미적 요소를 개념적으로 인식하는 경향과 심미적 요소를 세심하게 지각하며 감각적으로 느끼는 반응을 형성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상상의 측면에서 학습독자는 관련 경험에 의존하며 회상과 연상을 통해 관계적 이미지를 재생하는 경향이 컸고, 능동적인 상상을 통해 독창적인 이미지를 생산하는 경향도 있었다. 감동의 측면에서는 내용과 형식적 측면에서 경험에 의해 구성된 기준을 바탕으로 심미적 판단을 하거나 독자의 주관적 입장에서 가치를 발견하고 내면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Ⅳ장에서는 시 감상 과정에서 독자의 심미적 체험을 이끌어줄 수 있는 교육적 설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심미적 체험의 과정에 작용하는 학습독자의 수행능력을 심미적 감수성으로 보고, 심미적 체험 교육을 통해 학습독자의 심미적 감수성을 세련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심미적 체험을 통해 시를 감상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즐거운 일임을 알고 주체적으로 향유하는 태도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첫째, 몰입을 확장하기 위해 심미적 요소를 감각적으로 지각하고 여러 심미적 요소들 간의 관계에 주목하며 느낌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시적 상상력을 추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창조적 상상을 발현할 수 있다. 셋째, 독자의 주관적 차원에서, 그리고 좀 더 확장하여 현실의 맥락에서 시 텍스트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서 감동을 내면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상 주체인 독자가 문학의 심미성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시 감상이 즐겁고 감동적인 체험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독자의 심미적 체험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시 교육을 통해 주체적으로 시를 향유하는 독자를 길러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독자의 심미적 체험을 중심에 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7 II. 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 논의를 위한 전제 11 A. 심미적 체험의 본질 11 1. 심미적 체험의 재개념화 11 2.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시 16 3. 감상 주체로서의 독자 19 B. 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의 요소 23 1. 심미적 태도로서의 몰입 24 2. 심미적 구체화로서의 상상 26 3. 심미적 정서로서의 감동 30 III. 학습독자의 감상 텍스트에 나타난 심미적 체험의 양상 36 A. 연구의 설계 36 1. 연구의 목적 36 2. 연구 대상 선정 및 대상 텍스트 선정 38 3. 연구의 절차 및 방법 42 B. 학습독자의 감상 텍스트에 나타난 심미적 체험의 양상 46 1. 몰입 46 가. 심미적 요소의 경험적 인식 47 나. 심미적 요소의 지각과 반응의 형성 52 2. 상상 55 가. 관계적 이미지 재생 56 나. 개인적 이미지 생성 60 3. 감동 65 가. 심미적 가치 판단 65 나. 심미적 가치의 발견 69 IV. 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육적 설계 73 A. 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 교육의 목표 74 1. 심미적 감수성의 세련 74 2. 주체적인 시 향유 태도의 형성 78 B. 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 교육의 내용 81 1. 심미적 지각을 통한 몰입의 확장 83 2. 추체험(推體驗)을 통한 창조적 상상의 발현 87 3. 가치 부여를 통한 감동의 내면화 92 V. 결론 100 참 고 문 헌 102 부 록 107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78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생 학습독자의 체험 양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learning-readers' aesthetic experience in appreciating poetry-
dc.creator.othernameChoe, Su Jin-
dc.format.pageviii, 114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