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9 Download: 0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Title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Other Titles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보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최근 직업세계가 복잡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확산되면서, 학교에서 실행되는 진로교육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심과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진미석, 2013). 이는 우리나라 학교에서 실행되어 온 진로교육이 대입과 취업에 직면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왔으며, 진로보다 진학지도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한국교육개발원, 2011). 이로 인해 대학진학 과잉, 재수와 편입의 난립 등 여러 사회 문제들을 야기되고 있다(박정식, 최명현, 201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진로와 직업」교과를 선택 과목으로 지정하고, 창의적 체험활동 중 하나로 진로활동을 배정하는 등 학교에서 실행되는 진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최근에는 직업세계의 특성을 반영하여, 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학교에서 실행되는 진로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진로개발역량을 강화할 것을 명시하고, 이를 위해 기존에 교사 중심의 지식전달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던 진로교육의 내용과 방식이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진미석, 2013). 한편, 최근 다양한 정책(예: 고교 다양화, 입학사정관제 도입, 교육과정의 변화 등)의 변화로 중학생의 진로경로가 복잡해지면서, 중학교 진로교육의 역할과 비중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므로(진미석, 2013; 한국교육개발원, 201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진로와 직업」교과를 통해, 중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을 최대한 배양하기 위한 효과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진로개발역량과 관련한 여러 선행연구(교육과학기술부, 2012; 김은정, 김혜숙, 2011; 류재윤, 이유경, 2012; 하영숙, 염동문, 2013)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진로개발역량은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자기탐색 과정과, 다양한 환경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함양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로수업에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협동학습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협동학습은 이질적 특성을 가진 학습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 내에서 함께 학습하는 구조화된 학습방법으로(Slavin, 1995), 여러 선행연구들은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팀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습참여와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김규동 외, 2012; 김동식, 권숙진, 2006; Swan, 2002). 또한 협동학습에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지각인 교수실재감을 높게 인식한 학습자일수록 학습참여와 상호작용이 활발하고(Garrison & Anderson, 2003; Garrison & Cleveland-Innes, 2005), 학습성과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고은현, 2006; 신태섭, 박용한, 2013; Hijzen, Boekaerts, & Vedder, 2007; Shea, Pickett, & Pelz, 2003; Wu & Hiltz, 2004). 이에 따라 성공적 협동학습을 위해서는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인 인지된 상호작용과, 교수실재감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진로와 직업」수업에 협동학습을 적용하고, 학습성과로 진로개발역량과, 성취도를,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교수실재감과 인지된 상호작용을 상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크게 모형검증, 직접효과 검증, 간접효과 검증으로 이루어지며, 상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인과모형은 적합한가? 2.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교수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3.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4.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인지된 상호작용은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5.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교수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의 C 남자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상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우선, 고안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다음으로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조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인지된 상호작용에서 진로개발역량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았고, 나머지 4개의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모형이 합당한 모형적합도를 보임으로써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 변인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모형에 포함된 변인 간의 직접효과는 다음과 같다. 1)교수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과, 진로개발역량, 성취도에 각각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2)인지된 상호작용은 성취도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3)인지된 상호작용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수실재감이 인지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다음과 같다. 1)교수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도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2)교수실재감이 인지된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과 진로개발역량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성취도에 유의한 직·간접효과를 보임으로써, 교수실재감이 중학교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중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과, 성취도, 그리고 인지된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수실재감은 주로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중요한 지표로 논의되어 왔으나(강명희 외, 2010; 주영주 외, 2009; Shea, Pickett, & Pelz, 2003; Wu & Hiltz, 2004),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으므로,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교사의 전문적 역할수행을 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교사는 협동학습 진행단계에 따라 자신의 역할과 주도성에 변화를 꾀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맞는 적합한 비계 수준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교과 측면에서 진로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진로개발역량을 최대한 배양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인지된 상호작용은 성취도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서로의 노력을 격려하고 촉진하는 행위를 높게 지각할수록 성취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인지된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요구되는데, 협동학습에서 보상 전략에 대한 설계를 통해 가능하다. 예컨대 구성원 개인의 성취가 그룹 보상에 반영되도록 보상 전략을 설계할 경우, 구성원들이 서로의 성취에 관심을 가지고 도울 필요를 느끼게 하므로(Slavin, 1983),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인지된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전략으로 팀의 공동체의식 형성을 제안할 수 있는데, 공동체의식은 팀에 대한 소속감과 구성원 간의 신뢰 및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여(McMillan & Chavis, 1986),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인지된 상호작용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인지된 상호작용은 진로개발역량에 유의하지 않은 직접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여러 연구를 통해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인지된 상호작용의 영향이 유의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인지된 상호작용이 진로개발역량과 무관한 것으로 결론내리기 보다는 연구결과에 대한 원인을 추측해보고, 후속 연구를 위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중학교에서 실행되는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교수학습 자료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협동학습기반「진로와 직업」교사용 지침 자료’를 개발하고, 부록에 첨부하였다(부록-3참고). 본 자료는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학습 진행 단계에 따라 교사의 역할과 학생의 활동을 명시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적 역할 수행과 성공적 협동학습의 운영을 돕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모형의 일반화를 위해, 다수의 새로운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 간의 영향력을 추가로 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다른 구조의 경쟁모형을 고안하여, 본 연구의 모형과 경쟁모형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학습성과(진로개발역량, 성취도)를 달성하는데 협동학습이 효과적 방법인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고, 각 교수학습방법별로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실증적 검증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 중 성취도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은 자기보고(self-report)방식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응답자의 지각과 실제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별로 응답이 주관적이어서 응답자 간 객관적 비교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수실재감과 인지된 상호작용과 같이 학습경험을 드러내는 변인은 보다 객관성이 드러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사용하거나, 외부 평가자(rater)의 관찰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객관적 정보를 함께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자의 역할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는데,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보다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학습성과와 더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논의한 선행연구(Shea et al., 2003)도 존재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을 함께 측정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의 차이가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볼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포함된 변인뿐만 아니라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새롭게 발굴하고 추가하여,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성취도를 더욱 정밀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을 제안한다. 여섯째,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개발한‘협동학습기반「진로와 직업」교사용 지침 자료’의 적합성을 검증받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후속 연구에서는 Hall 외(1987)가 개발한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ed Based Adaptation Model)을 활용해, 진로교육에 대한 진로교사의 관심, 실행 수준, 실행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 진로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 및 전략을 도출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서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성취도에 기여하는 핵심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들 변인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공학적 교수·학습전략을 논의함으로써, 중학교 현장에서「진로와 직업」교과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최대한 배양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As the vocational world is complex and diverse, the needs of career education are increased(Jin, 2013) and career education in school are required the innovation. Career education in schools are more focused on teaching ways on "how to enter a distinguished university and how to get an esteemed position" rather than "how to develop one's career", which is the cause of many social issues(Park & Choi, 2010; Choi, 2009).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stimulate career education in schools and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the「career and vocation」subjects.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paths in particular have become especially complicated due to the influence of recent various changes of higher education policies and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have become mo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eek effective ways for developing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career and vocation」subject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t can be developed through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and being in learner centered environment. As such,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on career course. Cooperative learning is a type of structured learning method which involves students working in teams to accomplish a common goal(Johnson & Johnson, 2002).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achievement as learners perceive their interaction with the team positively. Also learners who perceived teaching presence on teacher’s role, participate and interact more in class and their learning achievement is higher than oth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perceived interaction and teaching presence should be considered for succes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proposed model of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hievement) is valid for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setting? 2. Does teaching presence has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interaction in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3. Does teaching presence has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4. Does perceived inter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5. Are there indirect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achievemen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hievement) through perceived interaction in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To investigate research questions above,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as well a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was fitting in a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As a second part of the findings,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teaching presence which is perceived by the learn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erceived interacti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hievement. Second, although perceived interaction which is perceived by the learner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achievement, it had fail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s a third part of findings,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teaching presence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perceived interaction. However, teaching presence had failed to have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perceived interaction. Our research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previous researches hardly tried to conduct empirical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career course. It only revealed a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learners’ traits such as learners’ gender, level, grade, economic level and so forth in middle school career course. This mean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when it comes to conduct study either on design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or on effectivenes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Second, teaching presence had not only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but it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inter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means that since teaching presence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in web-based environment and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strategy for facilitating teaching presence in both environments is required. Third, although effectiveness of perceived interaction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as not significant, researches on finding effectiveness of various supports from peers need to be conducted as several researches report that the various types of support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urth, the results of direct effectiveness of perceived interaction on achievement show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re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perceived interaction in career course.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lead to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number of participants and investigate the fit for the model and the effectiveness to generalize the research model.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research additional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different comparison model and further investigate it. Second, more empirical evidence is needed to establish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develop learners’ achievement(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hievement) in career course in middle schools. Third, besides achievement other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self-reporting method.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gap between the learners’ perception and the fact itself, which also make it hard to compare objectively. This shows that it is needed to conduct survey with the multiple choices or make it measure by rater when it comes to measure variables that shows the learning experience such as teaching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Fourth, teaching presence in this research was measured based on the instructor perceived by learners. However previous study(Shea et al., 2003) shows that teaching presence perceived by instructor relates more than by the learner's to the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is resul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conduct measuring teaching presence perceived by instructor to be make sure which on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last, further research also needed to reveal the factors influencing cooperative learning-based career cours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establish sound strategies adapted to learners’ needs in career course for middle school. As examined as abo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cality of the cor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the resul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hieve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fundamental guide to advanc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geared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