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reat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1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1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음악교사효능감과 음악수업에서의 교수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수효과성에 대한 음악교사효능감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음악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음악수업에서의 교수효과성에 대한 음악교사효능감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5가지 직무영역으로 구성된 음악교사효능감 중 어느 직무영역에 대한 효능감이 교수효과성을 높이는데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서 음악을 교육하는 교사들로, 7%는 음악교과를 전담하는 교사이고, 93%는 전 과목을 담당하는 담임교사로 구성 되어있다. 음악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을 검사하기 위한 연구 도구로 음악교사효능감 척도와 조윤영(2009)의 설문지를 일부 변형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음악교사효능감과 음악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높은 확률의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p<.001). 즉, 초등교사의 음악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음악수업에서의 교수효과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수효과성을 설명하는 음악교사효능감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변인으로 음악교과지도, 생활지도, 음악관련 특별활동 지도, 행정업무, 대인관계를 설정하고, 종속변인으로 교수효과성을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음악 교과 지도’와‘대인관계’설명력이 매우 높은 확률로 나타났다(p<.00 1). 즉, 음악교사효능감의 5가지 구성요소 중 음악 교과 지도 혹은 대인관계 영역에 대한 효능감이 음악수업에서의 교수효과성을 높이는데 더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성별에 따른 음악교사효능감과 음악교수효과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여교사의 음악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이 남교사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1), 수업학년에 따른 음악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 일원분산분석에서는 학년별로 비슷한 점수를 보이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즉, 음악교사효능감과 음악수업에서의 교수효과성이 교사의 성별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수업학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음악 수업에서의 교수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음악교사효능감은 중요한 요인이며, 음악교사효능감의 구성요소 중 음악교과지도 영역과 대인관계 영역에 대한 효능감이 특히 음악교수효과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악교과지도 영역과 대인관계 영역에 대한 효능감 증진을 위한 연수프로그램과 학교 측의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이고 중등 음악교사까지 확대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서 교수효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음악교사효능감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음악교사효능감 구성요소들의 능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심리 및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uthenticate the positive affects of the music teacher efficacy and the music teaching effectivness, and to find out which of the sub-factors have more affiliation to the teaching effectivness. For this assessment, I conducted the survey to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music teacher efficacy and the teaching effectivness,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teacher efficacy and the teaching effectivness, and discovered which job-related areas improved teaching effectivness from the music teacher efficacy which is constructed with five job-related are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music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Kyeungkido, Choongchungdo. With the exception of 7% of the teachers who teaches music exclusively, 93% teachers were class teachers who teaches not only music. As a material to measure the music teacher efficacy, I used the construction of music teacher efficacy and the paper of Cho Yun Young revised and elevated formed on the music courses. As an analysis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executed depend on subject’s issues. The brief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ic teacher efficacy effects the teaching effectivness, it turned out as very high range, and it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meaning, the teaching effectivness augments a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ic teacher efficacy is high. Secondarily, to find out the sub-factors of the music teacher efficacy which explains the teaching effectivness, I set up the music curriculum education, student guidance work, special activities related to music, administrative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 up the teaching effectivness as dependent variable thu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urned out as ‘music curriculum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s explanation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y meaning, music curriculum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from the 5 job-related areas of music teacher efficacy are high, the teaching effectivness gets higher as well. In third, to find out the music teacher efficacy and the teaching effectivness’s differences by sex, execut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s a result, women turned out higher than men,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lthough, One-way ANOVA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music teacher efficacy and the teaching effectivness by their grade years, each grades had similar ratings,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meaning, music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effectivness do have diversity by sex, but not by grade years. By this result, the music teacher efficacy is an important fact to improve the teaching effectivness for music class, especially music curriculum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which are two area of the teaching effectivness for music class, are essential points to explain the music teacher efficacy. Accordingly, seminar and preparation of system from scools are required to increase efficacy of music curriculum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Thus it needs to be checked the music teacher efficacy’s factors which have intimate relation with the teaching effectivness by continuous and wide range research. Not only that, variable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and seminar will be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2 C. 연구의 제한점 3 D. 용어 정리 3 Ⅱ. 이론적 배경 5 A. 음악교사효능감 5 1. 교사효능감의 개념 5 2. 음악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중요성 9 3. 음악교사효능감의 구성요소 11 B. 교수 효과성 12 1. 교수 효과성의 개념 12 2. 교수 효과성의 구성요소 13 C. 선행연구 고찰 15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설계 17 B. 연구 대상 17 C. 연구 절차 19 D. 연구 도구 20 1. 음악교사효능감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20 2. 교수효과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21 E. 자료 분석 방법 22 F. 연구윤리에 대한 고려 23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4 A. 기술통계 분석 24 B. 음악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의 상관관계 25 C. 음악교사효능감의 구성요소에 따른 교수효과성의 영향 관계 분석 27 D. 성별과 수업학년에 따른 음악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의 영향 분석 33 Ⅴ. 결론 및 제언 38 A. 결론 및 논의 38 B.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 45 ABSTRACT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1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초등교사의 음악교사효능감이 음악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acher Efficacy on Music Teaching Effectiveness-
dc.format.pagev, 55 p.-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조경선-
dc.contributor.examiner윤승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