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73 Download: 0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교수법을 이용한 리듬수업 지도안 개발

Title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교수법을 이용한 리듬수업 지도안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Plan for Rhythm Instruction Using the Teaching Methods of Dalcroze, Kodály, and Orff Focusing on Third-Graders
Authors
이다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미
Abstract
리듬 교육을 등한시하는 음악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가지고 본 연구자는 음악의 출발점인 리듬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음악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 교수법을 단순히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수업단계를 만들어 지도안에 적용하고 아동중기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 세 명의 음악교육학자의 음악철학과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후에 서울시에 소재한 C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 60명을 대상으로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제재곡은 국정 교과서와 2014년에 발행된 천재문화 음악교과서로 이 중‘시계’,‘소풍’,‘ 방울새’,‘남생아 놀아라’4곡을 선정하여 한 곡당 2차시씩 총 8차시의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활동은 각 차시를 단계별로 나눔으로써 이루어졌다. 1차시에는 크게 코다이 교수법으로 시작하여 달크로즈 교수법인 유리드믹스, 오르프 교수법 중 타악기연주, 그리고 오스티나토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활동지로 내용을 정리한 후 다시 코다이 교수법으로 마무리한다. 2차시에서는 코다이 교수법의 시작과 함께 1차시의 내용을 복습한다. 전개과정에서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스와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다양한 게임과 놀이를 통하여 활동내용을 응용하고 발전시켜 리듬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었다. 끝인사는 코다이 교수법인 리듬응답으로 마무리 짓는다. 위와 같이 단계적으로 개발한 지도안을 4명의 현직 교사에게 검증 받아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수정 및 보완하여 학교 현장 음악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 약 50%가 넘는 학생들의 음악과 리듬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성취도가 모두 높게 나왔고, 리듬중심의 음악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이 나왔다. 본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음악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리듬을 더 많이 알고 리듬감도 향상되었으며, 다양한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자신들이 이전에 알고 있던 음악보다 훨씬 흥미롭게 느껴진다고 하였다.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우선 학생들은 리듬의 중요성을 알고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신체활동과 언어활동을 통해 리듬교육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추상적인 음악보다는 구체적인 시나 운율의 리듬을 활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리듬감을 이해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한 리듬 중심의 음악교육은 학생들의 집중력과 이해도를 향상시켰다. 그림악보, 기둥악보, 다양한 영상자료, PPT 등 현장수업에 적용되는 시각적 자료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리듬을 이해하는데 훨씬 효과적이었다. 다양한 타악기들을 통한 리듬 중심 교육 활동도 학생들에게 리듬을 이해하는데 큰 효과를 가져왔다. 악기의 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특히 타악기는 리듬 수업에 적용하기 좋은 음악도구이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이 다양하고 통합적인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유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음악은 우리의 삶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에 향후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질 음악교육의 모습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된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달크로즈와 코다이, 오르프의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 자료들이 더욱 체계적이며 단계적인 모습을 갖추고,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안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이 각자의 수업 환경과 지도 내용을 고려한 효과적인 리듬지도 방안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가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 교수법의 단계를 더욱 연관성 있게 개발하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 초등 음악교육을 개발함에 있어 좋은 밑거름이 되고, 현장 수업에서 많이 적용되었으면 좋겠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들이 초등교육뿐만 아니라 중․고등교육, 그 이상의 음악교육 개발에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활용되어 많은 사람들이 리듬과 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현실의 음악교육에 큰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an make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a music class and can arouse their interest on the basis of rhythm, which is a starting point of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teaching methods of Dalcroze, Kodály, and Orff were applied to the plan to deter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in middle childhood.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musical philosophie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three specialists in music education―Dalcroze, Kodály, and Orff―was defined and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hen, a teaching plan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sixty third-graders at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teaching plan involved four songs―A Clock, Picnic, A Greenfinch, and Play, Namsaeng ― from the state textbook and the music textbook was published by Chunjaemunhwa in 2014 and was composed of a total of eight sessions, two per song. Each session was phased to perform activities; Session 1, which starts with a Kodály's teaching method and this class using Eurhythmics,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and Ostinato was performed. Lastly, after we had them summarize what they learned through a worksheet, the class was finished with the teaching methods of Kodály. In Session 2, with starting to the teaching methods of Kodály, we reminded the contents of Session 1. Orff's teaching method and Dalcroze's Eurhythmics, which was a combination of diverse games and plays on the basis of th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activities in Session 1, enabl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rhythm. The ending greeting is finished with a rhythmic response in Kodály's teaching methods. This teaching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having it examined by four incumbent teachers and by collecting their opinions before applying it to an actual music class at school. In the survey on this class, more than 50% of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s of interest, understanding, and achievement in terms of music and rhythm and suggested several opinions concerning a rhythm-based music class. The students indicated that they came to take more interest in music and became more aware of rhythm and saw their sense of rhythm improved, and felt significantly more interest in it than in music they had known before through the experience of diverse activities.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hythm and got a new perception of it. Second, the efficiency of music education was improved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verbal activities. Students may understand a sense of rhythm naturally by using rhythm of specific poems or meter rather than abstract music. Third, music education using visual materials improved concentration and understanding. The visual materials, including picture sheets of music, pillar sheets of music, various video materials, and PPT, which were used in an actual class and much more useful than we expected. Fourth,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using various musical instruments were effective.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number of musical instrument is limited, percussion instruments are especially good musical instruments to use in a class. Lastly,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such diverse and integrative teaching methods aroused students' concerns and interest in music. Since music is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our living, the practice of music education to be made at school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task.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ood base for developing elementary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systematic teaching materials using the teaching methods of Dalcroze, Kodály, and Orff and to develop diverse teaching plans that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with lots of concerns and joy. In addition, teachers need to be able to develop an effective rhythm teaching plan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contents. Moreover,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help develop music education at secondary and higher levels as well as at the elementary level and to mak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tual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