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박주현-
dc.creator박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149-
dc.description.abstract특수학급 교사는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뜻한다. 대부분의 특수학급은 일반학교에서 한 두 학급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특수학급 교사는 상대적으로 주변인의 위치에서 홀로 특수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학교 구성원들이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인간관계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학교생활 중 심리적 소진을 많이 느낀다. 이러한 특수학급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의 개념이 소개되었다.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적 요인인 교직 적응 탄력성과 외부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모두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교직 적응 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두 변인간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만 드물게 있을 뿐,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모두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간접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흡하여 교직 적응 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 적응 탄력성의 매개효과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0월 27일부터 약 20일 동안 서울, 경기도, 인천에 소재하는 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 심리적 소진의 각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단계선택법으로 실시하였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 적응 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 심리적 소진 하위영역 간 상관분석결과 각 변인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사회적 지지는 교직 적응 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심리적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직 적응 탄력성도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동료교사 지지가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동료교사 지지가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는 자기효능감이, 학생에 대한 비인격화에는 환경 및 생활만족이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교직 적응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직 적응 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그리고 심리적 소진의 하위영역별로 정서적 탈진과 학생에 대한 비인격화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는 완전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 심리적 소진에 대한 논의와 특수학급 교사의 심리적 소진 완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someone who works closely with the special education students at a public school. Since there is a shor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public schools, a lot of unnecessary burden is placed on the teacher and often times they feel as if they are an outsider.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 alon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special education, many teachers in this field often experience a high level of stress and feel burned out by the end. Since there is a high percentage of teachers who feel burned out, many experts have suggested various ways on how to solve this issue. One of the ways is through social support(support from both colleagues and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ing resilience. In previous studies focused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mixing two out of the three variables - social support and teaching resilience, teaching resilience and burnout, social support and burnout. However, there was little to no research that was found that combined all three of these variables - social support, teaching resilience and burnout. More studies about the effect of teachers' individual factors, such as teaching resilience, are also required when discussing social support and burnout. As a result, this study will explore the effects that social support and teaching resilience have on burnout.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plain how teaching resilience will act as a mediator between social support and burnout.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1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from various provinces in Korea(Seoul, Gyeongido, Incheon), over the period of approximately twenty days since October 27th, 2014. Subsequently,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ir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see if social support, teaching resilience and burnout were reliable variables.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that social support and teaching resilience have on burnou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nclude the results. Third, Baron & Kenny'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explore the impact that social support and teaching resilience have on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results fro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each variable (social support; two sub-variables, teaching resilience; five sub-variables, burnout; three sub-variables) had significant relations to one another. Social support mad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resilience an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while teaching resilience made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Second, colleagues' suppor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level of influence among the study results. In addition to burnout, three sub-variables were also studied. They are as follows: emotional exhaustion,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The results of the effect that social support and teaching resilience had on emotional exhaustion showed that colleague's suppor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as well. Whereas with the results of the effect on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ith the results of the effect on depersonaliza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n the environment and lifestyle w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here teaching resilience acted as a mediator between social support and burnout, teaching resilience was able to mediate partially. The resul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showed that teaching resilience was able to mediate partially. On the other hand,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s showed that teaching resilience was able to mediate complete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his study also suggests ways of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reduce their burnout.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심리적 소진 7 1. 심리적 소진의 개념 7 2.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선행연구 9 B. 사회적 지지 10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0 2. 특수교사의 사회적 지지 관련 선행연구 12 C. 교직 적응 탄력성 13 1. 교직 적응 탄력성의 개념 13 2. 특수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관련 선행연구 15 D. 변인간의 관계 17 1.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 17 2.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19 3. 교직 적응 탄력성과 심리적 소진 20 Ⅲ. 연구방법 23 A. 연구 대상 23 B. 측정 도구 25 1. 심리적 소진 척도 25 2. 사회적 지지 척도 26 3.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 26 C.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27 Ⅳ. 연구결과 29 A.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 심리적 소진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 29 B.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검증 31 C.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교직 적응 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38 Ⅴ. 논의 및 결론 45 A. 논의 4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2 참고문헌 53 부록. 설문지 59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23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ing Resilience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rnout-
dc.creator.othernamePark, Joo Hyun-
dc.format.pagev, 67 p.-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contributor.examiner임현식-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