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차지혜-
dc.creator차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2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2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들은 탈북학습자의 특성을 어떻게 이해하며,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어떻게 과학수업에 접근하는가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에 따라, 국내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의 4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과학교사가 된 동기 및 역할, 학생에 대한 이해, 수업 목적, 수업 전략 및 방식, 교육과정, 평가, 교사의 노력 6개 항목에 해당하는 질문에 따라 반 구조화된 면담과 수업 관찰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들은 상황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과거와 현재,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학습자를 이해하고 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언어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학습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이해, 학습자의 현재 남한사회에서의 상황에 대한 이해 네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탈북학생을 이해하고 있다. 둘째,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 교사들은 각 교사마다 다양한 과학수업의 목적을 가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업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고 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언어적 특성과 교육경험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원활한 개념 이해를 위해 교사의 안내된 전략 활용, 학습자의 남한과 북한의 실생활 경험을 과학학습과 연결하는 접근 방식, 학습자의 교육경험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 등의 교수전략이 함께 어우러져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수업을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탈북 청소년 과학교사들은 탈북학생의 사회·문화·상황적 배경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탈북학생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한 수업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과학수업을 실천한다. 이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상황적 지식이 과학수업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이며 근본적인 요소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how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percei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and how teachers approach to science cla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four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based on questions about six items including motivation to be a science teacher and role, understanding for students, class goal, strategy and method, curriculum, evaluation, and teacher's effort, as well as class observation and analyzed in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understand the students considering their past and present,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situational knowledge. Teachers understand the North Korea defector student considering four aspects of understanding on linguistic background, understanding on learner'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understanding on learner's educati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the situ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Second,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have various goals of their own for science class and to accomplish the goals, hav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utilizing various class approach methods considering learner's characteristics. Teaching strategies such as class approach method using teacher’s guided strategy considering education experienc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have learners understand concept easily, approach method using learner's life exper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approach method using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re mingled together to compose a class that all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cience teachers for the youth from North Korea compose a science class where all students participate by understanding students from North Korea considering their social, cultural, and situational backgrounds and by using a class approach method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It implies that teacher's situational knowledge on learners with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is required for composing a science class and should be an essential el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A. 학습자로서 탈북 학생의 특성 6 B. 다문화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과 태도 9 C. 선행연구 13 1. 탈북학생의 과학학습 13 2. 탈북·다양한 학습자의 과학수업과 교수전략 14 III. 연구방법 17 A. 연구 대상의 특성 17 1. 연구 참여자의 특성 17 B. 연구절차 20 C. 자료 수집 22 D. 자료 분석 25 IV. 연구결과 27 A.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 27 1. 학습자의 언어적 배경에 대한 이해 27 가. 북한의 언어적 배경에 대한 이해 27 나. 제 3국 언어적 배경에 대한 이해 32 2.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33 3. 학습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이해 39 4. 학습자의 현재 교육상황에 대한 이해 46 B. 탈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과학수업 접근 방식 50 1.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과학학습 50 2. 생활경험과 과학학습의 연결 56 3. 참여적 학습전략을 통한 과학학습활동 62 V.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3 부록 78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57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실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83 p.-
dc.contributor.examiner정종우-
dc.contributor.examiner여성희-
dc.contributor.examiner임미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