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5 Download: 0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 및 쟁점 분석

Title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 및 쟁점 분석
Other Titles
Key approaches and issues in character education
Authors
김수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최근 한국에서는 학생의 인성․도덕성 약화가 심각한 문제로 제기됨에 따라 인성교육을 중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정부에서는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의 일환으로 ‘인성교육 중심 강화’를 내세웠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급별 교육 목표에 인성교육 요소 반영, 국어․도덕․사회를 통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 실시 등을 포함하는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졌다. 2014년에는 ‘인성교육진흥법안’이 발표되어 법제적 차원에서도 인성교육이 강조되었다. 이처럼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데 반해,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는 인성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인성교육은 주로 도덕과의 측면에서 논의되었고, 교과교육과는 별개의 프로그램이나 활동을 통해 추가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졌다는 한계를 보인다. 그러나 인성교육은 정규 교육과정의 다양한 활동과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을 “개인으로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건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바람직한 성품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접근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인성교육을 둘러싼 쟁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은 인성과 인성교육에 대해 어떻게 가정하고 있는가? 둘째,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난 인성교육은 어떤 접근에 기반하고 있는가? 셋째, 인성교육에 관한 교육과정 상의 쟁점은 무엇인가? 넷째, 인성교육과 관련된 쟁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 교육과정은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가? 이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에 대해 전통적 관점, 아동 발달적 관점, 배려 공동체 접근, 구성주의적 접근, 절충적 관점, 배려윤리 접근, 사회정서학습 접근의 일곱 가지를 살펴보고 각 접근에 따른 프로그램과 국가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전통적 관점은 덕목의 함양과 그에 따른 습관의 형성을 강조하며, 아동 발달적 관점은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른 인성의 발달을 중시한다. 배려 공동체 접근은 배려 공동체 구축을 통한 인성의 발달을 강조하며, 구성주의적 접근에서는 옳고 그름에 대한 인지적 판단 능력의 발달에 초점이 있다. 절충적 관점은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측면을 아우르는 인성의 통합적 발달을 강조하며, 배려윤리 접근은 배려 관계의 발달에 초점이 있고, 사회정서학습 접근은 도덕성, 사회성, 정서를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인성의 발달을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들을 종합하여, 연구자는 인성교육이 도덕성을 넘어서서 바람직한 삶을 영위해 가는 데 필요한 사회성과 감성 등 다양한 특성에 관계되는 것이며, 모든 교과와 학교교육 전반을 통해 관련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위의 일곱 가지 접근을 인지, 정서, 행동의 측면의 관계 속에서 덕목 중심 접근, 인지 능력 발달 접근, 배려 중심 접근, 통합적 접근, 사회정서적 접근의 다섯 가지로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다섯 가지 접근을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접근에 대해 고찰한 결과, 제1차 교육과정에서는 인성교육의 접근이 적용되지 않았다. 제2차-3차 교육과정에서는 덕목 중심 접근에 기반하여 덕목의 실천을 중시한 반면, 덕목의 주입이 이루어졌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제4차-6차 교육과정에서는 인지 능력 발달 접근에 기반하여 가치 판단 능력의 발달을 중시하였지만, 주지주의 인성교육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제7차-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통합적 접근이 강조되었는데,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이 분절된 형태로 나타나면서 통합적인 인성의 발달을 저해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배려 중심 접근, 통합적 접근, 사회정서적 접근에 다양하게 토대를 두었으나 이로 인해 일관된 인성교육의 방향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에 발표된 인성교육 정책들에서는 인성을 다차원적인 것으로 바라보고, 관계성에 초점을 둔 가치와 학교교육 전반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강조하였으며, 인성교육을 위한 학교, 가정, 사회, 국가의 역할을 규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인성교육을 둘러싼 교육과정 상의 쟁점을 교과 교육과정, 비교과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첫째,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에 대한 것으로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별도의 교육으로 독립적인 관계로 바라보는 입장과 교과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이 성취될 수 있는 상호 지원적인 관계로 바라보는 입장이 대립된다. 둘째,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 설정에 관계된 쟁점으로 인성교육을 위한 별도의 교과를 설정해야 한다는 입장, 도덕과를 중심으로 인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입장, 인성교육은 기본적인 교육 목적으로 모든 교과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 대비되었다. 셋째,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체험 중심의 교과 외 활동에 대한 것으로 교과활동과 교과 외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과 외 활동은 실천․체험 중심의 인성교육으로서 가치를 지닌다는 입장과 의미 있는 체험으로서 인성 함양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논의하였다. 넷째, 인성교육을 위한 잠재적 교육과정의 성격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해서는 수업 장면의 측면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차원으로 접근하는 입장과 교육적 실천과 문화로 바라보는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연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 교과에서는 실제 삶과의 관련 속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도덕과 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를 통해서도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과 외 활동을 개발하여 인성이 내면화될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인성교육을 위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교수․학습 방법을 넘어선 문화적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인성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국가 교육과정의 역할을 지원하기 위해서 중앙정부는 학교의 인성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을 설치하고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연계를 제시해 주는 온라인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방정부는 각 지역과 학교의 특색에 맞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학교는 인성교육의 장으로서 공동체로 변화될 필요가 있으며, 가정과 지역사회를 인성교육의 동반자로서 끌어들여야 한다. 교사 차원에서는 학습조직에 참여하는 등 교과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전문성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Recently, weakening of students' character and morality has been a serious issue in Korea. Accordingly, Amended National Curriculum of 2009 was amende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Bill’ was announced in 2014. Contrary to rising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 implementation of it in school is not operating well. There's a limitation that it focuses on moral education and apart from subject education. However, character education must be done in connection with variety of activities, and to enable that, discussion at curriculum level is need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fines character education as "education that fosters good character needed to live sound and healthy life as an individual and as a member of society." Based on such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oretical framework for discussing national curriculum's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and to study issues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four questions. First, what are major approaches on character education, and how does each assume about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 what has been the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o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Third, what are the issues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Fourth, which role should the national curriculum take in order to solve issues in character education? First of all, following major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had to be studied: Traditional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 Community of Community of care, Constructivist approach to sociomoral development, Eclectic perspective, Ethics of car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raditional perspective emphasizes on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formation of habit.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 set importance on character development consequent upon child development. Community of care emphasizes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building community of care. Constructivist approach to sociomoral development focuses on judgment about what is right and wrong. Eclectic perspective emphasizes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character which cover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Ethics of care focuses on formation of care relationship. Finally,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sists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of character including morality, sociability, and emotion. Viewed from the study on such approaches, ideal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morality, but should be related to various characters needed to live sound and healthy life. Also, it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all subjects and related values should be experienced through school education in general. And seven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were reorganized from th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spects: Virtue oriented approach,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ability, Caring oriented approach, Integrative approach, Social and emotional approach. Based on this, critical study on national curriculum's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is conducted. As a result, there was no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in 1st national curriculum. 2nd and 3r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virtue oriented approach, set importance on practice of virtue, but resulted in indoctrination of virtue. From 4th to 6th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ability, focused on development of judgment, but by overly emphasizing the form, it ignored the basic norms. From 7th to Amended National Curriculum 2007, integrative approach was emphasized. However,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were divided, resulting in hindrance to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character. Amended National Curriculum 2009, based on multiple approaches(caring oriented approach, integrative approach, social and emotional approach), failed to show consistent direction for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of character education announced after Amended National Curriculum 2009 showed following features: 1) they viewed character as multidimensional concept, 2) they emphasized values focused on the relatednes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in general, experien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3) they prescribed the role of school, family, society, and nation for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such analysis, four issues in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drawn from subject curriculum, not-subject curriculum, and hidden curriculum. Firs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wo conflicting points of view exist: 1)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re separate and independent, because they are different in nature, 2) character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subject education, so they are mutually supportive. Second issue is about establishment of subject for character education and following are three conflicting perspectives: 1) special subject should be established for character education, 2)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moral education, 3)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all subjects since it is the basic goals of all subjects. Third issue is about experience-center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s research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discussed about two conflicting sides: 1) extra-curricular activity has its value as experien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2) criticism on whether extra-curricular activity actually contributes to character cultivation as meaningful experience is raised. Fourth issue is about the nature of hidden curriculum for personality education. One side claims that hidden curriculum is teaching-learning method level in classroom and the other side clams that it is educational practice and culture itself beyond methods. There are three rol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First,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must be connected through moral subject and all subjects. Second,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could be connected with subjec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experience of character internalization. Third, hidden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at cultural level beyon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must provide guidelines in curriculum level about fostering atmosphere for character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guide the connection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all other educational activities. To achieve this, Central government must establish institutions to support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and must operate web pages that provide connection of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Local government must plan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and school, and must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schools need to be transformed as a community for character education and need to involve family and community as educational partners. Effort to develop expertise in connection of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such as participating learning organization, is needed from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