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6 Download: 0

학생으로서의 수학 학습경험과 부모로서의 수학 교육경험 간의 관계 분석

Title
학생으로서의 수학 학습경험과 부모로서의 수학 교육경험 간의 관계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Each Parent’s Learning Mathematics Experience and His or Her Instructional Method of Mathematics
Authors
조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래영
Abstract
Vygotsky(1930)는 역사성을 공유하는 집단 속에 속한 한 개인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사회성을 주장했다. 부모의 영향력 아래서 크던 아동이 학령기를 지나며 부모와 가족 외의 타인들을 만나고 그 속에서 옮고 그름을 판단하기 시작한다. 그 후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토대로 그 가치를 강화하기도 하고 정반대의 가치를 추구하기도 하며 자신의 세계관을 형성하게 된다. 수학교육에서의 부모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관련된 변인으로서 다룬 내용이거나 부모와 자녀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물이다. 이러한 연구물은 한 인간이 학생의 시기를 지나 성인이 되고 부모가 되는 연대기적 흐름을 간과하고 현재의 시간만 해석하는 연구들로 볼 수 있다. 10년 이상의 학창 시절을 보낸 후 부모가 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학생과 부모라는 두 경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연구물 대다수가 양적 연구로서 부모의 영향력을 10개 이상의 변수로 세분화하여 연구하고 있다. 양적인 연구의 정밀성을 더하기 위해 부모의 영향력을 더 세분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치하지 않는 연구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는 ‘부모’라는 한 개인 안에서 일어나는 교육 경험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 안에서 일어나는 수학 교과에 대한 교육 경험 메커니즘을 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수학교과에서 부모의 학창 시절 교육 경험과 부모로서 자녀에 대한 교육 방식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비슷한 연령대의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학창 시절 수학 학습 경험과 부모로서 경험한 수학 교육 경험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같이 고찰한다. 연구문제 1. 부모가 자신의 자녀에게 하는 수학 교육 방식과 자신이 학창 시절 경험했던 수학 학습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들이 받은 수학 학습 경험과 수학 교육 경험에 일반적인 패턴이 있는가? 2-1. 부모들이 학창 시절 경험했던 수학 학습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2-2. 부모들이 하는 수학 교육 방식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본 연구는 실증적인 사례연구로 다양한 수학 학습 경험을 가진 부모들을 직접 만나서 학창 시절의 학습 경험과 부모로서의 자녀 교육을 입체적으로 관찰하고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라는 방법을 택하였다. 인터뷰 프로토콜을 만든 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하여 검증한 후 7명의 연구 참여자와 개별적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는 모두 녹음한 후, 필사본으로 전사하였다. 데이터 분석 방법은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Glaser, 1965)를 따랐다. 7개의 사례를 각각 5회 이상 오픈 코드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축 코드표와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 결과를 얻었다. 코드표에 따라‘학생으로서의 학습 경험’과 ‘부모로서의 교육 경험’ 두 카테코리 안에서 7개의 사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사례 간 분석(cross-case analysis) 결과를 얻었다. 연구문제 1과 2를 통하여 부모로서의 교육 경험은 자신이 학생일 때의 학습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학창 시절의 정의(情意, affect)적으로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후 성인이 되어 수학의 필요성을 인식하더라도 자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먼저 사례 내 분석, 즉 연구문제 1의 결과를 통해 학생 때의 학습 경험이 부모로서의 교육 경험과 연관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자신의 수학 학습 경험 중 자신이 긍정적으로 판단한 것은 자신의 자녀 교육에 그대로 적용하는 패턴이 나타났을 뿐 아니라 자신이 수학 학습에서 부족하다고 느낀 점을 자신의 자녀 교육 시에 보강하여 적용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 분석을 위한 사례 간 분석 결과, 학생으로서의 학습 경험과 부모로서의 교육 경험에서 각각의 정의적인 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7명의 인터뷰이 중 6명이 수학 공부 방식, 수학 수업이나 수학 선생님에 대한 기억, 자신이 받았던 수학 교육 등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수학을 사고력과 논리력 향상, 타 교과·다른 학문을 하기 위해 기본으로 필요한 학문으로 여기고 있었는데 이러한 견해는 모두 학창 시절 이후에 겪은 경험으로 형성되었다.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의 결과가 나타내는 패턴은 학창시절의 부정적인 학습 경험이 부모로서의 교육 경험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성인이 된 이후 수학이 꼭 필요한 학문이라는 견해를 지니더라도 학창시절 수학에 대한 경험이 대부분 부정적이기 때문에 자녀가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이끄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수학 학습 경험은 자녀 수학 교육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가 성인이 된 이 후 수학의 필요성과 즐거움을 알게 되더라도 자녀의 수학 학습을 도울 때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학창 시절, 수학 과목에서의 실패와 정의적으로 부정적인 경험을 했던 학생이 성인이 되어 수학의 필요성을 재발견하더라도 자신의 부정적인 경험 때문에 긍정적으로 자녀의 수학 학습을 하도록 이끌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부모의 교육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학창시절의 학습 경험인데 이 학창 시절의 학습 경험은 이전 세대 부모의 영향을 받고 형성되며 학창 시절의 학습 경험과 부모로서의 교육 경험은 세대를 이어 연결된다. 즉 교육은 한 세대를 넘어서 이전 세대 학교 교육은 부모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부모들은 현재 자녀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순환 구조를 보인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수학 교육에서 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킨 점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부모 개입에 대한 연구에 다른 시각을 제시한 점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인터뷰이 대부분이 수학은 사고력과 논리력을 향상해주고, 타 교과 ·다른 학문을 위한 기본 학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터뷰이들은 중학교 2학년이나 고등학교 2학년을 기점으로 수학을 어려워하면서 멀어진 경향이 있으며 대부분 주입식 교육으로 흥미를 잃었고 수학 교사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성인이 된 후 수학의 필요성을 인식하더라도 자녀 수학 학습을 안내하는 긍정적인 방법을 찾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인 부모 교육과 학교 교육이 지닌 연관성을 고려할 때, 자녀 교육에서는 부모들이 수학의 부정적인 경험을 극복하고 자녀 수학 학습을 안내할 수 있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중등 과정에서 자녀 수학 지도를 위해 개설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수학 교과 내용 위주로 편성되어 있는데, 이와 더불어 교수법에 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기존의 부모 개입에 대한 연구에서는 연구결과가 일관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Keith et al.(1993)은 학생의 이전 학업 성취를 통제할 것을 제안했고, 변수용(2008)은 연구물마다 부모 개입에 대한 조작적 정의가 상이하고 연구대상인 학생의 연령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본 연구물은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고려해야 할 새로운 요인으로 부모가 지닌 학습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 Vygotsky (1930) presented that human beings should be raised in a group not alone. Children are influenced their parents during early childhood then they learn from other people at school and shape their worldview during adolescence period. A research on parents' personal experience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his or her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ir schooling age and instructional method they use on their children are essential. Almost of all research on parents role in mathematics education are related with children's scholastic achievement or interaction with them. Those researches tend to miss the aspect that students spend almost their lifetime with their parents. Current researches use the Quantitative Method in which parents' influence on their children is subdivided so the results of similar researches are different as well.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ys parents learned mathematics in their school days and how these affect the way they instruct mathematics to their children. The main qu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 parent's learning mathematics experience and his or her mathematics instructional method?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common patterns of the experience among the interviewees? 2-1. Are there common tendencies among parents' mathematics-learning experience? 2-2. Are there common aspects among parents' method of instructing mathematics to their children? This study adopted interview as a main research tool. The interview protocol for this study was pilot tested through preliminary. There were seven interviewees whose learning mathematics experience and instructional method of mathematics were very different.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documen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Glaser, 1965). Each case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Open Code over five times that resulted in both Axial Codes and Within-Case Analysis. The Cross-Case Analysis was obtained from the Axial Codes. The results are that parents' instructional method of mathematics is related to parents'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 Even though parents recognize the necessity and find the interest in mathematics, their changed point of view on mathematics didn't affect the instructional method parents used on their children..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 and their instructional method of mathematics from the research question 1 which was the Within-Case Analysis. Interviewees tended to guide their children on the base of their merits and demerits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schooldays. Second, the analysis on the answers to research question 2, Cross-Case Analysis, showed the common aspects such as passive learning style, the negative image of mathematics teachers, and the benefits of mathematics. Almost parents recognized the needs and became interests in mathematics after they finished the school not in school. As a result, the fact that their points of view on mathematics have been changed positively didn't mostly affect how parents guided their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The pattern found from analysis of answers to research question 1 and 2 is that the parents' negative mathematics experiences in affective domain work negatively when they instruct their children in mathematics. People could develop mathematical view of the world after adolescence period, nevertheless they could still find it difficult to guide their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 because of their past negative experience.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is affected by their parent's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s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parents' parents. In other words, parents'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ir school age has an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 as well as it had been affected by their parents. This is the reason why School Education should not overlook Parent Education. This study points out 2 things such as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and the clue about the researches about the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influenced by parental involvement. First, Education program which is made up of teaching method for parents who have teenagers is necessary in Mathematics Education. Most of present education program is for parents who have infant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rogram for parents who have teenagers consists of the content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presents that parents' experiences in mathematics-learning could be another reason for that the researches about the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influenced by parental involvement were resulted differently. Keith et al.(1993) suggested that students' prior scholastic achievement should be controlled and Byun et al.(2008) considered the different definition of parental involvement and different grade of children as the cause of inconsistency. Parents' experiences in mathematics learning could be another reason for incoheren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