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영상의 색채 보정에 의한 감성연구

Title
영상의 색채 보정에 의한 감성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motions by Color Correction of Images : Focused on Movies and Dramas
Authors
김보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영화의 제작방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촬영 당시에는 표현하지 못한 분위기나 감성을 색보정 기술을 통해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색채는 내러티브나 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감독, 촬영감독, 영상 컬러리스트 등의 제작자가 연출하고자하는 색감이나 분위기에 대한 보정 기술은 발전하고 있지만, 관객들과 연출자의 의도가 소통하고 있는지는 자세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즉, 제작진이 보여주고자 하는 감성에 시청자들이 동감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상색채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감성 분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정 감성을 전달하기 위한 영상 보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콘텐츠나 보정영역에 따라 감성의 차이가 있는지 등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장센의 요소로 영화색채의 특성과 색보정 기술에 대한 이론을 살펴본다. 또한 영상의 색채와 감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다. 둘째, 실증적 조사로 영상색채에 대한 감성 평가를 실시한다. 전역적 그리고 지역적으로 보정한 색채에 대해 시청자들의 감성반응을 알아보고 영상의 색상과 톤을 중심으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한다. 또한 통계적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색채별로 영향을 주는 감성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연구의 결론으로 전역적으로 보정한 영상색채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알아보았으며 색상과 톤을 중심으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하였다. 시청자들은 영상의 색채를 바라볼 때, 밝기나 온도감에 대한 판단을 하며 감정 상태와 관련된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색채 보정을 통해 온도감을 표현한 경우 시청자들은 연출한 바에 동감하였지만, 감정 상태를 나타낸 경우 시청자들의 반응은 연출한 바와 맞지 않았다. 또한 지역적으로 보정한 영상색채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을 알아보고 색상과 톤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하였다. 콘텐츠에 따라 감성에 영향을 주는 보정영역과 색채속성에 차이가 있었다. 클로즈업 샷 영상에서 시청자들은 얼굴의 밝기를 먼저 인식하고 롱 샷 영상에서는 배경의 색상을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특히 클로즈업 샷 영상에서 얼굴의 밝기에 대한 공통적인 감성이 존재하였다. 배경 영역에 보정한 색채에 대해 시청자들의 공통감성이 존재하며 콘텐츠에 따라 감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상의 색채보정을 통해 연출하고자하는 분위기가 관객에게 잘 전달될 수 있는 색채감성 활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전역적 또는 지역적으로 보정한 영상색채와 감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색상과 톤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하였다. 이는 영상의 색상, 명도, 채도의 입장에서 관객과 소통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As filmmaking methods change from analog to digital, mood or emotion that was not expressed during the filmmaking can be expressed through color correction techniques. Image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scribe narratives or emotions of the characters. Technical aspects of color and atmosphere that the producers, such as directors, cinematographers and colorists want to express are developing, but the intent of directors and communications with the viewer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if viewers are sympathize with emotions that the producers are trying to sh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motions of the viewers by image colors and suggest its emotion distribution. Also, direction of the image correction in order to deliver specific emotions will be suggested and difference of emo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s or correction area will be investigated.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s an element of mise-en-scène, attributes of film color and theory of color correction techniques will be investigated. Also, previous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colors of images and emotions will be reviewed. Secondly, emotions assessment on image color with empirical research will be implemented. Viewers emotions on global and local correction colors will be drawn, an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based on color and tone of image will be suggested. Also, by using statistical verification methods, emotions that have effects according to colors will be selected and comparison analysis for this will be condu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emotions of viewers on globally corrected image colors. Moreover,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with viewers on global color based on color and tone was suggested. Emotions of viewers on colors of images were shown in cognition of brightness, temperature sense and emotional reactions. Also, viewers sympathized with setting the scene for time and temperature sense from color correction, but viewers disagreed with directing emotional states. In addition, this thesis looked into viewers emotions on locally corrected image colors, an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with viewers on local color based on color and tone was suggeste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rrection area and color attributes that have effects on emotions according to contents. In close-up shot image, viewers recognized brightness of the face first before background. In long shot image, they preferentially judged color of background before face. Especially, there were common emotions of viewers according to brightness of the face in close-up shot image. Also, there was a common emotions for background color and there could b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ents. This study had a purpose of suggesting color emotion application plan to deliver mood to the viewers. Through this study, it investigated a relation between globally or locally corrected image colors and emotions. Also, it suggeste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with viewers according to color and tone of images. It is worth researching due to suggest a direction to reduce the gap of communication with view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