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최중원-
dc.creator최중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2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262-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초등학생들의 언어 사용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것을 개선하고자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의 실제 언어를 수집하였고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들에게 필요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생활 언어의 개념을 명확히 하여 아동의 생활 언어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생활 언어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그 다음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생활 언어의 범위는 크게 아동의 주요 생활공간인 학교 교실에서 일어나는 수업 상황에서의 언어와 그 외의 상황으로 제한하였고,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수업 상황에서의 언어는 아동의 실제 언어와는 다르다고 판단하여, 수업 상황 이외의 언어를 모두 아동의 생활 언어의 범위로 한정지었다. 계속해서 이 장에서는 아동의 생활 언어를 언어 발달적 측면에서도 살펴보았다. 어휘와 통사, 화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생활 언어의 다양한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생활언어의 개념과 기준, 아동의 언어 발달적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수집한 언어 자료를 대상으로 그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실태 분석을 위해 약 4 개월 동안 아동의 생활 언어 녹음을 실시하였다. 아동이 방과 후에 생활하는 공간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모든 언어를 녹음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기준은 크게 어휘와, 통사, 화용의 측면으로 나누었고 화용의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녹음 대상자들의 말하기 관련 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아동의 대화는 목적에 따라 정서 표현, 정보 전달, 문제 해결, 친교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동의 생활 언어 특징 가운데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말하기 측면 개선 및 관계적 측면에서 본 대화 내 태도 개선, 그리고 이것들을 아우르는 구체적 과제 수행을 통한 실질적인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초등학생의 실제 언어를 조사하여 그 시기 아동들의 생활 언어의 특징을 파악하였다는 것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이고 실질적인 언어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다만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저학년 아동이 한 학년으로 통일되지 않고, 언어 수집 대상 아동의 수도 적으며 성별 및 가정환경의 차이에서 오는 언어 사용의 차이로 인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일반적인 언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학령기 아동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알아감으로써 그 언어와 표현에 내재된 그들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언어 사용자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의 설계와 실행이 더욱 공고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recogni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s surrounding their use of language and to address them. To that end, children's actual language used was gather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to encou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mising future of South Korea, to use correct and desirable language. Chapter Ⅱ discussed the concept of daily-life language and defined its scope to present the criteria for children's daily-life language. The scope of daily-life language was divided into language used in class situations in their life space of classrooms, and into other situations, and children's language in class situations was decid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actual language used, and language outside class situations was defined as the scope of children's daily-life language. Furthermore, this chapter examined children's daily-life language in terms of language development. Their language was examined in terms of vocabulary, syntax, and pragmatic ability, revealing diverse characteristics. Chapter Ⅲ theoretically examined the aforementioned daily-life language concept and criteria, an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ir language status. To that end, children's daily-life language was recorded for four months. All language, used in children's after-school spaces, was recorded and analyzed in terms of vocabulary, syntax and pragmatic ability. To examine pragmatic ability, children's speaking characteristics were also surveyed. Children's conversation purposes were classified into expression of emotion, delivery of information, resolution of problems, and friendship,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Chapter Ⅳ proposes children's daily-life languag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Ⅲ. Speaking improve aspects of the part that can be pointed out as a daily-life language features of the problems of the child and the relationship of this in terms of attitude improved in dialogue and provide of a substantial improvement over the specific task performance across these. This study sought to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ual language used, to identify their daily-life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thu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ir language. However, the younger children which are the subject of research is not unified in one year and the child's language acquisition targets may be low and due to differences in language use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gender and home environments that can not be called a common langua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udy may be cited as a limitation. By knowing schoolchildren's actual language used, their thoughts and emotions, hidden in such language, can be understood, and the design and execution of the language training based on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you and we hope to be further strengthe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질문 11 D. 연구 대상 및 방법 12 E. 연구의 제한점 14 Ⅱ. 학령기 아동의 생활 언어에 관한 이론적 고찰 16 A. 생활 언어의 개념과 범위 16 1. 생활 언어의 개념 16 2. 생활 언어의 범위 19 B. 학령기 아동의 언어적 특징 22 1. 어휘 및 통사적 차원 22 2. 화용적 차원 24 Ⅲ.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생활 언어 사용 양상 분석 27 A. 어휘 및 통사적 차원 27 1. 어휘: 사용 어휘의 유형별 빈도 및 특성 27 2. 통사: 문장 구사의 특성 39 B. 화용적 차원 46 1. 대화 참여자 관련 특성 46 2. 대화의 목적에 따른 담화 유형별 특징 54 Ⅳ. 초등학교 아동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 88 A. 말하기에서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 88 1. 어휘 차원에서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 88 2. 통사 차원에서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 90 3. 화용 차원에서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 92 B. 관계에서의 생활 언어 개선 방안 94 1. 또래 집단과의 대화 내에서의 태도 개선 방안 94 2. 성인과의 대화 내에서의 태도 개선 방안 95 C. 과제 수행을 통한 생활 언어 개선 방안 97 1. 과제 수행을 통한 말하기 개선 방안 97 2. 과제 수행을 통한 대화 태도 개선 방안 99 Ⅴ. 결론 및 제언 102 참고문헌 106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54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생활 언어 양상 및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hildren of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s the language aspect of life and a study of improvement plan-
dc.creator.othernameChoi, Joong Won-
dc.format.pageviii, 110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