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전진하-
dc.creator전진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3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3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읽기 부진으로 학습 전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역교육복지센터와 연계하여, 학교에서 진행한 독서 멘토링 활동에 대한 것이다. 내러티브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교육부의 기초학력향상 정책의 지원 적용 시기를 비껴간 현재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여학생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였다.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지속적이고 건강한 성장을 위함과 동시에 미래 독서 멘토링 활동 운영 과정을 좀 더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의의를 두고 실행하였다. 멘토링을 주제로 한 이전 연구들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여 일반 학습지원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고, 멘토링 활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및 멘티 학생의 사후 결과 측정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연구자는 직접 멘토로서 독서 멘토링에 참여하여 위 활동을 하며 겪은 변화의 과정, 지도 계획을 세우며 직면한 어려움, 독서 멘토로서 갖추어야 할 수퍼비젼, 유의미한 독서 멘토링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학교 교사-멘토-사회복지사가 어떠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독서 멘토링 활동은 A 지역 교육복지센터와 B 지역 교육복지센터에서 각각 한 명씩의 여자 중학생을 배정받아 진행되었다. 위 활동은 모두 멘티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 내(內) 교육복지실 또는 위클래스 교실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은 2014년 8월 22일부터 11월 20일까지 총 14주간 진행되었으며, 연구 활동 시간은 방과 후, 일주일에 1회씩, 1시간 30분에서 2시간가량 주기적으로 이어졌다. 학생의 독서 멘토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인식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읽기 능력 검사지로는 국립특수교육원의 KISE-BATT 읽기 영역, 학지사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 체제(BASA) 음운 읽기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3R’s 기초 읽기 능력 평가를 독서 멘토링 활동 1, 2회기에 시행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텍스트는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현재 배우고 있는 국어 교과의 교과서 속 문학 작품 중 하나를 선정하였으며, 매 회기별 연구자의 현시적 지도법에 따라 읽기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중학교 1학년 멘티 학생은 교과서 속 ‘홍길동전’, 중학교 2학년 멘티 학생은 ‘꽃 신’을 회기 차별로 연구자의 도움을 받아 읽어나갔다. 이 외에도 학생이 개인적으로 작성한 일기, 독후감 등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일주일에 1회씩 진행하는 독서 멘토링 활동의 특성상, 물리적 시간 부족 해결을 위해 ‘밴드’와 ‘카카오톡’과 같은 비공개 형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다음 멘토링 시작 전까지 최소 3회 분량의 짧은 기사 글 형식을 업로드 하여 멘티 학생이 읽고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여자 중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독서 멘토링 사례 중심 연구이기 때문에 독서 멘토링 활동의 일반화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직접 실행한 연구를 통해 읽기 부진 학생들을 지도할 때 어떠한 난관에 부딪혔는지, 이러한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통솔하여 지도할 때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 등에 대해 그 과정과 결과를 일괄적으로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인지할 수 있었다. 우선, 독서 멘토링 활동을 수행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학생과의 ‘라포 형성’이었다. 멘토가 멘티 학생에게 동조하지 못하고, 학생과 멘토 사이의 기질적 특성이 상충될 때 수행 과정은 원활하지 못했다. 중학생 시기는 신체발달이 가장 급격한 성장을 하며 정서적인 방황을 하는 때이다. 그러므로 멘토는 멘티 학생 본인의 문제는 물론, 가정환경, 학교생활, 교우관계, 진로에 대한 고민 등에 대한 방향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넓은 시야와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확보한 상태에서 멘토링을 운영해야 한다. 또한, 읽기 부진을 겪고 있는 학생은 언어적인 표현력이 부족하여, 텍스트를 읽을 때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를 적절히 드러내지 못하는 때가 많다. 그러므로 멘토는 2) 독서 멘토링 활동 전, 읽기 능력 진단 검사를 통해 학생의 읽기 수준을 측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텍스트 종류 선정 및 효과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러 인물이 함께 나오는 소설을 읽을 때에는 3) 각 등장인물의 특성을 고려한 후, 대사에 감정을 이입하여 읽게 하는 것이 내용 이해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읽기 지도 멘토링은 교사의 시범 하에 학생과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독해의 과정을 중시하는 현시적 지도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교사 - 멘토 - 관련서비스 제공 담당자 - 학교행정가 - 담당 사회복지사】간 협력적 접근 체계를 갖추어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구자는 독서 멘토링 8회기부터 학교 담임선생님과 이메일을 통해 교류 할 수 있었는데, 이렇게【학교교사-멘토-사회복지사】의 관계가 협력적으로 형성될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직접 느낄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 지역 사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읽기 부진 학생들이 대학(원)생 독서 멘토링 활동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읽기에 대한 자신감을 얻음과 동시에 학습부진으로 박탈감 및 소외감을 느껴 좌절하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e study is about reading mentoring programme, at school with regional welfare center for education, for low-incom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with all over learning because of poor reading. This study focused on case study, applying narrative methodology and specified a first-grade middle school girl and a second-grade middle school girl who are excluded from basic academic level improvement policy as participants. It has significance on continuous and healthy growth for low-income students and smooth operation of reading mentoring programme. Previous research about mentoring mostly focused on studying support mentoring, specifi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participants, analyzed factors that affects mentoring programme and emphasized on measuring post-results. This researcher directly participated in reading mentoring as a would-be teacher and mentor,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change during the programme, the difficulty while making a guidance plan, supervision as a mentor, and cooperative system between school teacher, mentor, and social worker for meaningful reading mentoring programme. Reading mentoring programme is conducted with each middle-school girl from A education welfare center and B education welfare center. The programme was offered in education welfare class or 'Weclass' class of each student's school. The programme period is 14 weeks from August 22 to November 20 in 2014. The programme continued for about 1.5 to 2 hours once in a week after class. I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bout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reading mentoring, and KISE-BATT reading of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BASA phoneme reading from Hakjisa, 3R's basic reading ability evaluation fro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during the first and second reading mentoring programme. Based on the results, I selected literary works out of Korean textbook, considering student's academic level and interest, and operated each reading activity with student according to explicit instruction. The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 read 'Tale of Hong Gil-dong' in the textbook, and the second-grade middle school student read 'Flower shoes' with the researcher's help during each activity. I analyzed materials such as student's diary and book reports, as well. Also, I utilized private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Band' and 'Kakaotalk' because of the limited time of reading mentoring, once a week. I uploaded at least 3 short articles and asked mentee students to read and write a comment before the next mentoring activity. This study could not generalize all reading mentoring activity because it focused on reading mentoring case of two low-income middle school girls. However, it is worth researching due to describing difficulties to guide students with poor reading ability as a would-be Korean teacher by direct execution research and showing the guidance process and results about competence of a teacher to lead and guide these students efficiently. Through this research, I recognized these following things. At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1) 'rapport forming' with students during the reading mentoring activity. When the mentor could not sympathize with mentee and temperamental traits contradicted between mentor and mentee, the process was not smooth. Middle-school students are in the most rapid stage of physical development with the exception of infancy. Thus, mentors should operate mentoring with an effective guidance method and a large framework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mentee's own problem, family background, school life, peer relation, and future career. In addition, even though a student with poor reading ability already knew the text, she could not express it appropriately, because she lacks linguistic expressive skills. Therefore, mentor should 2)select reading texts and guide students effectively after measuring the student's reading ability through preliminary evaluation test before the reading mentoring, and considering the results. When reading a novel with many characters, 3) it was very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o read the dialogues with empathy after considering each character's traits. This reading guidance mentoring was conducted with explicit instruction which emphasizes on the reading process through instant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fter the teacher's demonstration. Finally, a vigorous interchange is needed to obtain a cooperative access system between <school teacher-mentor-service provider-school administrator-social worker>. This researcher interacted with homeroom teachers through emails after the eighth mentoring ended, and realized the synergy effect of education for poor-reading students in the cooperative access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eacher-mentor-social worker>. Through the research, I hope that students with poor reading ability who need help from regional society get confidence to learning through effective reading mentoring activity and break the vicious circle of social deprivation, alienation, and frustration because of poor performance at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대상 및 방법 3 1. 연구 참여자 4 2. 연구 방법 5 3. 자료 분석 8 C. 연구의 제한점 9 Ⅱ. 이론적 배경 10 A. 읽기 능력 발달 단계 11 B. 읽기 부진의 원인과 선별과정 18 1. 사회구조적 요인 18 2. 초·중등 읽기 성취수준의 간극 21 C. 멘토링 관련 선행연구 검토 26 1.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26 2. 독서와 멘토링의 결합 27 Ⅲ. 독서 멘토링 활동의 준비와 이해 31 A. 독서 멘토링 활동 일정 및 사전 교육 실시 31 1. A 교육복지센터 32 2. B 교육복지센터 36 B. 멘티 학생과의 라포 형성 40 1. 멘티 학생 분석 41 2. 활동 전 사전 질문 46 3. 라포 형성 결과 49 C. 읽기 능력 진단검사 실시 54 1. 국립특수교육원 KISE-BATT : 읽기 영역 55 2.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 체제(BASA) : 읽기 검사 59 3. 3R’s 기초학력 진단평가 : 읽기 영역 62 Ⅳ. 독서 멘토링 활동의 실제 63 A. 수업자료 선정 65 1.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이트 68 2. 교과서 속 문학 작품 72 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73 B. 공감하며 들어주기 86 1. 공감의 정의 86 2. 멘티 학생의 관심사 분석 89 3. 멘토의 자세 95 C. 독서 활동 96 1. 소리 내어 읽기 96 2. 현시적 교수법 99 D. 독서 멘토링 활동 과정에서의 성찰과 교훈 101 1. 멘토로서 읽기 교육의 중요성 체득하기 101 2. 활동 전·후 진단 평가 비교 103 3. 독서 멘토링 정기 협의회 107 4. 협력적 접근 체계 구축 110 Ⅴ. 결론 및 제언 115 참고문헌 119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31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읽기 부진 중학생 대상 독서 멘토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reading mentor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with reading: focusing on the case study through using narrative inquiry-
dc.creator.othernameJeon, Jin Ha-
dc.format.pageviii, 128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