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윤이랑-
dc.creator윤이랑-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학교 대화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일상적 대화 교육 전반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적 대화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말하기 유형으로, 화법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과 원리를 담고 있으며 공식적 담화의 토대가 된다. 대부분의 경우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대화를 잘 나누지 못하는 사람은 공식적인 담화에서의 말하기 또한 잘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대화는 긍정적인 가치관, 정체성, 높은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고 이는 삶 전반에 많은 영향을 준다. 반대로 이 시기에 상처를 주고받는 바람직하지 못한 대화는 학교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하고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악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일상적 대화는 자연스럽게 행해지는 만큼 바람직하지 못한 대화 습관 또한 쉽게 내면화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올바른 대화 방법을 학습하고 인지하여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 교육은 학교의 선택형 지필 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목표로 문어 중심 교육으로 행해졌으며 이 가운데 화법 교육은 연계성이 낮다는 이유로 외면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최근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공통 교육과정 내에서는 듣기·말하기 영역이 통합되었고, 선택 교육과정 내에서는 화법과 작문이 통합되었다. 이를 통해 화법 교육 전반의 입지가 더욱 좁아진 것은 물론 타 영역에 비해 성취기준 및 세부 내용이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이전부터 화법 내에서 공식적 담화보다 우선시되지 못하여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비공식적 담화 즉 일상적 대화 교육의 어려움은 더욱 증폭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일상적 대화 교육이 어떻게 구성되어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효과적인 교육과정 구성 및 교육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힌 뒤, 화법 전반과 대화 교육,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일상적 대화의 개념과 특성을 통해 범주 설정에 관한 논의를 하고, 교과서 분석을 위한 전제를 마련한다. Ⅲ장에서는 현재 일상적 대화 교육 전반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다. 교과서의 본문 및 학습 활동을 분석하기에 앞서 교과서 운영의 거시적인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교육과정 분석을 선행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본고에서 재설정한 일상적 대화 교육의 성취 기준 항목에 따라 학년에 따른 배열 양상과 교과서 반영 양상을 기준으로 분석한다. 교과서의 본문은 내용 구성 유형에 따라 설명형, 작품 제시형, 활동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학습 활동 유형은 각 유형별 목표에 따라 내용 확인 유형, 방법 및 전략 학습 유형, 대화 유도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상적 대화 교육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틀을 마련하고, 대화 교육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본문 및 학습 활동 유형을 탐구한다. Ⅳ장에서는 분석한 문제점을 토대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구성 방향을 모색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구성 방향으로는 일상적 대화 교육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성취기준을 재배열할 것과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는 성취기준을 통합할 것을 제안한다. 교과서 본문의 구성 방향으로는 설명형과 활동형을 잘 섞은 혼합형 본문을 구성할 것, 본문 유형에 따라 학습 활동 유형 또한 고려하여 제작할 것, 교과서에서 활용되고 있는 매체를 실제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학습 활동은 불필요하게 많은 양을 차지하는 내용 확인 유형을 최소화할 것과 방법 및 전략 학습 유형을 오류 교정, 대화 비교, 말하기 특성 도출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시하여 문항에서 요구하는 목표에 근접할 수 있게 하고, 수행과 점검과정을 구체화한 역할극 활동을 통해 대화 방법의 내면화를 위한 토대를 형성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과서 내에서의 일회적인 학습을 우려하여 습관화를 위한 수행 평가 활용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Ⅴ장 결론에서는 그동안의 연구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차별화 되는 새로운 영역에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그동안 교육적 처지가 분명치 않았던 일상적 대화 교육 양상을 분석하여 계획적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둘째, 교과서의 본문 및 학습 활동 유형의 비판적 고찰을 통해 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학습의 문제점 뿐 아니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큰 틀인 교육과정도 함께 비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일상적 대화 교육의 거시적인 측면부터 미시적인 측면에 이르기까지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셋째, 일회적인 단원 학습에서 그치는 교육이 아닌 일상적 대화의 전략과 방법을 통해 내면화와 습관화를 고려한 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점검과 조절 과정에서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삶 전반에 미치는 교육적 의의를 중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일상적 대화 교육의 올바른 처치와 바람직한 방향으로 점검, 조정이 이루어져 청소년기는 물론 삶 전반에 걸쳐 이상적인 화자, 청자의 양성을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middle school conversation unit, supplement general difficulties in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and establish measurements to fix the difficulties. Daily conversation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conversation in all types of conversations, it contains the most basic methods and fundamentals of conversation, and it acts as the foundation of formal conversations. Most people who are not capable of having daily conversations are also not capable of having formal conversations. Also, having appropriate conversation in adolescence influences the entire life and contributes to forming positive identity, values and high dignity. On the other hand, inappropriate conversation in those ages could lead to violence in school, and further lead to be a factor that harmfully influences the society. Daily conversation is done naturally in daily life, and thus inappropriate habits could be easily internalized, and once they do internalize, it is not easy to fix them. In conclusion, it is very important to habituate and internalize appropriate conversation methods in middle school ages. Our education, however, has been focusing on literary language only, aiming at the schools’ multiple-choice evaluations and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belittling conversation for low connectivity to those tests. Also, by recent revision of curriculum, listening·speaking sessions were merged, and speech·writing sessions were merged. Through the revision the position of speech education has been narrow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has been lowered, also. Because of the revision, the difficulties in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are increasing. Thus,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through examina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how daily conversation educations is composed of and applied in education site, and study efficient organization·method of the education. In chapter I, the research will state the purpose·need of the research, examine previous studies on speech·conversation education·revised curriculum, and present a research method on curriculum and textbooks. In chapter II, the research will discuss on setting categories through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daily conversation, and establish a precondition for textbook evaluation. In chapter Ⅲ, the research will examine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Previous to examining the body of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ies, examination on curriculum must be preceded to look at the macroscopic aspects of textbook operation.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must be examined by the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this research set. The bodies of the textbook will be categorized into explanatory text, piece-presenting text, and activity-presenting text and be examined, and the learning activities will be categorized into checking the text type, method·strategy learning type, and conversation inducing type. Through the categorizations and examinations, establish a macroscopic frame that shows the ultimate goal of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and study activity types that can efficiently present the ultimate goal of conversation education. In chapter IV, the research will seek organizing dir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based on the problems examined. As the organization direction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I suggest that the standards rearranged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and combine neglected standards into one. As for the textbook organization, I suggest that the textbooks include texts that mixes explanatory types and activity-presenting types, learning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types of the texts, and application of mediums in the textbooks. For learning activities, the number content-checking types activities must be minimized, and method·strategy studying types must be 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fixing mistakes, comparing conversations, and inducing characteristics in speeches to get close to the goal the question requires, and establish a foundation to internalize conversation method through role plays. Also, to avoid one-off learning of textbook, using performance evaluation for habituation is suggested. In chapter V, the research will summarize the study and present a integrated view of the limits and meanings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approaching a new field that distinguishes from previous studies. First, this research presents the need of planned education of daily conversation which has not been taking a definite position in speech education. Second, the research induces problems of current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in both macroscopic·microscopic aspects by critically considering current curriculum and presenting problems that exist in textbook-using education by examining textbook bodies and learning activity types. Third, the research plans education details that consider internalization·habituation through strategies·methods of daily conversation, and focuses on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influences learners. Through this research, I expect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to be checked·redirected to appropriate ways and raise ideal speakers and liste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9 Ⅱ. 예비적 고찰 16 A. 일상적 대화의 범주 설정을 위한 논의 16 1. 일상적 대화의 개념 16 2. 일상적 대화의 특성 19 B. 교과서 분석을 위한 전제 21 1. 본문 및 학습 활동 구성 원리 21 2. 본문 및 학습 활동 분석 기준 24 Ⅲ. 교육과정 및 교과서 일상적 대화 교육 양상 27 A.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판적 고찰 27 1. 학년에 따른 배열 양상 27 2. 교과서 반영 양상 30 B. 교과서 비판적 고찰 33 1. 본문 차원 33 가. 설명형 34 나. 작품 제시형 37 다. 활동형 42 2. 학습 활동 차원 47 가. 내용 확인 유형 47 나. 방법 및 전략 학습 유형 55 다. 대화 유도 유형 60 Ⅳ. 일상적 대화 교육 개선 방안 68 A.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구성 방향 68 1. 연결성을 고려한 성취기준 배치 68 2. 성취기준의 통합 제안 70 B. 교과서 구성 방향 72 1. 본문 차원 72 가. 설명형과 활동형의 혼합형 본문 제시 72 나. 본문 유형을 고려한 학습 활동 유형 제시 73 다. 매체를 통한 실제적 자료 활용 74 2. 학습 활동 차원 77 가. 내용 확인 유형의 최소화 77 나. 다양한 유형을 통한 방법 및 전략 학습 78 다. 수행 및 점검 과정이 구체화된 역할극 84 C. 수행 평가 활용 88 1. 대화 점검 일지 88 2. 가족 대화 성찰 및 점검 90 Ⅴ. 결론 93 참고문헌 96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173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일상적 대화 교육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국어 교과서 대화 단원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Improving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 Centrally on Examination of Conversation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Yoon, Yi Lang-
dc.format.pagex, 102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