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비평문 쓰기를 위한 문학 토론 지도 방안 연구

Title
비평문 쓰기를 위한 문학 토론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eaching method of literature debates for raising literary criticism ability
Authors
문하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문학 교육은 학습자에게 문학적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해 주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평생에 걸쳐 문학 작품을 읽고 주체적으로 분석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균형 있는 문학 능력의 신장과 문학 비평 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 토론의 지도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학 비평은 문학작품에 대한 해석과 분석을 거쳐 궁극적으로 문학 작품에 나타난 여러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문학교육에서의 비평은 전문적인 문학 연구가 아닌 학습자가 문학 교육의 맥락에서 작품 수용에서 작품에 대한 반응의 생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크게 지칭할 수 있다. 작품을 내면화 하고 작품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교육적 목적을 띤 문학 교육적 활동의 하나인 것이다. 문학 비평 활동은 개인적 활동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집단적 사고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의견에 대해 타당성과 논리성을 검증받으며 자신의 비평 활동을 더욱 심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문학 비평 활동은 학습자 공동의 이해, 해석 과정이 필요한 것이며 이는 주관적 의미를 객관화 시킬 수 있는 문학 토론의 형식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문학 토론이란 문학 작품에 대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존중하면서 그 해석들이 토론이라는 과정을 통해 더욱 정교화 되고 객관화 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곧 문학 작품을 읽은 학습자들이 토론의 과정을 통해 개개인의 문학 작품에 대한 내・외적인 해석을 심화, 확장시킴과 동시에 해석 공동체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고로 문학 토론은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과정에 필요한 과정이라 보고 문학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 토론의 지도 방안 연구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문학 비평의 개념과 문학 토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이는 Ⅲ장에서 문학 비평 교육과 문학 토론의 양상을 살피는데 그 이론적 바탕이 되었으며 Ⅳ장에서 문학 비평을 위한 문학 토론의 모형을 설계함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Ⅱ장은 크게 문학 비평과 문학 토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이루어졌으며 우선 문학 비평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다룰 문학 비평의 개념을 설정하고 문학 비평과 다른 개념을 비교하면서 개념을 확정짓고 문학 비평의 특성을 파악했다. 다음으로 문학 비평과 문학 토론의 중추 역할을 할 문학 비평에 있어서의 문학 교육적 준거를 살펴보았다. 그 준거로 문학 교육과정에서도 문학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에이브럼즈의 분류 기준을 근거로 삼아 문학 비평의 문학 교육적 준거로 표현론적, 모방론적, 효용론적, 구조론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학 토론의 개념과 모형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화법 교육에서의 토론과는 다른 문학 토론의 개념을 확정짓고 이러한 문학 토론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본 연구의 큰 틀이 될 문학 토론의 모형을 살펴보고 참고할 모형을 확정지었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국어 교과서에서의 문학 비평과 문학 토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내에서 문학 비평과 문학 토론의 양상을 어떻게 살펴볼 수 있고 이의 위상은 어떠한지 살펴보았으며 문학 비평과 문학 토론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유의미하고 시의성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 아래 사용되고 있는 14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문학 비평 단원이 교육과정이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단원의 구성과 학습 활동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학 토론이 국어 교과서의 학습 활동으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이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문학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 토론의 모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지도 모형은 문학 비평의 준거 아래 토론의 4단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비평 활동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문학 작품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모형이 다른 문학 토론과 다른 점은 문학 토론의 목표가 문학 교육적으로 확실하다는 것이다. 문학 비평 준거에 따른 비평 활동이 강조가 되며 개인적인 비평 활동에서 더 나아가 토의와 토론을 통한 집단적 사고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비평 활동을 더욱 심화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 지도 모형의 큰 의의라 하겠다. 본 연구는 문학 비평 활동과 문학 토론의 과정을 상호 보완하여 문학 능력 신장을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문학 비평 활동을 집단적 사고 과정인 토론을 거치게 함으로써 주관적 의미의 객관화와 자신의 비평 활동에 대한 수정・보완의 과정을 마련하였으며 문학 교육적 목표 학습이 부족한 토론의 과정에 그 목표를 확실히 하게 하였다. 앞으로 문학 비평과 관련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 되어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문학 작품을 비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더욱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Literature is not to deliver a one-sided literary knowledge to the learner but to foster the ability to analyze critically independently through reading literary works throughout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teaching plan for the extension of the balanced literature ability and literary criticism ability. Literary criticism is ultimately to assess the various values shown in the literature through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Criticism said by the literature education generally is different from professional literature studies, learners are largely the whole process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works in response to the accepted literature work in context of literature education. It is one of the educational activity with purposes of internalizing literature works and understand them deeper. Literature criticising activity should not end up as personal activity but to be judged its logicality and validity about their opinion through discussions and can further intensely develop oneself’s criticising activity. Thus, literary criticism activities need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interpretation process which can be in the form of literature discussion structure. Literary discussion is a process to help interpretations to be further refined and objectified by respecting various interpretations of learners about a literary work through a process of discussion. This can be said as a process of expanding horizon of analysis community in parallel with deepening and enlarging the inside and outside interpretation about individual literature works within learners who read literary works. Therefore,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literary discussion is done for extension of literature criticising ability by thinking the positive possibility of literature discussion as a method for raising the ability of literature criticism. In chapter Ⅱ, theoretical review about concept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discussion was carried out. This became the theory background for looking at the aspects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education debate of chapter Ⅲ and acted as the rationale for designing a model of a literary forum for literary criticism in chapter Ⅳ. ChapterⅡ is largely about theoretical study on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discussion and first, concept of literary criticism was set which will be addressed in this study relating to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criticism was compared with other concepts to confirm the concept and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criticism. Finally, compliance of the educational literature was examined for literature criticism which will be acting as the backbone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discussion. To conform, classification criteria of Abrams’ was applied as the evidence which provides various methods to get into literature in literary education. The classification includes semantic representation, imitation holistic, holistic utility and absolute viewpoint. Then the theory of the concept of literary discussions and models were looked through. Concept of literary debate was confirmed which is different from debates of narrative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is debates were examined and reference models were confirmed which will be used to finalize the big picture of literary debate. In chapterⅢ, patterns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debate of 2009 revised curriculum and applied Korean literature textbook were looked through with theoretical premise of chapterⅡ as background. Pattern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discussions within the curriculum and its phase were reviewed. Study about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discussion was confirmed to be quite significant timeliness. Following the 14 different types of textbooks within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set as target to examine how literary criticism section is being used under the curriculum in detail. Purpose was to look at the aspects of the structure and activities of the section and present a model for the study with improvements by finding out the problem in the structure and activities of the section. Furthermore, it was to check how literary debates are 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textbooks in what kinds of educational activities to find a solution about the problem present. In chapter Ⅳ, methods and system are suggested for extension of literary criticism ability. Teaching model of this study suggests 4 levels of debates under conformity of literary criticism and learners actively proceed with the review activity and can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his study model has different point with other models which is that aim of literary debate is clear in literary education. The big value of guidance model in this study is that learners can intensely develop their criticising ability through debates and discussions, group thinking activity through emphasized criticism activity for improvement in literary criticism. In addition, actual discussion with specific action plans was presented based on real lesson situation and its significance is sh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model to complement literary criticism ability and literary activities each other for the parts in lack individually. However, there is a disappointment in teaching method as each literature area characteristic is not revealed properly and this study only provides new teaching plan of literary debates for improvement in literary criticising 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carry further study about effect verification. I expect learners to be the subject in the future and actively criticise literature works with variety of pl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