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Design Based on SMART Eduucation
Authors
최민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The acceleration towards creative learning community/society in a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changing our lives and values opening a new era of educational paradigm. SMART education which is presented as a paradigm of a future education that requires ICT based environment that allows access to learning and communication anytime and anywhere is not simply an education using technology but a new educational system.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should support the mode/form of learning upon an understanding of key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The author has conducted a bas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based on SMART Education” which was published in an academic journal. This study is intended to modify, amend and further develop the basic idea thereby proposing a design model of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that support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centered form of learning in SMART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I stresses the need of change in learning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propose a learning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study are described. Chapter 2 looks into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through references from home and abroad and identifies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that supports the form of learning in SMART education. Chapter 3 examines the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and illustrat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space described in Chapter 2 is actually represented. In Chapter 4, an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design is proposed that supports the student-centered interactive learning to which the design aspect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pace derived from Chapter 3 were implemented. Chapter 5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design output that were proposed from this study and concludes by ascertaining the meaning of the study and its limitation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SMART education is a comprehensive educational system that fosters the creative individuals with the competency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Learning space is a tool to cultivate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student as well as an experiential space. SMART education integrated Learning space caters to the student-centered, nomadic form of learning that can be accessed anytime and anywhere and experiential form of learning. Learning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has a characteristic of Flexibility. Flexibility allows variations through structural versatility and variability of elements. Secondly, it has a characteristic of Mobility. The nomadic attribute where the student freely chooses its location around the space and the increase in informal learning account for the emphasis on the utilization of the transition space and inter-space. Thirdly, it has a characteristic of openness. Openness in a learning space is expressed through the expandability of space to enhance the experiential learning and social interaction and the ambiguity of boundary. With this, a design of an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is established that caters to a student-centered interactive learning based on ICT with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Based upon above research, this proposed learner oriented learning space in elementary school supported by ICT and interactive learning system. To create the space, the following design expression method has been adapted. Floorplan is structured by landscape type design. Objectives in learning space and movable walls with furniture are introduced for more flexible space design. Path way was expanded and in-between space were used to enhance accessibility movability to learning space. Finally, open space has been expressed through visual transparency, physical expandability, open and variable boundary factors. Such a designed learning space in above accomodates various learning types, quickly reacts to change of number learners in class, and supports whenever and wherever learning environment, which can invite more different experiences and active interactions among learne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Learning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has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Mobility, and Openness. These are the spatial attributes that fulfill the conditions which cater to SMART education form of learning,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experiential and interactive space. A student-centered interactive learning space model is established which was implemented in an actual elementary school setting, This space design process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to provide a design for a learning space that appropriately supports SMART education and anticipates that it will play a sufficient role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and experiences to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디지털 융복합환경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의 가속화는 우리의 삶과 가치관을 변화시키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시대를 열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미래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기술을 활용한 교육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 체제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공간은 스마트교육의 핵심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학습형태를 지원하는 공간이어야 한다. 본 연구자는 학회저널을 통해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공간의 특성 연구’라는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수정, 보완하고 심층 발전시켜, 스마트교육의 학습자중심 학습형태 특성을 지원하는 초등학교 학습공간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Ⅰ장에서는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습공간 변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그 대안으로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학습공간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스마트교육 학습형태를 지원하는 초등학교 학습공간의 조건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공간 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해, Ⅱ장에서 밝힌 학습공간의 특성이 실제 공간에서 어떤 양상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한 학습공간의 디자인 양상과 표현특성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적 학습을 지원하는 초등학교 학습공간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제Ⅴ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적 바탕과 디자인 결과물의 연계성을 확인하고, 연구의 가치 및 한계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은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종합적인 교육체제이며, 학습공간은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도구이자 삶을 통한 체험적 학습공간이다. 스마트교육을 지원하는 학습공간은 학습자가 중심의 학습형태를 지원하고,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유목적 학습형태를 지원하며, 체험적 학습형태를 지원한다.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학습공간은 첫째, 유연성을 가진다. 학습공간에서의 유연성은 구조의 다기능성와 요소의 가변성을 통해 다양한 지원성을 갖는다. 둘째, 이동성을 갖는다. 학습공간에서의 이동성은 학습자가 원하는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동하는 공간의 유목성과 비형식 학습의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이동 공간 및 사이 공간의 활용성이 강화된다. 셋째, 개방성을 갖는다. 학습공간에서의 개방성은 체험적 학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강화를 위한 공간의 확장성과 경계의 모호성을 통해 표현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상호작용적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자 중심의 초등학교 학습공간을 제안하였다. 그를 위해 다음과 같은 디자인 표현방법이 적용 되였다. 랜드스케이프적 평면구조 그리고 오브제적 학습공간을 구성하고, 가변적 벽체와 이동식 가구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공간으로 디자인하였다. 통로공간을 확장하고 사이공간을 활용하며, 각각의 학습공간에 접근과 이동이 용이한 구조를 통해 접근성과 이동성이 강화된 공간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각적 투명성과 물리적 확장성, 열린 경계와 가변적 경계요소를 통해 개방적인 공간을 표현하였다. 이렇게 계획된 학습공간은 다양한 학습형태를 수용하고, 학습인원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지원성을 갖추어 다양한 체험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내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학습공간은 유연성과 이동성, 개방성을 가지며, 이는 스마트교육의 학습형태와 기술적 기반, 체험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공간적 조건을 충족시키는 공간특성이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디자인 표현방법을 파악하고, 실제 초등학교 학습공간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적 학습공간 모형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공간디자인 과정은 스마트교육을 위한 적절한 지원성을 제공하는 학습공간 디자인을 모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초등학교 학습공간이 학습자들에게 성장과 발달 도구로써, 소통과 체험 장소로써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