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최효선-
dc.creator최효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동화 현상에 대한 산출과 규칙 인지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교육 분야의 발음 연구가 초분절음을 대상으로 연구할 만큼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만, 음운 현상에 관한 연구는 한국어 음운 규칙 전반에 대한 대략적인 습득 순서나 교수 방안 제시로 그치고 있다. 한국어는 교착어로 조사나 어미의 결합이 활발하고, 음절 경계에서 음운 변동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음운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다. 또한 음운 규칙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만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음운 현상을 습득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한국어 음운 규칙 현상을 대략적으로 다루기보다는 하나의 개별적인 음운 현상에 집중하여 분석하고, 학습자의 음운 규칙 습득 양상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런 점에서 개별적인 음운 현상으로서 한국어의 비음동화 현상에 집중하였다. 한국어의 비음동화 현상은 음절 말 장애음이 후행하는 비음의 영향으로 동일한 조음 위치의 비음으로 동화되는 현상이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에 대한 습득 양상을 측정하고, 비음동화의 실현 환경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는 숙달도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의 습득 양상을 분석하였다. 숙달도 구분을 위한 숙달도 검사지를 비롯하여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 측정을 위해 실험 문항을 읽는 비음동화 산출 시험지를 개발하였고, 비음동화 규칙 인지 측정을 위해 올바른 비음동화 발음을 고르는 사지선다형의 비음동화 규칙 인지 시험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비음동화 실현 환경에 따라 학습자의 산출은 어떠한가, 둘째, 비음동화 실현 환경에 따라 학습자의 규칙 인지는 어떠한가이다. 실현 환경은 비음으로 동화되는 음절 말 장애음의 종류, 동화 정도, 단어와 어절 내 형태소 경계 인식으로 구분된다. Ⅱ장에서는 음절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조하였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음절 유형의 차이를 확인하고, 두 언어의 음절 구조 제약과 음절 배열 제약에 대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동화 현상을 중심으로 음운 현상을 대조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구상하고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도구를 마련하였다. 비음동화 산출을 측정하기 위해 비음동화의 실현 환경에 따라 총 64개의 실험 문항을 구성하여 비음동화 산출 시험지를 개발하였다. 비음동화 규칙 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총 32개의 실험 문항을 구성하여 올바른 발음을 선택하는 사지선다형의 비음동화 규칙 인지 시험지를 개발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실험 도구의 적절성을 보완하고, 본 실험은 서울에 소재하는 7개 대학 및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 중 초급 학습자 20명,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비음동화 실현 환경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 시험의 각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는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점수화하여 코딩하고 SPSS Statistics 2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ɑ=.05에서 이원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에 대한 기술통계 값과 각 문항에 대한 정답률을 보고하고 추가적으로 세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 간의 상관 분석은 피어슨 상관계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1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동화 산출을 하위 연구 문제인 장애음의 종류, 동화 정도, 단어와 어절 내 형태소 경계 인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먼저 장애음 /ㅂ, ㄷ, ㄱ/의 종류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장애음의 종류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장애음의 종류보다는 음절 말 장애음이 가지는 성격에 따라 비음동화 산출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형태와 음이 같은 /ㅂ, ㄷ, ㄱ/와 음절 말 중화를 거쳐 장애음으로 발음되는 /ㅍ, ㅅ, ㅆ, ㅈ, ㅊ, ㅌ, ㅎ, ㄲ, ㅋ/와 겹받침으로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는 /ㄼ, ㄿ, ㅄ, ㄳ, ㄺ/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동화 정도에 따라 부분동화와 완전동화 유형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인 학습자는 부분동화보다 완전동화 유형의 비음동화 산출에서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단어와 어절 내 형태소 경계 인식에 따라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어절 내에서 비음동화가 실현될 때보다 단어 내부에서 비음동화가 실현될 때 학습자의 비음동화 산출 정확도가 높았다. 중국어는 음절 경계 인식이 뚜렷하기 때문에 음절 경계에서는 쉽게 음운 변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한국어의 형태소 경계 인식이 음절 경계 인식에도 반영되어 비교적 형태소 경계 인식이 쉽게 일어나는 어절 내에서 음운 변동을 적용하지 못 하는 것이다. 이어서 연구 문제2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동화 규칙 인지 시험 결과를 하위 연구 문제인 장애음의 종류, 동화 정도, 단어와 어절 내 형태소 경계 인식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비음동화 산출 시험 결과와 유사한 습득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의 관계가 모든 실현 환경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었고, 숙달도가 높아진다고 해서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었다. 비음동화 실현 환경과 숙달도에 따라 다양한 습득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언어 산출과 인지가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하며, 한국어의 음운 현상의 복잡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Ⅴ장에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적인 음운 현상으로서 한국어 비음동화에 주목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 습득 양상을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개별적인 음운 현상 하나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절 구조의 차이에 기인한 비음동화 습득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숙달도에 따른 차이, 음운 현상에 대한 규칙 인지와 산출의 관계를 다양한 실현 환경에 따라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와 같이 한국어의 개별적인 음운 현상에 관한 습득 연구가 확장된다면, 한국어 음운 규칙 전반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의 습득 양상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발음 교수를 위한 기초 자료로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s production and cogn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an explosive growth of researches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However, most of them only show general acquisition orders or teaching methods on Korean phonological rules. Phoneme fluctuation in syllable boundary frequently occurs in Korean. As a result, the phonological system of Korean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has been considered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Chinese which is an isolating language. Therefore th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has been limited by the sole explicit explanation about phonological rules. Thus,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production and cognition aspects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as an individual phonological phenomenon. To give a general idea, assimilation takes place when a sound becomes like a neighboring sound. In Korean, nasal assimilation occurs when Korean obstruents, namely /ㅂ, ㄷ, ㄱ/, become [ㅁ, ㄴ, ㅇ] respective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sal sound that follows.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hinese learners’ production and cogn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first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while the second one, multiple-choice tes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The procedure and conten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Ⅰ expl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advanced research. The research problem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how do Chinese learners produce Korean nasal assimilation in various aspects? Second, how do learners recognize the rules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in various aspects? The aspects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are categorized as obstruents /ㅂ, ㄷ, ㄱ/, degree of assimilation, and recognition of the morpheme boundary in a word and cluster. Chapter Ⅱ examines Korean and Chinese syllabic structures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demonstrates their contrasts.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e syllabic structures and arrangements of Korean and Chinese syllables are summarized. Lastly,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Korean and Chinese a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assimilation phenomena. Chapter Ⅲ formulates the method of this study and establishes the experiment instruments to measure the production and cogn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of Chinese learners. The test for measuring the production of nasal assimilation is composed of 64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aspects of nasal assimilation. The test for measuring the cognition of nasal assimilation’s rules consists of 32 multiple-choice questions in which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correct pronunciations. Th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20 beginning level learners, 20 intermediate level learners, and 20 advanced level learners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 from among Chinese learners from 7 universities and Korean language institutes affiliated to universities in Seoul. Chapter Ⅳ analyz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first research problem is about how Chinese learners produce Korean nasal assimilation. As the research subproblem, the results of the cognition on Korean nasal assimilation a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obstruents /ㅂ, ㄷ, ㄱ/, degree of assimilation, and recognition of morpheme boundary in a word and clus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obstruent on the last syllabl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Then the production of the assimilation divided into partial assimilation and total assimilation according are analyzed. It is revealed that the learners’ production of total assimilation is more accurate than that of partial assimilation. Lastly, how recognition of the morpheme boundary in a word and cluster affect th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is analyzed. When nasal assimilation is realized within a word, the learner’s accuracy of the production of nasal assimilation is high. However, rather than the realization within a word, it is easier for the cognition of the morpheme boundary to take place within a cluster. It turns out that the Chinese learners face difficulty in applying phonological fluctuation that is beyond the syllable boundary because the recognition of the morpheme boundary has an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syllable boundary. Subsequently, the cognition aspect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of the Chinese learners is analyzed in response to the second research problem. Similar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the result of the cognition i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obstruents /ㅂ, ㄷ, ㄱ/, degree of assimilation, and recognition of the morpheme boundary in a word and cluster. In general, the result is similar to that of the produc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As a result, a profound inter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the cogn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have been realized. However, the scores of the production and cognition do not always increase even if the proficiency becomes higher. On top of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the cognition does not turn out similar in all aspects of nasal assimilation. Chapter Ⅴ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many aspects. First of all, it focuses on the Korean nasal assimilation as an individual phonological phenomenon. Second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nasal assimilation is considerably complex in various aspects. Also, this study analyzes both the production and cogn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Therefore, this study can become a reference to future studies that aim at expanding the knowledge about th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phonological phenome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0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B. 선행 연구 04 C. 연구 문제 10 Ⅱ. 한중 음절 구조와 음운 현상 대조 12 A. 한중 음절 구조 12 B. 한중 음절 구조와 배열 제약 17 C. 한중 자음동화 현상 22 Ⅲ. 연구 방법 28 A. 예비 실험 28 B. 본 실험 29 1. 연구 대상 29 2. 실험 도구 33 3. 분석 방법 42 4. 연구 절차 43 Ⅳ. 연구 결과 46 A.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동화 산출 46 B.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동화 규칙 인지 96 C.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동화 산출과 규칙 인지의 관계 135 Ⅴ. 결론 142 참고문헌 146 부록 149 <부록 1> 기초 설문지 및 숙달도 검사지 149 <부록 2> 비음동화 산출 시험지 152 <부록 3> 비음동화 규칙 인지 시험지 154 ABSTRACT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2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동화 규칙 인지와 산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Chinese Learners’ Production and Cognition of Korean Nasal Assimilation-
dc.creator.othernameChoi, Hyo Seon-
dc.format.pagexiv, 160 p.-
dc.contributor.examiner박나리-
dc.contributor.examiner권성미-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