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7 Download: 0

주변의 사물과 골목의 향연

Title
주변의 사물과 골목의 향연
Other Titles
Feast of Perimetric Objects and Alleys : Focused on the My Artworks
Authors
서미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순옥
Abstract
주된 것, 평준화된 것들 주변에 위치한 가장자리는 주류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존재이다. 본인은 낮은 곳에 눈높이를 맞추어보면서 그 곳에 위치한 작고 소소한 것들의 가치가 주된 것의 가치와는 또 다른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그림과 액자의 지칭에서 시작된 ‘에르곤’(Ergon)과 ‘파레르곤’ (Parergon) 이론을 참고하여 밝히고자 한다. 더 나아가 작은 목소리를 내는 것들에 귀 기울여보고 주류와 비주류 사이를 서로의 가치와 다양성에 대한 인정으로 동등하게 봄으로써 경계 자체를 무의미하게 보고자 한다. 유년 시절부터 본인의 삶에 영향을 준 골목과 주변의 언저리 공간들은 도심 속 가장자리와 같으며 지나간 시절의 향수와 어우러져 하나의 놀이 공간과 같이 인식되었다. 본인은 이러한 골목을 외부에 존재하는 ‘방’과 같은 공간으로 보고 한국의 공동생활의 장으로 쉼과 문화공간인 전통마당의 개념과 연관지어 해석하고자 한다. 건축 공간으로서 주택과 그에 의해 형성된 골목은 정확히 나누어지지 않아 혼재되고 미로처럼 보이지만 암묵적인 약속들이 숨어있어 나름의 규칙이 있고 유기적이다. 구석구석 숨겨진 공간, 자투리 공간 속에는 틀에 맞게 짜여진 고층 아파트와는 달리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 서로 얽혀 있어 구불구불한 골목 공간 사이에는 그 틈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작은 사물들이 존재한다. 그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 소유인 이러한 사물들은 우연한 만남을 통해 사물들 주변의 사건들과 연관되어 본인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는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게 하는 가벼운 상상으로 발전하게 되고 그 안에서 조형성과 유희성을 찾아나가게 한다. 본인은 이러한 골목 공간과 사물들을 각각 하나의 이미지로 읽고 있으며 이를 조형언어로 표현해보고자 하였다. 골목 사이사이 놓여있는 이미지들은 버려진 것들을 모으는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넝마주이’와 같은 자세로 관찰되고 주워 담아지게 되며 본인의 캔버스 공간 안에 수집되어 새로운 조형언어로 펼쳐지게 된다. 내놓아진 화분과 식물들을 모아놓기도 하고 주택가의 주소로 불리는 다양한 문들을 캔버스 안에서 제약 없이 자유롭게 담게 된다. 또한 수집한 이미지들로 혼재된 공간을 만들어 경계와 공간에 대한 해석을 폭넓게 담으려 하며 그 안에 본인의 소소한 상상력을 표현하려 한다. 사소하고 미미한 것들, 주변의 것들은 언제나 작은 비중으로 보여지지만 중요하지 않다고는 할 수 없는 그들만의 가녀린 숨결이 있다. 본인은 그들을 모아 가장자리에 있는 것들의 향연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것들의 유희적인 모임이 많은 현대인들이 느끼고 있는 마음의 공허함을 채워 주고 중심과는 또 다른 가치가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길 바란다.;This paper aims to adjust its view to a lower level and reflect my attempt to bestow significant values to small and miniscule things. The marginal things that are located near the primary or standardized are prerequisites for creating the mainstream. Furthermore, this paper will show the beneficial capabilities of minor objects (other than major ones) by referencing the theory of ‘Ergon’ and ‘Parergon’ which both are start from the designation of a painting and its surrounding frame. In addition, by heeding onto entities that make small voices, my goal is to equalize both values of the majority and the minority, embrace diversity of different entities and semantically nullify the invisible boundary which segregates and distinguishes the two groups. A certain alley and its surrounding edges of space which have influenced my life since childhood are the same as the marginal areas in a city. They are perceived as a playing space harmonized with nostalgia. I intend to treat this alley as an outer room and correlate the notion of traditional yard which is a cultural space for relaxation in terms of Korean community life. The dwellings that a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back-alleys may seem to be in disorder and resemble a maze, but these places have their own implicit rules and systematic attributes. Unlike the fixedly constructed high story apartments, it is possible to discover individualistic identities of people who are having different lives in small, hidden places. Our curiosity on small things happening around the narrow crevices in those spaces develops into small imaginations diverted from the reality and thus enables the discovery of its plasticity and pleasure. I view each of the alley spaces as an image and attempt to express those images in artistic language. The concept of ‘Lumpensammler’ (rag-picker) mentioned by Walter Benjamin refers to collecting discarded objects and is one of my inspirations for my artworks. This concept is applied to my viewpoint while examining miniscule things originated from an alley. After the examination process, those objects are depicted on my canvas in a new form of artistic language. Without any restriction, the canvas can also embody flowerpots, plants and even various gates that mark individual dwellings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By using these collected images, I conclusively aim to create a combined space and include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 on spaces and boundaries. My final objective is to express my trifling imagination within that space. Insignificant, trivial and perimetric things might be regarded less important than major ones but they have their own subtle vitality. I attempt to establish a collective set of those small things and create a festive atmosphere around them. It is expected for this type of gathering to fulfill its role of relieving modern people’s emotional emptiness and accomplish its other significant purposes which differ from those of the majo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