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SIRIRAT, SIRINAT-
dc.creatorSIRIRAT, SIRINAT-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7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770-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aims to study the ways in which Thai Korean major and minor students in Thai universities with a command of intermediate Korean proficiency, perform speech acts of compliment. It focuses on a comparative study of cross cultural pragmatics concerning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performed by groups of native Koreans, Korean – illiterate Thais, Thai students who learn Korean in Thailan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dissertation, I follow three approaches in each step of the research process, namely, interviewing, questionnairing and the Oral DCT(Discourse Completion Test). The dissertation is elaborated below: Chapter I states the objectives and the raison d'être, as well as review the predecessor literature related to the topic in question. The literature review demonstrates that most of the research papers in Western countries revolve around the study of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performed by Western people in comparison with those performed by the person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Most of the research papers conducted in South Korea focus on the study of the same performed by the Koreans in comparison with those performed by the Americans. In Thailand and South Korea, the research papers on the speech acts of the same type performed by the Thais who learn Korean have been so far absent. Chapter II studies the theorie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of this dissertatio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one studies meanings or definitions of the term “compliment”, its special features, its syntactic structures and its frequent subject matters. The second examines theories concerning cross cultural pragmatics, studying pragmalinguistics and sociopragmatics failures, which may account for Thai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s pragmatics failure. Chapter III examines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1) Are Thais’ and Koreans’ ways of performing speech acts of compliment the same or different and how? (2) How social factors such as gender, intimacy, and the social differences between the speakers and the listeners, influence the ways Thai students of Korean perform this type of speech acts? (3) Do Thai students of Korean encounter any pragmatic failure and how? In addition, there was an examination of the possible causes of this failure. In this chapter, I also determine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tools, the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data assessment methods so that they could help answer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mentioned above. The whole research process runs as follows: First, I interview a group of 30 Korean students and a group of 30 Korean illiterate Thai students (the total number of the students interviewed is hence 60) so as to get the authentic data regarding the situations where compliments are uttered. The data enable me to determine who give compliments, when these compliments are given, and what the compliments in each situation are. The data collection completed, I compare these situations and then select only 36 of them that are common in both groups. In each of these selected situations, the social variables that are capable of influencing the ways speech acts of compliment are performed in the groups, namely, genders (male and female), intimacy levels (intimate and distant), and social status (higher, equal, lower), are assigned. In order to check whether all of these situations are credible and appropriate for complimenting, I design and then hand out the questionnaires to a group of 50 Korean students and a group of 50 Korean illiterate Thai students (numbering 100 students in total). Then, I select among these situations only 24 that have the average result of more than 3.5. I also divide the people into three groups: (1) Korean students (2) Thai students (3) Thai students who learn Korean. There are twenty students in each group, hence numbering 60 in total. All the people in these groups are to undergo the Oral DCT (The Oral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I record the test results of each person in order to transcribe and then analyze them later. Chapter IV presents the research result. In this chapter, I classify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which they appear to answer, as well as comment 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that are categorized under each research question are summarized below: The analysi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veals that both the Koreans and the Thais use the direct complimenting syntactic forms, rather than use their indirect counterpart. Although both of these two peoples use a variety of complimenting sentences, most of their syntactic forms correspond to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onducted by Manes & Wolfson (1981), Intachackra (2001) and Kim (2003), when omitting indirect complimenting sentences and then analyzing only the direct ones. This very finding shows very frequent uses of “NP {is/loos} (INT) ADJ” and also reveals that both groups of people most often use the adjectives as part of their compliments to the others. The Koreans often use the words “beautiful”, “good” and “competent” in their compliments while the Thais often use the words “competent”, “beautiful” and “handsome”. The analysi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demonstrates that genders determine Thai students of Korean’s forms of compliment: both of the male and the female Thai students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straightforwardly in the same way as their male and female Korean counterpart do. Intimacy level also affects the ways the Thai students compliment; namely, the increasing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who compliment and those who are complimented, causes the former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more and more straightforwardly. On the contrary, when the intimacy diminishes, the Thai students choose to “thank” and “reciprocate” only briefly. This is consistent with Wolfson’s “the Bulge” theory. The social statuses of the persons who compliment and the complimented determine the ways the Thai students perform speech acts of compliment as well. The wider the gap between the two persons’ social statuses is, the more formal and the briefer the Thai students’ speech acts of compliment are. Conversely, when this gap is not so wide and the persons complimented have lower social status than those who compliment, the Thai students tend to use various forms of speech acts of compliment and perform this type of speech acts more naturally. The analysi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reveals that the pragmatics failure most often found among the Thai students of Korean is, first, speech level choice failure and, second, appellation choice failure, which fall under the category of pragmalinguistics failure. Considering these two types of pragmatics failure demonstrates that the Thai students still adhere to Thai forms of speech acts of compliment steadfastly and this badly affects the ways they use this type of speech act in Korean. Therefore, it is from their own sociopragmatics failure, it is inferable, that the Thai students’ pragmatics failure originates. Chapter V is the brief summation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points out its limitations and gives useful advices for further studies on speech acts of compliment. The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reveal that many Thai students of Korean are encountering problems concerning the use of Korean speech acts of compliment. There are many factors responsible for these problems: (1) Thai students do not have many chances to talk with the native speakers (2)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in Thailand overlook the importance of pragmatics (3) most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teaching grammar and translation than o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In the present age of communication, apart from having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foreign languages very well, second language learners have to acquire the knowledge of pragmatic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s they are in and the interlocutors they are with, in order to prevent misunderstandings. Therefore, Korean education in Thailand should also emphasize speech acts and cross-cultural pragmatics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s’ four basic skills.;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으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칭찬 화행의 통사적 문장 구조 및 유형, 세 가지의 사회적 변인 (화∙청자 간의 성별, 친밀도, 상대적 지위)에 따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 수행 유형, 그리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생된 화용적 실패가 무엇이고 또한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칭찬 화행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칭찬 반응 화행에 국한되어 있으며, 대조 화용론에 기반을 두는 제2언어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언어를 비교하면서 분석하는 경향이 활발히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을 보면, 국외에서는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원어민 영어 학습자, 국내에서는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타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대부분이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칭찬 화행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칭찬 화행 연구를 하고자 한다.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봤는데 첫째, 칭찬 화행에 대한 객관적인 관점으로 칭찬 화행의 정의 및 개념, 칭찬 화행의 특성, 칭찬 화행의 통사적 구조, 칭찬 화행의 유형, 칭찬 화행의 내용, 칭찬 화행의 사회적 변인 등이다. 둘째,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대한 개관인데 먼저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개념 및 범위를 시작하여 학습자의 화용적 지식이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화용적 실패를 관찰하였다. 화용적 실패는 화용언어적 실패와 사회화용적 실패의 두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Ⅲ장의 연구 방법 및 절차에서는 선행 연구들에서 밝힌 연구 방법들을 참고하여 본고에서의 연구도구와 분석의 틀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예비실험과 본 실험을 거쳐서 이루어져 있다. 연구의 도구인 칭찬 상황 및 칭찬의 사회적 변인들은 예비실험을 통하여 얻었고, 얻은 자료를 본 실험의 구두 DCT로 실시하였다. Ⅳ장의 연구 결과에서는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분석은 본고의 연구 문제의 범주에 따라 다루어져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세 가지의 연구 문제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인과 태국인 모국어 화자의 칭찬 화행 통사적 문장 구조는 유사하다. 이는 한국인과 태국인 화자 집단은 칭찬 화행 수행할 때 간접적 칭찬 유형보다 직접적 칭찬 유형을 더 많이 선호하였다. 통사적 문장 구조는 기존 연구가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두 집단 화자의 칭찬 화행에는 “NP/PRO {like/love} (INT) ADJ”의 형식이 가장 많이 자치하였다. 한국인과 태국인 화자가 칭찬 화행 수행 시 사용하는 어휘는 형용사 어휘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볼 때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칭찬 화행 수행 시 기본적 필요한 통사적 문장 구조나 칭찬 어휘들을 교수∙학습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화∙청자 간의 사회적 변인인 성별, 친밀도, 그리고 상대적 지위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 유형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태국인의 사고 방식 및 남자와 여자 간의 가치관을 가지고 칭찬 화행을 수행한 태도가 보인다. 대화당사자 간의 친밀도도 마찬가지이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태국인 화자처럼 청자와 많이 친하거나 친하지 않으면 청자의 좋은 점을 인지하면서도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고 그 상황을 무시하겠다는 응답이 빈번히 나타났다. 또한 화∙청자 간의 친소 관계가 깊을수록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직접적 감정 표현하기’와 ‘개인적 의견 제시하기’ 칭찬 유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는 결과를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대적 지위에 따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 유형 사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자가 화자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같은 경우 학습자의 칭찬 화행 유형 사용은 직접적 칭찬 유형에 속해 있는 ‘감사 및 보답하기’ 다음으로 ‘직접적 감정 표현하기’ 유형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청자가 화자보다 상대적 지위가 낮을 경우에는 화자의 칭찬 화행 유형 사용이 보다 더 다양하고 자연스럽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각 상황에 따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의한 화용언어적 실패가 사회화용적 실패 요인보다 화용언어적 실패 요인이 더 큰 비중이 자치하였다. 즉 태국인 학습자들이 칭찬 화행을 수행하는 도중에 빈번하게 발견된 잘못된 ‘화계 선택(speech level)’과 ‘호칭(지칭)’ 사용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화용적 실패는 학습자의 태국인 사고방식 및 가치관 또는 태국 사회의 사회적 거리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언어적 실패 원인은 학습자의 사회화용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된다고 주장한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론 요약과 함께 본고가 가지는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 태국에서의 한국어 화용 교육에 대한 제언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한국어 화용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태국에서의 한국어 화용 교육이 한국에서만큼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화용 연구 또한 그 사례를 찾기 어렵고 관심도 부족한 현실이다. 그러나 제2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의 화용 교육이 문법 교육보다 중요하며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은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언어 교수∙학습에서 문법 교육과 함께 화용 교육도 교수∙학습이 요구되는 것이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화용적 능력 향상은 무엇보다 한국어 교사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 칭찬 화행뿐만이 아니라 요청, 감사, 인사, 부탁 등 한국어 교사가 한국어 화용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인식한다면 교수∙학습의 태도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화용 능력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도 적극적으로 할 것이다. 본고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 사용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화용 교육 과정 설계 및 방안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급속히 증가하는 태국 내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화용 능력 향상이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6 1. 태국인 대상으로 한 화행 연구 6 가. 태국인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6 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11 2. 칭찬 화행 습득 연구 15 가. 한국어 칭찬 화행 습득 연구 15 나. 타 언어 칭찬 화행 습득 연구 21 C. 연구문제 27 Ⅱ. 이론적 배경 31 A. 칭찬 화행 31 1. 칭찬 화행의 정의 및 특성 31 가. 칭찬 화행의 정의 31 나. 칭찬 화행의 특성 36 2. 칭찬 화행의 통사적 구조 및 유형 38 가. 통사적 구조 38 나. 유형 48 다. 내용 67 라. 사회적 변인 70 B. 비교문화적 화용론 75 1.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개념 및 범위 75 2. 화용적 실패의 개념 및 범위 81 Ⅲ. 연구 방법 88 A.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88 B. 연구 설계 및 절차 90 C. 예비실험 92 1. 예비 실험의 목적 및 방법 92 2. 예비 실험의 결과와 적용 95 D. 본 실험 110 1. 본 실험의 목적 및 방법 110 2. 본 실험의 참여자 113 3. 분석의 틀 및 자료 처리 방법 11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32 A. 한국인과 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 화행의 유형 및 통사 구조 비교 132 1. 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 화행의 유형 및 통사적 구조 132 가. 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 화행 유형 132 나. 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의 통사적 구조 136 2. 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 화행의 유형 및 통사적 구조 138 가. 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 화행 유형 138 나. 태국인 모국어 화자 칭찬의 통사적 구조 140 B. 사회적 변인에 따른 세 집단 피험자의 칭찬 화행 유형 145 1. 세 집단의 성별에 따른 칭찬 화행 유형 146 2. 세 집단의 친밀도에 따른 칭찬 화행 유형 152 3. 세 집단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칭찬 유형 160 C.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 요인 분석 167 D. 소결론 204 Ⅴ. 결론 207 A. 연구 결과 요약 207 B. 연구 제한점 및 제언 213 C. 연구 시사점 214 참고문헌 217 부록 226 ABSTRACT 241 태국어 논문 초록 2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08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Cross-Cultural Pragmatic Study of Compliment Speech Act Performance by Thai University Learners of Korean-
dc.format.pagexi, 250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contributor.examiner최형용-
dc.contributor.examiner한상미-
dc.contributor.examiner이해영-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