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GARMENT INDUSTRIES IN DEVELOPING COUNTRIES

Title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GARMENT INDUSTRIES IN DEVELOPING COUNTRIES
Authors
Klimenko, Evgeniia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Jennifer Sejin Oh
Abstract
The phase-out of the Multi-Fiber Arrangement (MFA) at the end of 2004 was expected to create challenges for the textile and clothing (T&C) industry in a number of countries. The concern of many small, developing economies that relied on garment exports was that they would be pushed out of the global T&C market by larger, low-cost rivals. However, Cambodia, which was predicted to be one of the most vulnerable countries, was able to surpass its pre-2005 indicators and has continued the growth of its garment industry in the post-MFA era. Geographical proximity to major markets and supply chains, multilateral or bilateral trade agreements, quota re-imposition on Chinese garment exports by major buyers, and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were among the reasons revealed by different studies and reports explaining garment export growth in smaller developing economies in the post-MFA era. However, this study argued that multilateral and bilateral trade agreements between Cambodia and its major garment importers have played a greater role among other factors in shaping a favorable trading environment for continued growth of Cambodian garment exports after the dismantling of the quota regime. This study defined the importance of agreement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 the US and the EU, and trade blocs, such as Japan-ASEAN - fo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Cambodian garment industry, since the agreements have had important implications for trade in garments between Cambodia and its major buyers. First, the agreements with the EU and the US have granted Cambodia preferential access to major garment-importing countries. Second, trade agreements with the US brought the ILO-monitored projects to Cambodia,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 major advantage in the sourcing strategies of foreign buyers, and assisted Cambodia in maintaining export contracts even after the MFA abolition. Third, when quotas were re imposed on Chinese garment exports by the US and the EU in 2005, preferential access to major markets made the country attractive for relo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quota-restricted Chinese garment producers. These developments allowed Cambodia to increase its garment export volumes to the US, the EU, and other markets after the passage of the MFA.; 2004년 말 다자간 섬유협정의 단계적 폐지는 많은 나라의 섬유 및 의류 산업에 도전을 야기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의류수출에 주력하고 있는 많은 작은 개발도상국들은 낮은 가격의 경쟁국가에 의해 세계 섬유의류 시장에서 밀려 나갈까 봐 염려하였다. 하지만 가장 취약한 국가 중 하나로 예상되었던 캄보디아는 2005년 이전 지표를 능가할 수 있었고 다자간 섬유협정 이후에도 의류산업에서 성장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다양한 연구와 보고에서 밝혀진 다자간 섬유협정 이후 작은 개발도상국의 의류수출이 가능한 이유로 주요 시장과 공급망에 대한 지리적 인접성, 다자간 또는 양자간 무역협정, 주요 바이어의 중국 의류 수출에 대한 쿼터 재부과, 국제 노동 기준 준수를 들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캄보디아와의 다자간·양자간 무역협정과 주요 의류 수입국이 쿼터 정권이 와해된 이후에도 캄보디아 의류 수출의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우호적인 무역환경을 갖추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주장한다. 캄보디아와 주요 바이어국가간의 의류 무역에 있어서 협정은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캄보디아 의류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의 이유로 미국과 유럽연합, 일본-ASEAN 무역권과 같은 주요 무역 파트너 간의 협정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하다고 정의하였다. 첫 번째, EU와 미국간 협정으로 캄보디아는 주요 의류수입 국가에 대해 특혜를 얻었다. 두 번째, 미국과의 무역협정으로 캄보디아는 국제 노동 기구의 감독을 받는 사업을 가져왔기 때문에, 해외 바이어의 아웃소싱 전략에 유리해졌으며, 다자간 섬유협정 폐지 이후 수출계약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세 번째, 미국과 EU가 2005년 중국 의류 수출에 쿼터를 다시 부과하자, 주요시장에 대한 특혜로 인하여 캄보디아는 쿼터가 제한된 중국 의류 제조업체의 제조과정을 재배치하는 데 있어서 매력적인 나라가 되었다. 이러한 전개로 인해 다자간 섬유협정 이후 캄보디아는 미국과 EU, 그리고 다른 나라 시장에 의류수출이 늘어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