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정례-
dc.contributor.author차수진-
dc.creator차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6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60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novel means to show the lines of embroidery drawing plastically by expressing in three-dimensional structure. It aims to find the artistic value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art and the analysis based on my research works.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of embroidery drawing by analy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embroidery and drawing. Despite the fact that embroidery sculpture is an independent genre of contemporary art, the lack of awareness of its individual expression and value lead up to examine such deficiency in this thesis. It aim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plastic features of three-dimensional lines which comprise the embroidery drawing. Embroidery drawing refers to a drawing by using the embroidery techniques with three-dimensional lines which can be seen as a spatially existing thin-and-long line. The three-dimensional line stands for a string existing in real space through transformation of various threads with mixed materials. The three-dimensional lines, originat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reads depending on different twists and variation in thickness in embroidery sculpture arts, are the products made creatively with the artist’s intentions. Therefore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ypical line elements, such as industrial threads, wire or ropes, as a different material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other various ways. Both embroidery and drawing represents the essential expression of idea and minds of human being. It shares the same root in the stream towards the conceptional and experimental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art in the 20th century. Thus, it seperately analyzes the interrelationship of deconstruction of the contemporary drawing and the dimensional formativeness of the embroidery sculpture which resulted by the combination of two genres. In this sense, embroidery drawing can be considered as means of expression which translates the artist’s intent into artistic gesture and the new form of drawing. First the contemporary drawing, as the independent genre of expression, has the interdependent characteristic which can be mixed with other mediums. This tendency was achieved in the dilation of meaning of lines. The line in the plane broken free from that illusory surface into real space. This movement is also found in soft sculpture of modern fiber art. In fiber art, tread is used not only as an element of construction but also as an independent objects. Henc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make the three-dimensional lines as a product applied by embroidery technique. Meanwhile the embroidery sculpture, having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plastic art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object in craft in 1960, runs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textile art and design. The Korean modern embroidery was affect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iberation and Korean Civil War in 1950. Consequent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Korean modern embroidery has the distinctive featur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sual stream of the global art.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embroidery drawing based on the various materials and embroidery techniques of Korean embroidery. From the plastic aspect, the embroidery draw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extension of surface by the three-dimensional line, the gesture by the three-dimensional line, and the procedural trait by the accumulation of time. First, lines of embroidery drawing are made mostly out of the line-work by dots and the plane-work by line as an embroidery techniques. The thickness of three-dimensional lin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lines drawn on a flat surface which belongs to the picture, can be extended to the relievo and the space through the expression of independent lines. Secondly, the repetitive tasks of embroidering in embroidery drawing instigates the deep involvement where the physical and mental body coincide into, then the self and its piece of art become united together. This empathy creates healing actions by the expression and the purification of the spirit. Finally, the embroidery drawing demonstrates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procedural trait as it requires comparatively longer hours than other drawing techniques due to its uniqu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embroidery. Generally the impression and intention of the artist tends to develop and change during the process of the work. Such process can be preserved into the work as time advances and records the reit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nes. As a result, the work represents the progress of work and accumulation of time. From this characteristics, embroidery drawing can be regarded as discontinuous and relative. Based on the plastic quality of embroidery drawing by three-dimensional lines, this thesis produced the series of art works and provides its analysis. This piece of research art, seperated into the three-tiered steps and gradually developed, comprises the embroidery drawing and installation with three-dimensional line as the subjective line of artist made. It is expressed from flat surface to spatial space on the theme of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energy in the universe through the organic perspective on the world. This could lead to its own creative formativeness of embroidery by the machine and hand embroidery, encompassing the expression of plane-surface and spatial expression without any limitations of space. This thesis attempts to present the new form of expression in embroidery sculpture as the extension of contemporary drawing which deals with the plane and spatial level along with the esthetic of embroidery. Further it seeks for the experimental form of the linear expression through the research into three-dimensional line. As a result, it aims to make the creative expression of embroidery sculpture more vitalize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in the Korean embroidery and establishment of a new expression of drawing in the contemporary art.;본 논문은 입체선(立體線)에 의한 자수드로잉(embroidery drawing)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그 이론적 배경과 본인의 연구작품 분석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조형표현을 제시하고 예술적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20세기 이후 현대예술의 한 장르로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자수와 드로잉의 이론적 배경과 상관성을 분석하여 자수드로잉의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구성하는 입체선에 의한 조형적 특성을 탐구하였다. 자수드로잉이란 작가의 의도에 따라 변형된 선재를 입체선으로 사용하여 자수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드로잉이다. 입체선은 다양한 실의 변형과 재료의 혼합에 의해 굵기, 색상, 질감 등의 요소가 다변하는 물질적인 선으로서, 가늘고 긴 모든 선재 형태의 입체적인 선을 의미한다. 자수조형에서 각기 다른 꼬임과 굵기 변화에 따른 실의 변형에서 비롯된 입체선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창의적으로 만들어지는 결과물이며 선의 변형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실이나 줄과 같은 일반적인 선재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자수와 드로잉은 인간의 내면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행위라는 공통 범주에 있다. 이런 의미에서 서로 다른 장르의 융합으로서 자수드로잉은 작가의 의도를 예술로 변환하는 표현 형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질 부분은 이러한 자수드로잉의 개념과 조형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자수드로잉의 이론적 배경과 미술사에 나타난 여러 표현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연구작품으로 제작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수드로잉에서 표현되는 입체선의 개념을 논하기 위하여 모더니즘 이후 평면으로부터 해방된 선의 확장된 개념에 주목하였다. 이는 20세기 초 꼴라주를 시작으로 시도된 것으로 일루전(illusion)에 의한 입체감이 아닌 종이나 실과 같이 실재하는 물질적인 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선의 개념은 화면의 확장을 가져왔으며, 이는 현대미술뿐 만 아니라 공예의 오브제화에 의해 섬유예술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자수와 드로잉은 공예와 회화로 분류되지만 20세기 현대예술의 다각적이고 개념적인 새로운 표현을 향한 흐름에서 그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두 장르가 결합을 이루게 되는 상관성으로서 현대드로잉의 탈장르화와 현대자수의 입체조형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현대드로잉(contemporary drawing)은 독립된 표현장르로서 다른 매체와 혼성을 이루는 상호의존적인 특성이 있다. 이는 20세기 평면과 입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매체간의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예술가의 주관을 시각화하는 도구로서 드로잉이 부상한 것과 관련이 있다. 한편 1960년 공예의 오브제화 경향에 따라 조형예술로 발전한 현대자수는 섬유예술의 역사와 디자인사의 흐름을 같이 한다. 우리나라 현대자수는 해방 이후 역사적 배경과 한국현대미술의 발전과정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세계미술의 동향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특히현대자수는 근대 이후 한국 여성의 예술활동과 시대상을 반영하며 변천을 이루었으며,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서 자수조형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의 현대자수를 중점적으로 하여 현대자수의 입체조형성을 고찰한다. 조형적인 측면에서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은 크게 입체선에 의한 표면의 확장, 입체선에 의한 행위, 그리고 시간의 축적에 의한 과정성으로 나누어 진다. 자수드로잉의 선은 자수기법에 의해 크게 점의 선화와 선의 면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평면 위에 그려져 화면 속에 종속되는 선과 다르게 입체선은 자수기법에 의한 독립된 선의 표현으로 부조 및 공간까지 확대될 수 있다. 자수드로잉에서 수를 놓은 반복적인 행위는 몸과 마음이 일체가 되는 깊은 몰입을 일으켜 자신과 작품이 하나되는 물화(物化)를 이룬다. 이러한 감정이입은 감정을 표출하고 정신의 정화를 통해 치유의 작용을 일으킨다. 마지막으로 자수드로잉은 자수 고유의 기법적 특성에 의해 다른 드로잉 매체보다 시간 단위요소가 길어 시간의 축적과 과정성이 나타난다. 이는 작업 과정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가의 감정과 의도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되는 기록적 특성과 입체선의 중첩에 의해 전후 관계가 발생하게 되어 나타나는 시간의 추이와 축적을 의미한다. 또한 자수드로잉은 자수의 기법적 특성에 의한 시간의 상대성과 주관적인 재해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특징에서 자수드로잉의 시간성은 불연속적이고 상대적인 것이다. 이러한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본인은 연구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발전한 연구작품은 화이트헤드와 동양사상에서 비롯된 유기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생성과 소멸의 순환성과 우주에너지를 주제로 표현되었다. 설치형식의 자수드로잉과 압축된 공간에서의 자수드로잉 연구를 통해 자수조형의 확장된 표현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입체 공간적인 표현은 실의 입체성과 자수의 드로잉적인 특성을 중점적으로 극대화시킨 입체선의 굵기변화에 의한 자수드로잉 표현으로 귀결되었다. 본 연구자는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 연구를 통해 자수의 미적 표현과 더불어 평면과 입체를 아우르는 확장된 현대드로잉으로서 자수조형의 새로운 표현 형식을 제시하고, 실험적인 형태의 선적 표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자수조형의 독창적인 표현을 활성화시키고 더 나아가 한국자수의 발전과 현대미술의 새로운 드로잉 표현을 조성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내용 4 C. 연구범위와 방법 7 Ⅱ.현대섬유예술에서의 입체선 10 A. 선의 확장된 개념 10 1. 선의 개념과 종류 10 2. 선의 확장 14 3. 공간에서의 선 20 B. 입체선의 조형표현 29 1. 입체선의 개념과 종류 29 2. 섬유예술에서 입체선의 오브제화 39 Ⅲ. 자수드로잉의 이론적 배경 48 A. 자수드로잉의 개념 48 B. 현대드로잉의 탈장르화 54 1. 현대드로잉의 개념 54 2. 매체의 혼성 58 C. 현대자수의 입체조형성 64 1. 자수의 변천과 한국의 현대자수 64 2. 현대자수의 입체표현 74 Ⅳ . 자수드로잉의 특성 79 A. 입체선에 의한 표면의 확장 79 1. 자수기법에 의한 선 79 2. 선의 굵기에 따른 부조 89 3. 입체선에 의한 공간설치 92 B. 자수드로잉에 의한 행위 99 1. 행위에 의한 신체성 99 2. 치유로서의 물화 101 C. 시간의 축적에 의한 과정성 108 1. 기록으로서의 과정성 109 2. 입체선의 중첩에 의한 시간의 축적 112 3. 시간의 불연속성과 상대성 115 Ⅴ.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본인의 연구작품을 중심으로 122 A. 연구작품배경 122 1. 표현내용 122 2. 제작방법 125 B. 연구작품분석 127 1. 설치형식의 자수드로잉-「Eternal protocol」 128 2. 압축된 공간에 의한 자수드로잉-「Sheer Heart」 135 3. 입체선의 굵기변화에 의한 자수드로잉-「Green Flow」 145 Ⅵ. 결론 169 참고문헌 174 ABSTARCT 1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82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mbroidery Drawing by Three-dimensional line-
dc.creator.othernameCha, Soo Jin-
dc.format.pagexvi, 18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