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함혜정-
dc.creator함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1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1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숲속유치원 만 3세 학급 풀잎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풀잎반 유아 28명, 담임교사 2명, 보조교사 1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였으며, 만 3세반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또래관계 지원에 대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 기초 방안을 마련하고, 개별 유아의 성향 및 또래관계 특성에 따른 또래관계 증진 방안 및 또래 간 즐겁고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다. 연구는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3차 실행 방안 모색, 3차 실행, 3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비디오 녹화, 사진, 현장 약기를 현장노트로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일화 기록, 또래관계 체크리스트, 교사 협의, 부모 면담 및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 수집과 동시에 실행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자의 느낌이나 해석, 새롭게 알게 된 점을 관찰자 코멘트로 적으며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범주화하고 코딩한 후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1차 실행 방안은 풀잎반 유아들의 또래관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개별 유아의 특성 및 또래관계 파악을 위해 교사 간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관찰 내용을 공유하고 지원 방향을 협의하였으며, 유아의 이전 또래관계 파악 및 가정과의 또래관계 지원 방향 공유를 위해 가정과의 연계를 실시하였다. 1차 방안을 평가한 결과, 개별 유아-교사 간 관계 점검을 통해 교사와의 관계가 미비한 유아와의 관계를 재형성할 필요성, 또래관계 관찰 공유 및 협의 내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풀잎반 전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지원 방향 및 또래관계에서 특별한 어려움을 겪는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중점 지원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교사와의 관계가 미비한 유아와의 관계를 재형성하였고, 풀잎반 전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 및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시하였다. 2차 실행 방안을 평가한 결과, 교사의 또래관계 지원 방안 점검 및 풀잎반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평가를 통해 전체 및 개별 유아의 지원 방향을 재모색할 필요성이 있었다. 2차 방안이 또래관계에서 유아의 부정적 행동을 긍정적으로 증진하기 위한 방안이었다면, 3차 방안은 또래와의 즐겁고 긍정적 경험을 통해 부정적 경험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즉, 3차 실행에서는 2차 실행의 평가를 반영하여, 풀잎반 전체 유아의 또래 간 즐겁고 긍정적인 경험을 지원하고, 부정적 경험 예방 및 긍정적 관계 맺기를 통해 풀잎반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를 집중 지원하였다. 둘째,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또래갈등 시 긍정적 방법을 통한 문제해결 모습, 또래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또래와 함께하는 구성놀이 및 상상놀이, ‘같은 점을 가진 함께 하는 친구’라는 공동체 의식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긍정적 또래관계를 지원하기 위해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 형성하기,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관찰 공유 및 협의하기, 또래관계 지원을 위해 가정과 연계하기와 같은 기초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또래관계를 지원하였다. 기초 방안을 바탕으로 전체 및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유치원의 다양하고 복잡한 상황을 고려하며, 다양한 방안으로 유아의 또래관계를 지원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 유아가 또래와 즐겁고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공유할 수 있는 학급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또래관계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이 또래관계를 지원하는 실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nd conduct measures to support for three-year-old class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to see how the support measures affect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 matters to discuss are as followed: 1. What are the support measures for three-year-old class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2. What are the effects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 support measures on three-year-old class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2 teachers, 1 assistance teacher, and 28 three-year-old children attending Pulip class, at Pulip class.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6th and May 31st, 2014. It started from the problems of three-year-old peer relationship support that teachers with three-year-old homeroom teacher experiences have recognized. The measures were sought and conducted to provide pleasant and positive experience among peers, improve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peer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each child’s tendency, and provide basic measures to support three-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 process of first implementation, firs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searching for second implementation methods, second implementation, second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searching for third implementation method, third implementation, third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During the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by writing site notes based on video recordings, pictures, and site outlines. Episode documentation, peer relationship checklist, consultation with teachers, interview with parents an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too. After categorizing and co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data through writing children’s reaction to implementation, interpretation and sense of researcher, and new discoveries, the research was analyzed per each research subject.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ree-year-old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support measures were arranged and conducted. The first implementation method was focused on arranging basis for systematically supporting Pulip class’s peer relationship. To support positive peer relationship, forming children-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was put in priority.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and peer relationship status quo, teachers shared observation and directions for support. Also, to figure out past peer relationship and share peer relationship support in family, connection with family was conducted. After the evaluation of first implementation, the need for reformation in each child-teacher who was shown related incompletely through examination was seen. Additionally, while analyzing peer relationship observation and discussion, the need to seek prioritized support measures on enhancing children’s peer relation for children having difficulty forming relationship in Pulip class was raised. In second implementation, reflecting results from the first implementation evaluation, the lacking relationship with teachers was reformed, and to enhance overall peer relationship in Pulip class and each child, specific support plans were made and conducted. As a result of evaluating second implementation measures, examination of teachers’ peer relationship support measures and redirection of all and each child’s support direction through Pulip class’s each child’s peer relationship evaluation were needed. While the second method was about improving children’s negative action to positive in peer relationship, the third was to prevent negative experience through bright and positive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third implementation reflected second implementation’s result, supporting pleasant and positive experience to all Pulip class mates, made concentrated support in each child’s peer relationship by making positive relationship and preventing negative experiences. Second, the positive peer relationship support lead to the increase in positive problem solving measures at times of peer trouble, pro-social action toward peer, constructive play and symbolic play with peers, and the recognizing peers as 'friends with similarities’ have increased. Whil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eds to support positive peer relationship among three-year-old children class in kindergarten, it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supported peer relationship through basic measures such as connection with family, sharing and discussing observation of each child’s peer relationship, and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Based on basic measures, considering diverse and complicated situations in kindergarten for the improvement of all and each child’s peer relationship, children’s peer relationship could be supported in diverse measures. Also, it was meaningful as children’s peer relationship was improved by forming positive and experience-sharing class environment. I anticipate this research provide actual support measures to onsite teachers trying to support peer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또래관계 6 B. 또래관계 지원 방안 9 Ⅲ. 연구 방법 19 A. 실행 연구 19 B. 연구 대상 20 C. 연구 절차 24 D. 자료 수집 및 분석 27 Ⅳ. 연구 결과 29 A.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 29 B.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93 Ⅴ. 논의 및 결론 103 A. 논의 103 B. 결론 및 제언 109 참고문헌 112 부록 116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92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 실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for Support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 of Three-year-old Class Children in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Ham, Hye Jung-
dc.format.pagev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