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래영-
dc.contributor.author오지민-
dc.creator오지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1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158-
dc.description.abstract교사의 학습을 어떤 고립된 순간이 아닌 일생에 걸쳐 일어나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보고 있으나(Cochran-Smith & Lytle, 1999; Feiman-Nemser, 2001), 우리나라의 교사교육은 예비교사단계와 현직교사단계의 학습이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있는 이분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예비교사들은 실제(Practice)와 연계된 지식을 습득하는 데 있어 예비교사 개개인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이 경험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발전하지 못하는 말 그대로 “sink or swim"(Feiman-Nemser, 2001,p.1014)을 겪는 중 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는 예비교사 교육에서 현장과 연계된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려하는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접근에 앞서 예비교사들이 현재의 교사교육과정에서‘수업현장’에 필요한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고 있는지, 그리고 예비교사들이 습득하고 있는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예비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예비수학교사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이 7가지 요소별로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 2. 예비수학교사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 중 표현, 발문, 피드백이 각각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2-1. 예비수학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서 사용하는 시각적 표현은 다양성·엄밀성· 연결성을 갖추고 있는가? 2-2. 예비수학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서 어떠한 유형의 발문을 사용하는가? 2-3. 예비수학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서 어떠한 유형의 피드백을 사용하는가?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해 중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를 검사할 수 있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전체문항에 대하여 수학교육전공 석·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전문가의 자문과 두 차례의 예비검사를 통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검사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하는 약 200명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배포. 회수되었고,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의 사전코더들이 총 두 차례의 사전 코딩을 통해 분석틀을 수정·검토한 후 본 코딩을 실시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실행을 위한 7가지 지식요소별 분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전체문항에 대한 정답·오답·부분정답의 코딩을 하였고,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 중 표현, 발문, 피드백이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표현, 발문, 피드백에 해당하는 지식요소에 대한 코딩을 각각 실시하였다. 본 코딩은 연구자를 포함한 3명의 코더로 이루어졌으며, 이때 연구자를 제외한 2명은 사전코더들과 다른 코더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연구자를 포함한 3명의 본 코더 간 신뢰도를 확보한 후, 연구자가 직접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의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은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 중 학생의 반응을 진단하는 부분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높은 지식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사가 가진 지식을 변형하여 표현하는데 있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특히 수업실행을 위한 7가지 지식요소 중 가장 높은 평균 지식요소는 평균정답률 86.9%의 ‘예상치 못한 수학적 문제에 응답하기’로 조사되었고, 가장 낮게 나타난 지식요소는 평균정답률 28.0%의 ‘수학적 개념 또는 과정을 설명· 표현하기’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5가지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들의 평균정답률에서도 같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식요소별 응답사례를 통해서 예비수학교사들이 학생의 반응을 진단하는 응답에 비해 학생의 반응에 따라 교사의 지식을 다르게 표현하여 학습을 돕는 면이 부족한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2의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제공한 학생의 학습을 돕기 위한 시각적 표현에서 다양성·엄밀성· 연결성의 요소가 각각 평균 5.6%, 33.3%, 39.2%로 나타남으로써 전반적으로 갖춰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각적 표현을 다양하게 제공함에 있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예비수학교사들은 다양한 유형의 발문을 사용하지 않고 ‘사실적 발문’과 ‘회상하는 닫힌 추론 발문’을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학생의 학습을 돕기 위해 피드백을 제공할 때, 학생들이 스스로 깨달아야 하는 부분에 대하여 다소 명시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었다. 즉 예비수학교사들이 학생이 깨달아야 하는 부분에 대하여 사고를 대신하지 않으면서 어려움을 줄여 주는 피드백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얻었다.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사자신의 지식을 학생의 학습을 돕기 위한 다양한 표현으로 변형하는 학습과,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학적 개념 또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때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표현하며, 언어와 연결시켜 설명력을 갖추는 학습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더불어 교사가 발문 또는 피드백을 사용할 때 학생이 스스로 사고하여 깨닫게 유도하면서, 학생이 겪는 어려움을 줄여주는 표현을 제공하는 내용의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습경험이 부족한 예비교사교육의 현재 상황에서 수업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지식을 분석하기에 앞서 해당지식을 얼마나, 어떻게 습득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을 진단함으로써, 예비수학교사 개개인에게 교육현장에 필요한 교사지식을 학습하는데 있는 학습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예비수학교사들이 충분한 실습을 경험하지 못하는 현재 상황에서 대안적인 교사교육시스템이 될 수 있는 사례기반 교사교육에서 예비수학교사의 지식을 측정하는 방법적 측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지식에 대한 정보는 교육정책가에게도 교사임용제도와 관련된 정책적 수준에 있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교사를 양성하는 교사교육자들 역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실제(Practice)와 연계된 교사교육에 교수내용에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시사점들로부터 우리나라 예비교사의 교사교육이 현장과 연계되는 학습을 장려하는 사회분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사료된다.;Although prospective teachers learning considered as the continuous course of whole life not some isolated moments(Cochran-smith & Lytle, 1999; Feiman-Nemser, 2001), it seems that the learning of prospective teachers stage and the current teachers in Korea is not correlated rather separated. Korean prospective teachers have tendency of relying on their personal experience to acquaint knowledge which related from their theory to real life. In other words, they experience “Sink or Swim”(Feiman-Nemser, 2001, p.1014) which means there is not growth without personal experience or trial. It is this study’s aim that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knowledge which prospective teachers would be needed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ese ar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1. How is the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elements for teaching practice spread? 2. How does the knowledge elements - such as expression, teacher questions, feedback- for teaching practice for math prospective teacher's manifest each? 2-1. Does visual expression which math prospective teacher's uses for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qualified for variety, trictness, connectivity? 2-2. What kind of teacher questions does math prospective teacher's use to help understanding of students? 2-3. What kind of feedback does math prospective teacher's use to help understanding of students? To gain the result of those questions, we made assessment items of evaluate the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elements for teaching practice in the function of middle school math curriculum then the written test was taken. The result of study is below. First, the knowledge of math prospective teachers to diagnosis of student’s reaction was in good level, the expressive knowledge which the teacher modify himself’s knowledge to help student’s learning was weak. Specially whenever teacher offers questions or feedback, the prospective teachers were unskilled to help student by not giving them hints which the student learns by himself ,yet use some expressions to help reduce the difficulties. Second, the visual expressions that math prospective teachers use to help student’s learning was not qualified to variety, strictness, connectivity. In this context, types of questions were not various enough but limited. There are limits of this study that most of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 of training schools for teacher which located in Seoul and 78%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graduate school students. Thus we suggest the with systematic sampling method. Also this studies result which limited in the function chapter needs to be expand to another curriculums as well. On the basis of this study’s result, it conclusions and indicates below. First, we suggest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knowledge of the math prospective teachers, those field of learning are required. 1. Modify one’s own knowledge in to various expression to help student’s learning. 2. When they make any expressions to help student’s learning, qualify the strictness which give right mathematic concept, variety which uses various ways to understand students, connectivity which give students easier explanation in verbal way. 3. When they make questions or feedback to help student’s learning, give expressions which reduce the difficulties yet realize and think themselves. Second,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contents and methods of case study that prospective teachers might face in real class scene. It would be the one of the alternatives of teacher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system which disengaged real class scene. At last, concrete informations of teaching practice knowledge for math prospective teachers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ospective teachers personnel through the policy of employment of teacher. It could also led to the curriculums of teacher training school which the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connect to real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사의 지식 6 B. 교사의 수업실행지식 1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6 A. 연구방법 16 B. 연구대상 17 C. 연구절차 19 E. 검사도구 22 E. 자료 수집 및 분석 33 Ⅳ. 연구결과 44 A.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 분석 44 B. 예비수학교사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요소 중 표현, 발문, 피드백 분석 94 Ⅴ. 결론 및 논의 111 A. 요약 및 결론 111 B. 시사점 및 제언 116 참고문헌 119 부록 123 ABSTRACT 1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259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예비수학교사의 수업실행을 위한 지식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Practice : Focusing on Function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dc.creator.othernameOh, Ji Min-
dc.format.pagexiii, 1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