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중학교 가정 교과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 내용의 중복성과 차별성 분석

Title
중학교 가정 교과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 내용의 중복성과 차별성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es of Duplicated and Different Elements among Textbook Content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Family Life' Area of the 2009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uthors
김엘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정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family life' area in the Home Economics(HE) curricula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most recently revised curriculum in 2009 and to compare the 'family life' area in the HE textbooks compiled follow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of other subjects compiled in the same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suggest inform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effective education of the 'family life' area in the HE classes. In order to examine educational aims and contents related with 'family life' area in curricula in different periods, this study analyzed all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s in all the curricula from the first one up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ll the 22 textbooks of HE I and II compiled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released by 11 publishers were analyzed by the criteria de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To examine duplicated and different elements of 'family life' area, the textbooks of HE I and II compiled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ubjects such as Ethics I and II, Social Studies I and II, Science I, II and III, Physical Education, Korean Language I, II, III, IV, V, and V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aims and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in the HE subject of middle school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have always been offered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ut that the aims and contents of the area have changed over time, depending on the social demands of each period. In the early era curriculum, the educational aims and contents were constructed to satisfy the needs of education for basic life such as pest control, parenting and child care, and women's hygiene, which reflected the low economic and living standards. But,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understanding oneself and the surrounding community through high-level thinking, planning and improving one's life through designing one’s own life. Especially, with the change of the Korean society into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increase of working women, and a multi-cultural society, contents related with the 'family life' area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education on 'family life'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time has passed. Seco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of the 11 different textbooks of HE I and II compiled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wed that the contents were generally similar, due to all textbooks published in accordance to the same curriculum which serves as the basis of textbook compil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each textbook, especially in the structure, emphasized areas, and audio-visual aids, etc. Third, the comparison of 'family life' areas of textbooks of HE I and II and those of textbooks of other subject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wed that there were many duplicated contents with textbooks of Ethics, Social Study,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in descending order.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bjectives and the methods of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Ethics textbooks offered values and attitudes adolescents should possess, with the educational aim of 'ethical life' about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human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process, understanding of family, family change, family relations and problems, life planning, and career design, etc., but, they did not offer scientific backgrounds about them. Social Study textbooks provided social development in adolescent stage in the chapter of Understanding Human Development. However, this was different from HE textbooks, Social Studies textbooks only show the basic knowledge of understanding adolescent culture, while HE presented various aspects of adolescent development. Science textbooks had some contents related with sexual development in adolescence in the human development process, which overlapped with HE textbooks, but the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s dealt with sexual development in the biological perspective, which showed a difference of presentation of the same topic compared with those in the HE textbook.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lso contained some contents related with sexual development in adolescence. Both of the HE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dealt with the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and desirable attitudes on sexuality. But,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were general in describing them. On the contrary, the contents in HE textbooks were wide and deep in descript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had contents on pimple, as a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But, it was given as a material of how to write an essay. The real educational aim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effective writing',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the HE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offered in HE textbooks covered the range from understanding of human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process, understanding of family and family change, life planning and career, and balancing work and home life, to family life welfare service. Consisting of theories and empirical data, and attitudes and values adolescents should have in each area, the contents of the areas in HE textbooks were designed to cultivate problem-solving capacity based on such theories. Therefore, if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s are presented based on the global and concrete contents offered in HE textbooks, the education in other subjects will be more effective. The examination of duplicated and different elements in contents of textbooks of HE and those of other subjects revealed that although those textbooks used the same words for the same topics, the contents and educational aims of the subject textbooks for this study were quite different. Thus, it seemed desirable for the designers of the HE curriculum in the next stage to devise the unit titles of textbooks of HE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E subject. Also, It is important to offer not only contents in the 'family life' area, but HE unique characteristics leading to expanding the learner's thinking scope and practical actions matching the direction of changing society,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HE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가정과 교육과정 내 ‘가족생활’ 영역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고 2009 개정에 따라 집필된 가정 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가정 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중복되는 부분과 차별화된 내용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가정과 교육에서 ‘가족생활’ 영역에 관한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각 시기에 따른 교육과정의 ‘가족생활’ 영역과 관련된 교육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출판사 11곳의 「가정 I·II」 교과서 총 22권 중 ‘가족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 영역을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한 준거를 이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가정 I·II」교과서와「도덕 I·II」, 「사회 I·II」, 「과학 I·II·III」, 「체육」, 「국어 I·II·III·IV·V·VI」 교과서를 내용 분석하여 가정 교과의 ‘가족생활’ 영역의 중복성과 차별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가족생활’ 영역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가족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항상 제시되었지만, 교육과정이 발표되는 시기의 사회적 흐름에 따른 요구에 맞춰 목표와 내용은 변화되었다. 초기 교육과정 시기에는 당시 낮은 경제 수준과 생활수준의 사회적 배경에 영향을 받아 해충 구제, 육아 보육, 여성의 위생과 같은 기본적 생활을 위한 지식 습득에 초점이 맞췄지만, 점차 경제 발전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고차원적 사고를 통해 자아에 대하여 이해하고, 청소년을 둘러싼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하며, 생애 설계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여 더욱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사회,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과 같은 사회적 변화로 인해 가정과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생활’ 영역과 관련된 내용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11종 「가정 I·II」 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편찬의 기초가 되는 교육과정이 동일하기 때문에 출판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적으로 교과서 내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은 비슷하였으며, 교과서 구성 방법, 강조하는 영역, 제시된 보조 자료 등에는 출판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가정 I·II」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도덕, 사회, 과학, 체육, 국어 교과서의 순으로 중복되는 내용이 많이 제시되었지만, 내용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와 제시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도덕」 교과서는 인간 발달의 이해, 인간 발달 과정,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 가족 관계와 가족 문제, 생애 설계와 진로 부분에 대하여 ‘도덕적인 삶’을 위한 교육 목표 하에 청소년이 가져야 할 가치와 태도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제시되지 않았다. 「사회」 교과서는 인간 발달의 이해 부분 중 청소년기 사회적 발달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었지만, 청소년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학습 내용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어, 청소년기 발달의 다양한 요소를 제시한 「가정」 교과서와는 차이가 있었다. 「과학」 교과서는 인간 발달 과정 부분의 청소년기 성 발달에 대하여 중복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지만,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성 발달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어, 「가정」 교과서와는 중복된 내용이지만 제시 방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체육」 교과서는 인간 발달 과정의 청소년의 성과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청소년기 2차 성징과 성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에 대하여 「가정」 교과서와 중복된 내용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내용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이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된 내용의 양과 지식의 깊이기 있는 「가정」 교과서와는 차이점이 있었다. 「국어」 교과서는 인간 발달 과정에서 청소년기 2차 성징에 대한 특징 중 ‘여드름’에 대한 내용이 중복 제시되었지만, 「국어」 교과서는 설명하는 글쓰기에 대한 정보 제공으로 그 내용이 제시되었을 뿐 실질적 교육 목표는 ‘효과적인 글쓰기’이기 때문에 청소년기 2차 성징에 대하여 제시한 「가정」 교과서와는 그 목표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가족생활’ 영역 교육 내용은 인간 발달의 이해, 인간 발달 과정,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 가족 관계와 가족 문제, 생애 설계와 진로,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 복지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이론뿐 아니라 실증적 자료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청소년이 가져야 할 자세와 가치관에 이르기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이론을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가족생활’ 영역에 관한 교육 내용을 전반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가정 교과를 중심으로 타 교과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제시된 내용을 활용한다면, 좀 더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와의 중복성 및 차별성 비교에 있어, 표면적으로는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교과서를 면밀히 살펴본 결과 그 내용과 교육 목표에 있어서 가정 교과와 타 교과와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정」 교과서의 단원명 설정에 있어 가정 교과에서만 가지고 있는 특징을 반영하는 것이 차기 교육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거라 생각된다. 또한, ‘가족생활’ 영역 교육에 대하여 내용을 제시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학습자의 사고 범위 확장과 실천적 행동을 이끌어 내는 가정과만의 독창적인 성격을 변화하는 사회의 방향에 맞춰 제시하도록 하여, 실천 교과로서의 가정과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더욱 대두시킬 것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