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권수현-
dc.creator권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6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8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6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을 규명하고,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을 규명한다. 2.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 척도 시안을 개발한다. 3. 최종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다. 첫째,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은 다음과 같다.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은 교사가 가진 개인적인 특성인 내적요인과 회복탄력성을 보호하거나 강화하는 요인인 외적 보호요인으로 구분된다. 내적요인 중 심리적 요인은 교사가 자신이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직에의 적응을 돕는 심리적 특성이고, 행동적 요인은 미래지향적 성향으로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도전하는 행동적 특성을 의미한다. 인지적 요인은 교사의 전문성으로써 교직에 대한 헌신을 비롯하여 반성적 사고, 교수능력 등의 인지적 특성을 의미하며, 사회적 능력 요인은 유아, 동료교사, 학부모 등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필요한 대화기술, 공감, 사회적 유능성 등과 같은 대인관계적 특성을 의미한다. 외적 보호요인 중 개인적 환경요인은 교사 개인의 건강이나 가족, 친구 등 교사를 지지하는 개인의 인적 환경요인을 의미하며, 관계적 환경요인은 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기관에서의 인적 환경요인 즉, 유아, 학부모, 동료, 기관장 등과의 관계요인을 의미한다. 조직적 환경요인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정체성, 소속감 등을 지원하는 기관 조직의 기능요인을 의미한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 시안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106개 문항의 1차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의 검토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문법적 측면의 자문으로 76개 문항의 2차 시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2차 시안으로 문항 이해도 조사와 예비 연구를 실행하였다. 유치원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Rasch 모형의 확장형인 평정척도 범주 적절성 분석(Rating Scale Model: RSM)과 문항 적합도 분석(infit-outfit MNSQ)을 실시하여 5점 척도가 적합함을 확인하고, 부적절한 문항을 제거하여 55개 문항의 3차 시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공·사립 유치원 교사 437명을 표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3차 시안을 배부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평정척도 범주 적절성 분석과 문항 적합도 분석을 실시하여 47개 문항의 최종 척도를 확정하였다. 셋째, 최종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척도의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Cronbach’s α)는 .94로 나타났으며, 재검사 신뢰도(r)는 .85로 나타나 본 척도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회복탄력성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 전공 교수 및 연구자로 구성된 전문가 4인의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가 있음이 검증되었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PWS)’와 일반인 대상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QT)’를 외적 준거로 한 준거타당도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78(p<.01), .54(p<.01)로 나타나 타당한 척도임이 검증되었다. 개발된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는 기존 회복탄력성 척도와는 달리 회복탄력성의 내적요인과 외적 보호요인을 포괄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유치원 교사로 회복탄력성 측정 대상을 특화하여 유치원 교사의 직무나 직업적 환경에서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척도를 활용하면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확인하는 연구에서 의미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척도는 현직교사의 재교육이나 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사의 질을 높이는 자료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 개인 차원에서도 자기 개발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척도는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ubfactors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developing a rating scale assessing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using Rasch modeling. The detailed research purposes are described as follows; investigating subfactor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settling on a draft proposal of resilience scales, verify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fall into two categorie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internal factors describ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represent factors which preserve and reinforce teachers’ resilience. There are four kinds of internal factors; psycholog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 is a feature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and to assist adapting on their teaching professions. Behavioral factor is a future-oriented behavioral characteristic which facilitates themselves to endeavor and challenge to goals. Cognitive factor is concerned with teacher professionalism, such as devotion to teaching,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 ability. Social factor is related to the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with others, such as young children, parents, and colleagues. There are three subfactors of external protective factor;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 relational environmental factor,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 delineates supportive surroundings like personal health condition, family, and friends. Relational environmental factor indicate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parents, colleagues, and their principal which engage in their teaching position.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 means the supportive function of kindergarten which encourages professional improvement, identity, and loyalty to their schools. Second, the procedure of developing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using Rasch Modeling is described as follows. As initial steps, 106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four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teaching experiences, and resilience). Seventy-six items were developed as the second draft scale through specialist conferences. The third draft scale was constituted with selected 55 items as a revised version of the second draft. Ninety-five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a pilot study. The suitability of five-point scale is proven through application of the ‘Andrich’s Rating Scale Model’ and ‘infit-outfit MNSQ’, and inappropriate questions were eliminated. Then, the final items for assessing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ttled based on the item analysis results (Andrich’s Rating Scale Model and infit-outfit MNSQ) through the date collection of 437 kindergarten teachers. This final scale includes 47 items. As a last step, the final scale was verified empirically through validity (content, and criterion-related) and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test. In terms of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was found to be acceptably high (Cronbach’s alpha=.94) and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core on test and retest scales (r=.85). In terms of validity, 4 specialist (professors and researchers) reviewed the scale for its content validation.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external criteri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S) and Resilience Quotient Test (RQT), show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78 (p<.01) and .54 (p<.01) with each test. Through these processes, the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KTRS) is proven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to assess the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working with young children. The developed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KTRS) is distinct from conventional resilience scales. in that this scale includ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Moreover, since it is specialized in evaluating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it is more suitable for their job and working environment. This scale is essential not only to advance the qualities of research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but also to provide effective and customized support for teachers and their education; this is because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as the one distinct from resilience in adults in general or in other professions, when considering unique situational,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features of their work. Furthermore, this scale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licies associat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impro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8 II. 문헌고찰 9 A. 회복탄력성 9 B.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17 C. 척도 개발 연구 34 III. 연구방법 47 A. 연구설계 47 B. 연구절차 48 C. 자료분석 88 D. 윤리적 고려 88 Ⅳ. 연구결과 90 A. Rasch 모형을 통한 최종 척도 결정 90 B. 최종 척도의 문항 및 피험자 측정치 101 C.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110 Ⅴ. 논의 및 결론 115 A. 요약 및 논의 115 B. 결론 및 제언 131 참고문헌 135 부록 154 ABSTRACT 2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25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Rasch 모형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Using Rasch Modeling-
dc.creator.othernameKwon, Su Hyun-
dc.format.pageix, 21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