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노인의 수면에 관한 구조 모형

Title
노인의 수면에 관한 구조 모형
Other Titles
The structural model for sleep in elderly
Authors
김아린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에 대한 모형을 검증하는 연구로 노인의 수면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강원도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 노인 203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Vaz Fragoso와 Gill (2007)의 노화 수면 모델에 근거하여 구성하였고,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화, 신체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 행위 요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면은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는 인지기능과 우울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efficients를 구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는 χ2 통계량, Normed χ2, SRMR, GFI, IFI, CFI, RMSEA를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75.86세, 동반질환 지수는 평균 1.05, 신체활동량은 평균 730.07 MET-min per week, 사회적 관계망은 평균 10.61점, 외로움은 평균 41.44점, 수면위생 지수는 22.65점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평균 405.10분, 수면의 질은 평균 9.23점이었고, 인지기능은 평균 25.39점, 우울은 평균 4.99점이었다. 2. 본 연구에서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χ2 통계량 40.365(df 23, p=.014), Normed χ2 1.755, SRMR .073, GFI .974, IFI .943, CFI .938, RMSEA .061로 나타나, 최종 모형과 실제 자료가 전반적으로 적합하였다. 3. 연령이 증가하고(γ=-.198, p=.039), 동반질환이 증가할수록(β=-.193, p.=.024) 신체활동은 감소하였으며, 이 변수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8.7%였다. 4. 신체활동이 감소할수록 사회적 관계망은 작았고(β=.233, p=.011),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동반질환과 신체활동의 설명력은 9.7%였다. 사회적 관계망이 작을수록 외로움 정도가 높았고(β=-.657, p=.043), 외로움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의 설명력은 43.2%였다. 동반질환이 증가하고(β=.232, p=.005), 신체활동이 감소하고(β=-.308, p=.019), 사회적 관계망이 작고(β=.390, p=.027), 외로움 정도가 높을수록(β=.289, p=.047) 수면위생에 대한 부적절 상태가 높았으며, 수면위생은 이들 변수에 의해 21.5%가 설명되었다. 5. 신체활동이 감소하고(β=-.197, p=.016), 외로움 정도가 높고(β=.305, p=.010), 수면시간이 짧을수록(β=-.136, p=.011) 수면의 질은 나빴고, 수면의 질은 신체할동, 외로움, 수면위생, 수면시간에 의해 21.3%가 설명되었다. 6. 사회적 관계망이 작고(β=.309, p=.010), 수면시간이 짧을수록(β=.206, p<.001) 인지기능이 저하되었고, 인지기능은 연령, 신체활동, 사회적 관계망, 수면시간에 의해 23.8%가 설명되었다. 7. 사회적 관계망이 작고(β=-.334, p=.001), 외로움이 증가하고(β=.294, p=.045),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β=.169, p=.019) 우울 정도가 심했고,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41.8%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의 수면 증진을 위한 간호를 제공할 때 신체적 측면과 정신사회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접근함으로써 수면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나아가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odel for sleep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Senescent Sleep Model was constructed the multiple influencing factors of sleep and associated adverse outcomes of changes in sleep in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aegu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from January to April 2013. Participants wore actigraphy for 3 days at the nondominant arm with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e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Charlson Comorbidity Index, Abbreviated Version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Sleep Hygiene Index,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0 program and fitness of the data to the model was verified AMOS 21.0 program. Overall, the final model provided a good fit to the data (χ2 40.365, df 23, p=.014, Normed χ2 1.755, SRMR .073, GFI .974, IFI .943, CFI .938, RMSEA .061).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creased age (γ=-.198, p=.039) and multiple comorbidities (β=-.193, p=.024)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smaller social networks (β=.233, p=.011) and smaller social network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oneliness (β=-.657, p=.043). Multiple comorbidities (β=.232, p=.005),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β=-.308, p=.019), larger social networks (β=.390, p=.027), and higher loneliness (β=.289, p=.047) were associated with maladaptive sleep hygiene. 2.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β=-.197, p=.016), higher loneliness (β=.305, p=.010), and shorter actual sleep duration (β=-.136, p=.011) were associated with worse sleep quality. 3. Smaller social networks (β=.309, p=.010) and shorter actual sleep duration (β=.206, p<.001) were associated with lower cognitive functions. 4. Smaller social networks (β=-.334, p=.001), higher loneliness (β=.294, p=.045), and worse sleep quality (β=.169, p=.019) were associated with more severe depressive symptoms. The finding from this study suggested the approaches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perspectives, such as physical activities, social networks and loneliness, when the nurses plan the sleep enhancement programs or interventions for older persons that could improve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promote slee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