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안지영-
dc.creator안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2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238-
dc.description.abstract언어를 말하고 배우는 것은 개인의 언어 용량(language capacity)에 달려있다. 그러나 이중언어 화자에게 이러한 언어 습득과 학습은 단순히 이중언어 환경에 노출되었다고 해서 그 성과가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이중언어아동에게 있어 그 성과를 만드는 차이는 다양한 외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한다. 이 외적 요인은 대표적으로 사회적 문맥(social context), 사회언어적 문맥(sociolinguistic context)이 있다. 두 언어가 하나의 사회적 상황에서 공존하고 있으나 공평하게 균형을 맞추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결국 이러한 불균형은 그 사회에서의 주류언어와 비주류언어를 만들게 되며, 일반적으로 주류사회가 요구하는 언어의 사회적 가치를 따라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한 이중언어아동의 내적 그리고 외적 요인들이 이들의 언어, 특히 모국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거주 지역(한국과 미국)에 따른 양 언어의 사회적 위치(social status)와 이러한 사회적 문맥의 영향을 받는 요인으로 가정 내 모국어 사용량과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을 택하여 이중언어아동의 내, 외적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한국 은 서울 및 경기지역, 미국은 캘리포니아 얼바인에 거주하는 4~7세 이중언어아동과 그의 부모 각 15명, 총 60명이었다. 모든 아동에게 동작성 지능검사, 한국어·영어 수용어휘력 검사, 한국어·영어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 사회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부모에게는 부모 설문지를 통해 가정 내 어머니의 언어량을 묻는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 후 분석하였다. 두 집단 간 사회적 문맥 요인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이야기 산출 능력이 언어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 수용어휘점수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서 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두 집단은 L2인 영어 수용어휘력, 영어 이야기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L1인 한국어 수용어휘력, 한국어 이야기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한국어 수용어휘력이 한국거주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한국어 이야기 문법적 발화비율, 복문비율이 한국거주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 아동의 사회적 자기 효능감과 수용어휘점수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과 한국어 수용어휘점수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L1과 L2의 사회적 가치가 불균형을 이루는, 특히 L1 모국어의 위치가 낮은 미국 사회에서 이중언어아동의 모국어 수용어휘력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 집단 간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에서만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강력한 주류언어인 영어를 가진 미국의 사회적 문맥 상 비주류언어 화자가 모국어를 고수하고, 계승하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사회 문맥적 차이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모국어 수용어휘력과 이야기 다시 말하기 중 문법 산출 능력에 집단 간 차이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해석하기 위해선 아동이 속한 사회적 문맥 속에서 언어가 가진 사회적 위치를 이해해야 하며, 사회적 문맥이 영향을 주는 이중언어아동의 내·외적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한다.;Learning more than one language depends on the language capacity of an individual. However, being in a bilingual environment does not guarantee the same level of bilingual learning, but the level of bilingual capacity is affected by many external factors. Two representative external factors are social context and sociolinguistic context. Two languages can be both present in a society, but it is difficult to have a good balance of two languages. Thus, children eventually follow the language priorities of the society. Due to these societal circumstances, their language development is affect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the place of residence, social status of each language at the place, and amount of language uses of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re investigated. First language loss occurs in a social context, in which two languages have different social status and minimal L1 support. This usually occurs in immigrant children who speak a language other than that of their family language. In a bilingual society, there exists mainstream and minority language. In the immigrant community, their L1 is not the majority language of the mainstream society. So, L1 may not be supportive as much as they try to keep their own language ethics. In this social situation, two languages could not preserve language balance. So that their L1 could be affected. As mentioned previously, this status and context issue of each language is judged by the importance placed on using each language within the context of the career and economic status. Social context could also affect L2, their language ethics, and language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bilingual society which has socially higher L2 status. In this society, L2 is a powerful language as much as L1. Bilingual children use their L1 at home and in the social environment. So, L1 is fully supportive for their language development. Also, the importance of L2 is emphasized in education and economic opportunities. Similar with L1 minority community, in higher L2 status society, L2 proficiency is important variable to achieve better careers and social status. Also, they also keep the balance of both languages. In a bilingual society, in which each of language has equal social value, L1 may not be affected. In addition, their L2 ability is maintained at high proficiency. To summarize, Social context plays a decisive role, and this social context can affect children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cause L1 loss. There are numerous studies, which suggest that social status is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bilingual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Korean-English bilingual ability due to different social contexts. To establish the different social context, the study investigates two groups of Korean-English bilinguals on liv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so explored are child’s internal factors (e.g., child social efficacy) and external factors (e.g., amount of L1 input at hom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ocial context differences would be apparent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s vocabulary and narrative ability and, child’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vocabulary abilities correlate with those factor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ly, do social context factors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ich Korea-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live in Korea and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live in US? Secondly, do language abilities of each task on each language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Lastly, is there correlation i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and social context factor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child’s social efficacy. The US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ocial effica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1 input. Both groups receive a similar amount of L1 input at home.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the Korea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The US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Korea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than the Korea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narrative episode ability for both languag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arrative morphosyntactic abilities for Korean between two groups. The US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correct grammar c-unit in Korean than the Korea group. Also, the US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complex c-unit in Korean than the Korea group. Lastly, In the US group, Korean vocabulary correlated only with the amount of L1 input. However, the Korea group did not have correlation between tasks.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said that L1 minority community bilinguals can be affected L1 ability. In sum,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social context influence L1. In Korea, both languages have equal social status so that Korean-English bilinguals have similar abilities and made higher scores than the US group on two languages. On the other hand, In the US, Korean is a minority language. Even though US group was given similar amount of L1 input as the Korean group, their L1 was affected by the social context facto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social context is a strong factor that can be considered for understanding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이중언어아동의 사회 문맥(social context)의 영향 9 B. 이중언어아동의 모국어발달과 언어 자극(Language Input) 요인 11 C. 이중언어아동의 사회적 자기 효능감 13 D. 이중언어아동의 이야기 능력 14 Ⅲ. 연구 방법 16 A. 연구 대상 16 B. 실험 과제 18 C. 연구 절차 22 D. 자료 분석 24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7 F. 예비실험 28 G. 신뢰도 28 Ⅳ. 연구 결과 29 A. 집단 간(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과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 비교 29 B. 집단 간(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과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 언어능력 차이 비교 31 C. 집단 간 수용어휘점수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량,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과의 상관관계 40 Ⅴ. 결론 및 논의 42 A. 집단 간(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과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 사회적 문맥 요인 및 언어능력의 차이 43 1. 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과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의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 아동의 사회적 자기 효능감 차이 43 2. 집단 간(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과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 언어능력의 차이 45 3. 집단 간 한국어-영어 수용어휘점수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량,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과의 상관관계 50 B.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51 참고문헌 53 부록 61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9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사회적 문맥에 따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 차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Social Context Factors-
dc.creator.othernameAn, Ji Yeong-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