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영화음악에 의도된 정서 인식 연구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영화음악에 의도된 정서 인식 연구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intended emotion in film music in upper leve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조은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영화음악을 듣고 의도된 정서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아동의 음악 교육배경에 따라 인식하는 정서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W초등학교 5학년 아동 156명을 대상으로 8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남 81, 여 75명이다. 연구 대상자를 다시 음악 교육배경의 유형으로 구분하면 음악 교육배경이 2년 미만인 아동 81명, 2년 이상인 아동 75명이다. 피험자는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8곡의 영화음악을 듣고 정서 인식 응답지에 ‘행복’, '슬픔‘, ’화남‘, ’두려움‘ 중 느껴지는 정서를 선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카이 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각 음악자극에 의도된 정서와 피험자가 인식한 정서의 일치여부 및 음악 교육 배경과 정서 인식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행복’과 ‘슬픔’이 의도된 음악에서 정서 인식 일치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행복’이 의도된 음악자극 2곡에서는 각각 91.7%, 96.2%의 일치율을 보였고 ‘슬픔’이 의도된 음악자극 2곡에서는 각각 92.9%, 92.3%의 일치율을 나타냈다. 반면에 ‘화남’이 의도된 음악자극 1곡에서는 70.5%가 ‘두려움’으로 인식하였다. ‘두려움’이 의도된 음악자극 2곡은 각각 84.6%, 73.3%의 일치율을 보였다. 아동이 인식한 정서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화남’과 ‘두려움’의 정서 간 상관관계가 유의미 하였으며 상관계수는 .144로 상관이 매우 낮았다. 음악교육 배경 유형은 2년 미만과 2년 이상으로 구분하여 음악 교육배경에 따라 인식하는 정서에 차이가 있는지 카이 제곱 검정을 한 결과, 음악 교육 배경과 정서 인식은 연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정서가 의도된 영화음악에 대한 아동의 정서 인식을 알 수 있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정서 연구, 교육 및 음악 치료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This study examined the congruence between the intended emotion and the perceptive emotion for upper-leve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response to film music excerpts. It also examined how their perceptions differ according to their extracurricular musical education background such as private tutors or lessons in the home by a family member. A total of 156 fifth grade students (81 male and 75 female) at W elementary school in Bucheon, Gyeonggi participated in the study.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ir extracurricular musical education backgrou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ighty-one students had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and 75 students had more than 2 years experience. On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from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while listening to 8 film music excerpts, which have been effectively used in other studies. Every example has a corresponding picture above it describing each of the emotional responses('happiness','sadness','anger' and 'f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est. First, the rate of concordance was closely examined between the intended emotion of each music excerpt and the actual emotion that participants perceived. The results showed a high rate of concordance under 'happiness' and 'sadness' while many confused ‘fear’ when exposed to the 'anger' intended music. Surprising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perceptions and whether each participant had extracurricular background of musical education or no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upper-level elementary students could clearly identify 'happiness' and 'sadness' in the intended music. However, they tended to confuse 'anger' and 'fear' in the intended music. The findings help to show that certain emotional perceptions in children are universal and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whether or not the participant has a background in extracurricular musical education. The findings show the emotional perception of children through the use of film music and are considered as preliminary data on musical therapy, education, and the emotional study for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