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또래 유대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Title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또래 유대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playing-based music therapy on improving Institutionalized children's peer connectedness
Authors
주빛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인령
Abstract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또래 유대감 증진을 위해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지역의 K 보호시설과 K 지역의 K, S 보호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10~13세의 초등학교 아동28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4명으로 나누어 주 1회 50 분씩 12회기 동안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사전 또래 관계 기술 척도 점수와 복지사의 의견을 종합하여 선정되었으며 실험집단은 학년과 성별을 고려하여 3,4학년 한 그룹, 5,6학년 두 그룹인 총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의 단계는 4단계로 나누어 1단계는 적응과 탐색, 2단계는 모방과 공감, 3단계는 즉흥과 주도, 4단계는 합주와 협동으로 구성하며, 학년별 차이에 따라 3, 4학년은 즉흥과 주도 단계, 5, 6학년은 합주와 협동 단계를 중점화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또래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또래 관계 기술 척도를 사용하여 또래 관계 기술, 주도성, 공감/협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된 결과 점수를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시설보호아동의 사전-사후 t 통계값은 -4.478, 유의확률은 .001로 유의수준 .01에서 또래 관계 기술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는 주도성의 t 통계값에서 -3.081, 유의확률은 .009로 유의수준 .01에서 주도성의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는 협동/공감의 t 통계값에서 -4.473, 유의수준 .01로 협동/공감의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악기연주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과 주도성, 협동, 공감에 긍정적인 매체로서 또래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으며,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또래 관계를 위한 중재로 도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is study is purposed in investigating what influences the playing-based music therapy programs on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of peer connectedness. Twenty-eight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0 and 13 were selected from two undisclosed institutions from two different regions in Korea, based on peer relational scale scores and the opinions of institute workers. The students were randomly placed into either the control (n = 14) or experimental group (n = 14) and participated in 1 ssesions by week during 12 sessions. Each session was taken 50 minute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grade and gender: one 3rd/4th grade and two 5th/6th grade groups. The playing-based music therapy is composed of 4 stages: adaptation and exploration, imitation and sympathy, improvisation and proactivity, composition and cooperation. We applied the improvisation and proactivity stage to the 3rd/4th grade group and the composition and cooperation stage to the 5th/6th grade groups. Using a same-age relationship skill scale, we tested to see if the program had an effect by examining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both before and after the study and used a t-test to tes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First, the playing-based music therapy method significantly enhanced peer relational skills with a t-value (before-after study) of -4.478 and a p-value of .001 at a significance level of .01. Second, the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activity, an element of same-age relationship skills, with a t-value of -3.081, and a p-value of .009 at a significance level of .01. Lastly, the method also significantly enhanced cooperation and sympathy with a t-value of -4.473, and a p-value of .001 at a significance level of .01. The results suggest that an playing-based music therapy progra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skills, cooperation and sympathy, and proactivity. In conclusion, the data implies that an playing-based music therapy program can be implemented as a mediator that enhances the peer relationship and peer connectedness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