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김해진-
dc.creator김해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6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6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사회문화적 가치를 전달하는 데 잠재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그 중에서도 교재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 요소를 찾아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양성평등적인 교재가 집필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잠재적 교육과정과 성 고정 관념 분석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대학 소재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중급용 통합교재의 도입 대화와 듣기 대화의 남녀 등장인물을 대상으로 대화 외적인 요소와 대화 내적인 요소에서 나타나는 성 고정 관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에는 변화하고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성 역할 의식을 반영하려고 노력한 흔적도 보이지만 전통적인 성 고정 관념 요소가 여전히 많이 내재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화 외적인 영역에서 여성과 남성이 자주 출현하는 장소는 상이했고 여성의 외모는 여성성을 강조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남녀 등장인물이 하고 있는 구체적인 활동과 성격 및 태도에 나타나는 여성스러움과 남성스러움 또한 극명히 대조되었으며 이들의 직업과 사회적 관계, 가족 내 역할 등에서도 성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그리고 남성보다 여성이 더 자주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 내적인 영역에서 성별 첫 발화자의 상대적 비율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남성이 대화의 주요 등장인물로 더 많이 출현했고 여성보다 남성이 목표 문법을 더 많이 발화하며 청유형 문장을 더 자주 발화함으로써 구체적인 행동을 유도하고 여성과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여성끼리의 대화, 남성끼리의 대화를 분석한 결과, 여성과 남성의 대화 주제에서도 뚜렷한 대비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여성은 음식과 요리, 명절 문화, 의복, 성격, 추억 등의 주제들을 중심으로 한 대화 빈도가 남성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난 반면, 업무 활동, 사회생활, 세계 정치와 경제에 관한 소재는 남성들만의 대화에서 등장하였다. 한국 사회는 가부장제도와 남성 중심 문화가 오랜 시간 사회의 주요 가치관으로 작용해 왔기 때문에 성 고정 관념 요소가 극명히 대비되고 이에 따른 성차별 현상이 뚜렷하다. 그리고 그 내용이 한국어 교재에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만약 교재의 성 고정 관념과 성 차별이 심각할 경우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에게 왜곡된 한국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한국어 교재 집필 시 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양성평등 문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교육이념 중 하나로 여성 학습자뿐만 아니라 남성 학습자들에게도 올바른 성 역할과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는 교재의 필요성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지적된 성 고정 관념과 성 차별에 대한 문제들이 한국어 교재 집필 과정에 반드시 고려되어 한국 사회의 성 역할 모습을 진정성 있게 전달하고 양성평등에 초점을 둔 한국어 교재가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In this study, Korean Textbooks are assumed to convey social and cultural values to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potential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gender stereotypes shown in textbooks and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gender equality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gender stereotypes appeared in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of dialogues, Korean textbooks turned out to have many elements of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s. The places where men and women are appearing are quite different and especially women are described more feminine. There are obvious contrasts between male and female in Specific activities, personality, and attitudes that they are playing in dialogues and illustration, and so was also in their profession, social relationships, and even roles in a family. And women tend to express their feelings more often than men relatively. The relativ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as the conversation starter in a dialogues is very similar but men have the initiative when they perform a target grammar and conversation. In the dialogue process men are leading the conversation by saying suggest statements more often than women, which induce women to do specific action. Extreme contrasts were found between men and women's talk. Speaking of topics, topics such as food, traditional festivals, clothing, personality, memories are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talk, on the other hand buisness, social lives, the politics and the economy are emerged only in men's talk. Since Patriarchal system and male-dominated culture have been main values in Korea for a long time gender stereotypes and sex discrimination phenomena are very clear and they are revealed in the textbook. If gender stereotypes and sex discrimination phenomena are serious, distorted social and cultural values ​​may be passed to the foreig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so more cares are required. Moreover, since issues of gender equality, recently emphasized throughout the world as one of the educational values, gender equality balanced teaching materials are needed desperately not only for female learners but male ones as well. Thus, gender stereotypes issues pointed out in this study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 desirable Korean language textbook focused on gender equality will be developed somed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4 1. 외국어 교육에서의 사회문화적 가치 전달 연구 4 2. 한국어 교육에서의 사회문화적 가치 전달 연구 8 C. 연구문제 10 Ⅱ. 이론적 배경 13 A. 잠재적 교육과정 13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기능 13 2.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한 성 고정 관념 16 3. 교재에 등장하는 성 고정 관념 19 B. 교재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 분석 도구 21 1. 교재에 등장하는 차별 유형 21 2. 교과서의 성 형평성 검증을 위한 점검표 24 3. 한국인의 성 역할 고정 관념 척도 25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절차 29 B. 분석 대상 30 C. 분석 항목 31 D. 분석 방법 33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38 A. 대화 외적 영역에서 나타난 성 고정 관념 38 B. 대화 내적 영역에서 나타난 성 고정 관념 62 Ⅴ. 결론 및 제언 72 A. 연구 결과 요약 72 B.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 74 참고문헌 77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8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교재의 사회문화적 가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등장인물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and Research of Social Cultural values in Korean Textbook : Focusing on Gender Stereotype in Character-
dc.creator.othernameKim, Hae Jin-
dc.format.pageix,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