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 비교 연구

Title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Statements of Purpose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원에 진학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학업계획서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쓰기 위해 합격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와 재한 유학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학업계획서의 구조와 언어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 쓰기를 기준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 쓰기가 어떤지에 대해 언어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예비 분석과 본 분석으로 나누었다. 연구 자료는 한국어 학업계획서 쓰기 연구의 부재로 먼저 서울 내 4년제 대학의 대학원 학업계획서 50부와 학업계획서가 실린 한국어 교재 4권의 구조를 예비 분석하였으며, 예비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예체능계열 합격한 한국어 모어 화자 대학원생 학업계획서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학(원) 생의 석사과정 지원을 위해 작성한 한국어 학업계획서를 중심으로 각각 15부씩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이정희(2007)의 작성방법을 참고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를 검토하여 학업계획서 모형을 직접 개발하였고 분석 절차는 장르 분석 중 가장 기본적인 틀이라고 평가받는 Bhatia(1993)의 ‘장르 분석의 기본 원칙’의 제6단계인 언어 분석의 3단계 분석 절차를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학업계획서의 구조 분석과 언어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각 항목별에 해당하는 문장 수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 분석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 구조 패턴 및 각 구조별 분석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언어적 특징 분석도 마찬가지로 서로 간의 정형화된 표현과 시제와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비교·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구조 패턴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는 ‘지원동기-학업계획-졸업 후 계획-기타’ 패턴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지원동기-학업계획-졸업 후 계획’ 패턴을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구조별 빈도 분석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의 구조가 서로 다른 구조에서 중점을 두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지원동기(B)을 중점으로 나타났지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학습목표 및 계획(C)에 중점을 두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구조별 표현이 다양하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구조별 표현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또한 전체 문장 수와 어절 수 분석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문장 단위 어절 수가 낮았는데,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비교적 단순한 문장을 기술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언어적 특징 분석에서는 표현 분석과 시제 분석과 어휘 분석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표현 분석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문장 수와 어절 수는 매우 높았으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수와 어절 수는 현저히 낮았다. 또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에서는 ‘자기 낮추기(self-degradation)'표현의 전략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시제 분석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에서 구조별로 23개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미래시제로 나타났고, 가장 많이 사용된 시제는 23개 항목 중 10개 항목이 나타난 현재시제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에서도 23개 항목 중 11개 항목이 나타나 현재시제 사용이 가장 많았고, 주요 시제로서 현재진행시제 사용도 나타났으나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과거시제의 사용이 낮았다. 세 번째, 어휘 분석에서는 기본 어휘와 전공 어휘를 나누어 그 빈도를 세어 본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기본 어휘의 빈도는 사용이 많으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기본 어휘의 빈도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전공 어휘도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현저히 낮았다. 어휘 오류 분석에서는 합격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에서는 간단한 맞춤법 정도의 오류였으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에는 초·중급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모국어 직역 오류, 발음상의 오류, 조사오류, 동사오류 등이 나타났다. 이렇게 어휘 분석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업계획서보다 오류가 많고 어휘 사용 빈도와 문장 표현 빈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계획서의 비교 분석 연구로서 학업계획서라는 하나의 장르에 대해 최초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과 두 나라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나, 분석 자료의 절대적인 양이 부족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앞으로의 후속 연구는 기관 차원의 다량의 분석으로 일반화가 필요하며, 학습자의 필요를 따라 각 교육기관의 수업 개설도 필요하다. 또한 학업계획서의 쓰기 교육 방안이나 쓰기 교재에 대한 연구도 아직 미흡하여 이 분야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Statement of Purpose written by Chinese Korean learners, who make up a great portion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order to provide tactics that will help Chinese students to write SOP effectively when they apply to Korean graduate schools. With a focus on the writing of SOP by native Korean speaker graduate students,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contrasting and analyz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ose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d in giving suggestions.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a pre-analysis section and an actual analysis section. As a pre-analysis this research analyzes fifty SOP submitted to graduate schools of universities and four Korean textbooks that contain SOP to serve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on writing SOP in Korean. With the pre-analysis as a basis, I gathered and analyzed fifteen samples for each from a pool of SOP written by Korean native speaker graduate students who were accepted to liberal arts, social sciences, art, music and athletic training majors and by Chinese Korean learners applying to graduate schools for a master’s degree. As a tool of research, I used Lee(2007)’s writing methods and developed a study plan model by examining SOP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s a tool for the analysis procedure, I will use Bhatia(1993)’s method of analyzing genre, the most basic frame of analysis, by modifying the third step, analysis procedure, of the sixth step, which is language analysis. As the method of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SOP and contrast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frequency of sentences per category.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this research describ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P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ose by Chinese Korean learners with a focus on the structural pattern and the analysis of each of the structural parts. Further, this research analyzes and describ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s well by focusing on hackneyed expressions, verb tenses and vocabulary. First, as a result of my analysis shows, the SOP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tend to follow the pattern of ‘reason for application – Study plans – plans for after graduation – ect’ while those by Chinese Korean learners usually followed the pattern of ‘reason for application – Study plans – plans for after graduation.’ Second,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per structural portions I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uctures of the SOP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ose by Chinese Korean learners. Whereas native Korean speakers emphasized the reason for application (B), Chinese Korean learners tended to emphasize the study plan and goals (C). While the structural expression of native Korean speakers was diverse, that of the Chinese Korean learners was not. Moreover, in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words and sentences, Chinese Korean learners tended to use fewer words per sentence when compared to native Korean speakers. This means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write comparably simpler sentences. Next, the analysis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is divided into a section analyzing expressions, another section analyzing verb tense, and another analyzing vocabulary. First, regarding the analysis of expressions, native Korean speakers used a greater number of sentences and words whereas Chinese Korean learners used a noticeably fewer number of sentences and words. Moreover, analyses show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frequently used the tactic of using self-degrading expressions in their study plans. Second, regarding the analysis of verb tense, native Korean speakers used six out of 23 categories of the structures in the future tense and used the present tense as the most frequently used tense, using it in ten out of 23 categories. Chinese Korean learners also used the present tense the most, using eleven out of 23 categories in the present tense. As another major verb tense, they used the present progressive tense often but their use of future tense was less frequent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Third, the analysis of vocabulary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each analyzing different kinds of words: basic vocabulary and specialized vocabulary. When I counted the frequency of the two kinds, native Korean speakers frequently used basic vocabulary while Chinese Korean speakers’ use was noticeably less frequent. This was the same with specialized vocabulary. In the analysis of faulty usage of vocabulary, native Korean speakers made simple grammatical errors while Chinese Korean learners made errors in line with the kinds of mistakes often made by beginning 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often make such as direct translation of expressions in their mother tongue, errors regarding faulty pronunciations, errors regarding postpositional particles, errors regarding verb conjugation, etc. As it is evident, SOP written by Chinese Korean learners had more errors than those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words and sentence expressions was strikingly low in those by Chinese Korean learners. This research has its importance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at analyzing one specific genre, study plans, by contrasting and analyzing those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s well as in that it took into consideration the two countries’ cultural background in contrasting and analyzing the study plans. However, its limitation lie in the fact that there was a scarcity in the amount of objects of analysis. Future research requires analyses in abundance at institutional levels.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offer class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eeds of learners. Furthermore, because research on measures to teach writing effectively and on writing textbooks is insufficient, scholars need to undergo research actively. With the basic material presented in this research, scholars need to actively come up with new teaching methods or undergo research to develop better writing textbooks. Moreover, university organizations should gather large numbers of SOP and undergo research that generalizes the tendencies within. Discovering the strategies of how to write ‘Korean SOP’ will be of great help to people who are learning Kore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