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6 Download: 0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리더십생활기술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리더십생활기술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on Leadership Life Skills and School-Resilience
Authors
이소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2012년 2학기 이후 중학교 교육과정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의무적으로 포함되면서 달라진 학교스포츠클럽의 의미를 탐색하고,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정도와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에 소재한 5개의 중학교를 선정하여 1~3학년 남·여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중 71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검사, 다중응답교차분석, 카이제곱검정, 두독립표본t검정,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정,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내·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참여종목의 경우 남학생은 단체종목, 여학생은 개인종목에 참여한 경험이 많았으며, 참여기간과 참여빈도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기간이 길고, 주당 참여하는 횟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참여종목의 경우 1학년과 3학년은 단체종목, 대인종목, 개인종목 순으로, 2학년은 단체종목, 개인종목, 대인종목 순으로 참여율이 높았고, 참여기간과 참여빈도의 경우 학년이 높을수록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기간이 길었으며, 전 학년에서 공통적으로 주 1~2회 참여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여부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참여여부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년에 따른 참여여부의 경우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참여하는 인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방해요인을 살펴본 결과, 시간상의 문제, 체육에 대한 흥미 요인, 필요성 인식 요인, 주요타자 요인, 학업상의 문제, 개설여부 및 비용 요인 순으로 응답비율이 높았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 및 학교적응유연성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리더십생활기술과 학교적응유연성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리더십생활기술과 학교적응유연성 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을 살펴본 결과, 참여종목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 기술, 인간관계 기술, 학습능력 기술, 조직관리 기술, 그룹활동 기술은 단체종목, 대인종목, 개인종목 순으로, 자기이해 기술은 대인종목, 단체종목, 개인종목 순으로 높았다. 참여기간이 길수록 모든 하위영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빈도의 경우 주 3회 이상 참여하는 학생들이 주 1~2회 참여하는 학생들보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을 살펴본 결과, 참여종목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참여기간이 길수록 학교에 대한 흥미,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 학교규범 준수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빈도가 주 1회인 학생들이 모든 하위영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학교에 대한 흥미는 주 5회일 때,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와 학교규범 준수는 주 3회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여부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 및 학교적응유연성을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비참여 학생들보다 리더십생활기술과 학교적응유연성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과 학교적응유연성의 하위영역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리더십생활기술과 학교적응유연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보다 내실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과 질 높은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전반적으로 중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과 학교적응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학교 교육과정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의무화된 것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요구가 다를 수 있으며, 참여정도와 참여형태에 따라 교육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고, 스포츠클럽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학교급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스포츠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의 장점을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보다 질 높은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천을 기대한다.;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hich obligates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s from February 2012, and how the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sports club affects the leadership life skills and school-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analysis, I surveyed fiv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est, chi-square test,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described below. First, I examined the participation level based on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events, period, and frequency based on gender. 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team events, whereas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individual sports.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period and frequency, male students participated longer and more frequently in school sports clubs tha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events, period, and frequency between grade years. For current participation events, 1st and 3rd grades participated the most in team sports, followed by man-to-man sports and individual sports, and 2nd grades participated the most in team sports, followed by individual sports and man-to-man sports.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longer as the grades got higher.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once or twice a week received the most responses for all grad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based on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outside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 years, with the largest proportion of participants in 1st grade followed by 3rd, and 2nd grade. I examined the disturbance factors for students not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outside the curriculum. The highest response for not participating was time problems, followed by lack of interest in sports, lack of necessity, intimate person factors, to spend more time on studying, non-offering of the event and cost factors.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ime problems and the lack of necessity were the majority responses,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ime problems and the lack of interest in sports were the major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isturbance factors between grade yea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dership life skills based on gender, but found that i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grades became higher. Likew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resilience based on gender, but found that i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grades became higher. Third, I examined leadership life skills based on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level and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dership life skills based on participation events, period, and frequency.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events, all skills excluding communication skill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o be more specific, decision-making skills,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learning skills, management skills, and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was highest in team sports, followed by man-to-man sports, and individual sports, and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was highest in man-to-man sports, followed by team sports, and individual sports.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period, all subordinate skill levels were higher as the period got longer, and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frequency, all subordinate skill levels were higher for students participating at least three times a week than for students participating once or twice a wee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resilience based on participation event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participation period and frequency. Interest in school, attitude towards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ol norm observance was higher as the participation period became longer. In addition, students with a participation frequency of once a week showed the lowest level in all subordinate skills, and interest in school was highest for students participating five times a week, and attitude towards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ol norm observance was highest for students participating three times a week. Fourth, I examined the effect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type on leadership life skills and school-resilience and found that leadership life skills and school-resil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outside the curriculum than for nonparticipating students. Fifth,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and school-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and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and school-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baseline data in meaningful school sports club management and high quality program development. Ultimately, this study seeks to attract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 students by vitalizing school sports club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