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관한 연구

Title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concerning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icon design : Focused on the mobile Application icon
Authors
박선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미디어의 고도화로 인해 GUI는 새로운 트렌드를 선보이며 발전하고 있다. GUI의 요소 중 하나인 아이콘은 효율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필수 수단이 되었고, 특히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발전하면서 아이콘은 그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아이콘은 최근 구체성을 띄는 스큐어모피즘에서 추상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미니멀리즘으로의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써 그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며 이에 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라 정보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이콘 디자인의 추상성은 호기심을 유발시키는가? 넷째,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라 기억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이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가?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아이콘의 특성, 시각적 구성요소에 대해 탐구하였다.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를 인지하고자 스큐어모피즘과 미니멀리즘을 분석하고, 아이콘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후 아이콘 디자인을 표현양식별로 ‘사실적 - 구체적 - 도상적 - 추상적 ’표현으로 4단계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현황 조사와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아이콘 1150개를 수집하여 현재의 표현양식별 현황을 알아보았고, 사용자 조사의 실험군 선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 후 20-30대를 대상으로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제시한 뒤, 해당 표현양식별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평가 후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상적 아이콘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는 아이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타포의 선정이 중요하며, 사물 본연의 외형적 형태를 메타포로 활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트렌드의 영향은 미비했다. 심미적으로 만족을 느끼는 요소로는 단순한 형태와 표현이 도출되었다. 기능이 가장 빠르게 인지되는 것은 구체적인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로 사물의 형태를 유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상성은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아이콘의 형태가 구체적일수록 기억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형태의 구체성과 추상성은 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아이콘의 디자인에 대해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정보인식, 선호도, 호기심유발, 구매영향, 기억용이의 5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각 표현양식별로 검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GUI is showing the new trend and is being developed due to the advance of media. The icon as one of factor of GUI became the essential means for the efficient visual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icon is being increased as the smart phone is being popularized and developed. This icon is the trend changing newly from the Skeuomorphism showing the Concreteness recently to the Minimalism with the abstract and simple type. But its effect as the efficient visual communication has not been verified, the study concerning this is insufficient state as well. Accordingly, it aimed to verify the effect on the Concreteness and the abstractness of icon design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 has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icon design?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icon design? Third, does the abstractness of icon design induce the curiosity?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icon design? Fifth, does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icon design have the effect on the purchase? First, the mobile application, the characteristic of icon and the visual component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Skeuomorphism and the Minimalism have been analyzed to recognize the current design trend,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Icon have been considered. Thereafter, the icon design has been classified by dividing 4 stages with the expression of ‘realistic – concrete – iconic – abstract’ by the mode of expression. The current status by the current mode of expression has been investigated by collecting 1150 icons; the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of experimental group of user investigation has been prepared. Thereafter, the user investigation has been progress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argeting twenties-thirties. The evaluation for the icon design by the corresponding mode of expression has been implemented after presentation by manufacturing the prototype, the simple interview has been progressed after the evaluation. The preference of iconic icon appeared highest as the analysis result; it appeared to prefer the icon where the meaning is transmitted clearly. This shows that the selection of metaphor is important; the physical form of normal object should be utilized as the metaphor. The effect on the trend was incomplete. The simple form and expression as the factor feeling the satisfaction aesthetically have been derived. It showed the function to be recognized most rapid appeared as the concrete form, the form of object had to be maintained as the factor facilitat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Also, the abstractness has been verified to arouse the curiosity. It appeared that the memory was facilitated as the form of icon was as concrete as possible. Finally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of form did not have the influence on the purchase. This study considers the design of icon being the issue at present literarily; there is the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 effect on the user has been verified by each mode of expression by dividing into 5 kinds of sides a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the preference, the induction of curiosity, the purchasing influence and the easiness of mem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