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0 Download: 0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 연구

Title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Case of English News
Authors
홍정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지은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in media organizations operating in South Korea focusing on news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e act of translation has long been considered inferior and derivative compared to the act of original work production and translators have been seen as secondary to original authors, leaving the job without social and official position and degrading translators’ status. However, translation and translators may deserve more attention and improved status since they have played key roles in the evolution of human thought and intellectual life throughout the history, ranging from the invention of alphabets, the emergence of national literatures, the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the spread of religions(Delisle & Woodsworth 1995, ⅹⅳ). News translators, in particular, are under very complicated and peculiar conditions which can affect their role and status compared with translators in other fields. News translators are working for media organizations whose main business is producing original news texts based on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key task of reporters, not of translators. This means the act of translation, key task of translators, and therefore the role and status of translators are likely given less attention and recognition compared with the act of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and the role and status of reporters within media organizations(Vuorinen 1995; Tsai 2005). On the other hand, news translators have much in common with reporters in terms of tasks and required ability and attitudes(Goldscheider 2004; Gambier 2006). Also in news translation, authorship and status of source texts is likely disintegrated, and therefore fidelity to source texts is not given absolute value, possibly allowing translators more discretion to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than those in other fields(Stetting 1989; Bassnett 2006; Bielsa 2007; Bielsa & Bassnett 2009; Doorslaer 2010). These conflicting aspects of news translation highlight the need for in-depth and exhaustive exploration of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and are what motivated this study that sheds light on which role translators are playing in the process of news production and which status they are given in comparison with such role. This research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hich tasks news translators undertake and which discretion they exercise in the process of news translation, the key stage translators take part in among the four stages of news production which consist of news selection, news translation, news editing and news transmitting? Which tasks news translators undertake and which discretion they exercise in the other three stages of news production? What are translators’ overall working conditions and ident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other news production participants within media organization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ree types of research methods, namely interviews, textual analysis and surveys, were adopted. Such an integrated approach was taken in order to cover not only the textual but the extra-textual aspects surrounding news translators. These three research methods are implemented in stages, and throughout the stages, collected data was compared between translators and reporters involved in the news production to gauge more precis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Within the translator group, data from freelance and in-house translators were divided and compared. As for the analysis on the identity of translators and reporters, data from editors and desks working with each group were also included. In the first stage, a total of 14 professionals involved in news production such as translators, reporters, editors and desks were interviewed to gain the ideas of general news production process and working conditions of news translators in South Korea to set up more feasible research design and scope. The second stage, textual analysis, collected a total of 296 pairs of source texts and target texts which were then classified by five news translation strategies including deletion, addition, substitution, reorganization and synthesis, categories borrowed and adapted from the terms and concept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 on news translation(Hursti 2001; Gambier 2006; Bielsa & Bassnett 2009; Chen 2009, 2011; Bassnett 2011; Lu & Chen 2011).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ranslators’ and reporters’ intervention in and transformation of the classified texts was followed. The compared texts were then evaluated based on a few gauges of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borrowed and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ranslation Studies and Journalism, including intervention in and transformation of source texts when necessary as well as compliance with major principles of news writing and reporting(Mencher 1984; Reiss 1989; Lanson & Stephens 1994; Shoemaker & Reese 1996; Chesterman 1997; Missouri Group 2005). The third stage was surveys with a total of 44 news production professionals, also including translators, reporters, editors and desks, and asked questions regarding major indicators of job status, such as education and expertise, visibility, influence, income and identity, used in previous research in Translation Studies and Sociology(Edwards 1943; Blau & Duncan 1967; Dam & Zethsen 2008, 2009a, 2010, 2011, 2012; Sela-Sheffy 2008, 2010; Sela-Sheffy & Shlesinger 2008; Katan 2009a, 2009b; Koskinen 2009; Setton & Guo Liangliang 2011; Ruokonen 2013).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obtained from the three stages of methods are as follows. A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news translators undertake limited scope of tasks and exercise weaker discretion in terms of intervention in and transformation of source texts compared with reporters in the stage of news translation. The textual analysis showed that passive intervention in and minor transformation of source texts as well as violation of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are more noticeable and frequent in the texts produced by translators than those by reporters. Three elements can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found in the textu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urveys and interviews. The surveys revealed that translators hardly take part in news gathering and original news writing or combine and merge a number of source texts into a single text as opposed to reporters who are freely engaged in such activiti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ranslators have weaker discretion in producing texts within media organizations, and therefore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in a more passive manner than reporters. Interview findings suggested that the identity of translators perceived by themselves may also be attributed to the passive intervention and minor transformation since some of the translator respondents see it is beyond their authority to drastically and actively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to the extent which reporters do. In short, translators are not allowed to or not motivated to actively intervene in and drastically transform source texts. Concerning the explanation for the violation of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interviews found that translators are not given enough opportunities of trai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news writing and reporting by media organizations or not paying full attention to or giving much value on meeting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even if sufficient training and education is provided. Among the translators, in-house translators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in a more passive manner than freelance translators. This can indicate that the context of prototypical institutional translation in-house translators usually work, namely a circumstance where an official body uses translation as a means of speaking to a particular audience(Koskinen 2008, 22), may impose bigger constraints on translators than the context of peripheral institutional translation, a more loose definition of institutional translation which refers to a circumstance where translation takes place in or for specific organizations.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ranslators undertake limited scope of tasks and exercise weaker discretion also in terms of visibility, influence and autonomy compared with reporters in the stages of news production other than news translation. And the limited tasks and weaker discretion was shown to be attributed to the dichotomous views of media organizations as well as of translators and reporters which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 ability, expertise and role expected and required for each professional group. For example, as for a survey question on the news production stages respondents are mainly involved in except news translation, nearly 70 percent of translators selected news editing, a task which requires linguistic ability and expertise while 87 percent of reporters chose news selection, a task which calls for ability to judge news value. This suggests media organizations assign different and separate tasks for translators and reporters possibly based on the dichotomous views. About a survey question on the interaction with other news production professionals, translators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fewer number of news production stages than reporters, indicating weaker visibility. Paradoxically, translators communicate with others more frequently in the stage of news translation, their key task, compared with reporters. The result suggests that translators may be more influenced by or dependent on others in carrying out their key task than reporters, and therefore exercise weaker influence or autonomy within media organizations. Within the translator group, in-house translators face bigger constraints and exercise weaker influence or autonomy than freelancers, supporting the finding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troduced above. Concerning the third research question, huge gap was found between translators and reporters in overall working conditions and ident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other news production participants within media organizations. Survey results showed that both translators and reporters believe a professional involved in news transl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a journalist(63% and 93% respectively), but in reality most of translators(84%) tend to play the role of a translation expert while a majority of reporters(73%) play the role of a journalist which corresponds to their ideal. This suggests that translators may face stronger constraints which prevent or discourage them from playing what they believe is an ideal role. As for a survey question on the influence and status respondents think they have within media organizations, translators scored lower than reporters, indicating that translators own perception of weak influence and low status may be one of the constraints. This perception can prompt translators to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mselves and reporters concerning the scope of tasks and the extent of discretion in the overall stages of news production, resulting in translators’ passive intervention in and minor translation of source texts as shown in the finding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ranslators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compared with reporters in terms of job security, financial and non-financial compensation, chances of promotion and training or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terviews and surveys. Translators tend to work on a contract basis than reporters all of whom are permanent workers. Translators are given fewer chances of promotion which can help them land in a more influential position within media organizations. They also lack training or education opportunities. The poor working conditions can explain translators’ perception of weak influence and low status shown in the surveys as well as violation of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found in textual analysis. Translators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reporters, which may be affected by weak influence and low status as well as poor working conditions. Within the translator group, more freelance translators see the role of a journalist as ideal and actually play such a role than in-house translators. However, freelancers are under worse working conditions than in-house translators in general, suggesting freelancers may not be give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their relatively active role as a journalist deserve.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in terms of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in media organizations operating in South Korea. News translators are playing a limited role and exercise weaker influence, visibility and autonomy, which are indicators of power, compared with reporters in the overall stages of news production. News translators see their influence and status lower than those of reporters and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compared to reporters within media organizations. In short, news translators in South Korea are playing a limited role and have lower status compared with reporters. This research also identified a possible main cause of the limited role and low status of news translators and offers a few proposals to fix the cause and ultimately enhance their status. The integration of three types of research methods helped find that insu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led to little knowledge of news writing and reporting among news translators, and therefore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ir own products, discouraging them to play an active role. This can affect the quality of their products as textual analysis showed in some cases of violation of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and therefore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translators within media organizations. That means effective and su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much in need as a first step to ultimately enhance news translators’ status. To b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xecuted in a bilateral manner based on active feedback from editors or desks and free communications between translators and these professionals. Media organizations are recommended to designate qualified trainers among desks or editors with long-term experience to provide translators with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professionals involved in news production, not just news translation but news writing and reporting, and revise translators’ products. Training translators under the news writing and reporting program prepared for cub reporters can make a practical and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ir part, graduate schools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may offer a practicum that sensitizes students’ awareness about the key features of news articles’ text type and the principles of news writing and report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inform researchers not only in Translation Studies but other closely related disciplinary areas such as Sociology and Journalism, not to mention practitioners in the relevant field. The expected benefits and valu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This study, as one of the rare attempts to look into the status of translators in South Korea, will help not only expand and deepen the research topic in Translation Studies as well as other disciplinary areas. Contribution to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is also expected since it compares various aspects of news translators with those of reporters and includes the voices from editors and desks to cover a wide range of factors and multi-layered structures that may affect translators and their activities in terms of the role and status whereas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 analyzing texts produced by translators and data collected from translators. This study can also offer useful data not only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on the role and status of translators in various fields, but to help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training and education institutions better understand and prepare for the real working environment of news translation. Given that understanding translators’ task would inevitably result in a better appreciation of their social position(Vermeer 1994, 14), this research, by expanding our knowledge of news translators’ tasks, interactions with other news translation participants, overall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ident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other participants, is expected to help pave the way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in the long-term. Despite these expected contribution, however,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require further research to improve validity and generalizability. The number of respondents for interviews and surveys, which is 14 and 44 respectively, may be small and needs to be expanded to unveil more complicated and various factors and conditions affecting translators’ role and status that this study may have missed. Researcher’s own evaluation of texts against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can be complemented with surveys, interviews or experiments with news readers or editors and desks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researcher’s subjectivity and bias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textual analysis. The language combination and translation fields can be expanded and diversified from this study’s focus of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d news translation to enrich research areas on the role and status of translators in general.;본 연구는 국내 언론사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를 전반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번역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번역사 지위 개선의 출발점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번역은 오랜 기간 동안 원문 생산에 비해 파생적이고 열등한 활동으로 번역사는 원저자에 비해 부차적인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며 따라서 직업으로서의 사회적, 공식적 위치도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했다. 번역사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 역시 이러한 인식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번역이 언어와 국민 문학 발전, 지식과 종교 전파에 기여하는 등 수 천년 동안 인류의 문명과 문 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음을 감안할 때 번역이라는 활동과 번역사의 역할에 대한 사회 적 이해를 높일 경우 번역사에 대한 인식은 개선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이들의 지위 향상 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번역과 번역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관심 제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번역사의 지위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특히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언론사 내에서 기자, 에디터, 데스크 등 여러 주체와 다양하고 복잡한 단계를 통해 의사소통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뉴스 번역사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에게는 어떠한 지위가 부여되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번역학 내 번역사 지위 연구의 양적, 질적 공백을 메우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뉴스 번역사들이 뉴스 번역 과정에서 수행하는 업무와 발휘하거나 부여 받은 권한을 조사하고 둘째 뉴스 번역 외의 국 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뉴스 번역사가 수행하는 업무와 발휘하거나 부여 받은 권한을 고찰하며 셋째 언론사 내 뉴스 번역사에 대한 인식과 근로조건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언론사 내 뉴스 번역 사들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예비조사 차원의 인터뷰, 본 조 사인 텍스트 분석과 설문조사 등 세 가지를 병행함으로써 텍스트 내적 측면은 물론 텍스트 외적 측면까지 다각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와 함께 언론사 내에서 뉴스 번역사들과 수행하는 업무가 유사한 기자와의 비교라는 접근법을 택해 번역사의 지위를 좀 더 정교하게 측정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이러한 방법을 통해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 번역 과정에서 번역사들은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이들이 발휘하거나 이들에게 부여된 역할 범위 및 권한 역시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분석에서 국내 8개 언론사의 번역사와 기자가 생산한 한국어 및 영어 ST-TT 총 296쌍을 번역 전략 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각 주체의 개입 및 변형 양상을 질적, 양적으로 비교한 결과 번역사들은 일부 뉴스 번역 과정에서는 비교적 적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면서 뉴스 번역에 대한 기대 규범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기사를 생산하고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기자에 비해 소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고 있었으며 보도 원칙과 같은 윤리적 기대 규범에 대한 지식이나 인식 부족을 드러내기도 했다. 설문조사에서는 번역사와 기자의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이 이처럼 차이를 보이는 원인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언론사 내에서 언론사가 번역사와 기자에 허용하는 텍스트 개입 유형 및 범위를 조사한 결과 번역사에게는 기사 취재 및 작성 활동이 전혀 허용되지 않으며(0%, 0명) 여러 개의 ST를 종합할 수 있는 권한 역시 거의 주어지지 않고 있음을(21%, 4명) 알 수 있었다. 반면 기자들 사이에는 허용되는 개입 유형 및 범위로 기사 취재 및 작성과 종합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기자는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기사 취재 및 작성과 종합 활동이 번역사에 게는 거의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번역사 번역 텍스트에서 직접 취재 활동을 통한 정 보 첨가 양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종합 전략의 빈도 및 종합을 위해 사용한 ST의 수가 기자 번역 텍스트에 비해 적었던 텍스트 분석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즉 뉴스 번역 과정에서 번역사에게는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텍스트 개입 권한만 허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번역사는 실제로도 기자보다 소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뷰 결과 언론사가 번역사에게 특정 유형의 텍스트 개입 권한을 허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번역사 역시 번역사와 기자의 텍스트 개입 권한이나 범위를 다른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언론사의 허용 여부는 물론 번역사의 인식 역시 번역사와 기자 간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의 차이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번역사 가운데는 프리랜서 번역사보다 인하우스 번역사의 텍스트 개입 양상 및 권한이 좀 더 약한 것으로 나타나 제도번역 중에서도 원형적 제도번역 여건이 주변적 제도번역 여건보다 번 역사들에게 좀 더 강한 제약으로 작용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사 선정, 기사 편집 및 감수, 기사 출고 등 뉴스 번역을 제외한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번역사의 업무와 권한은 번역사, 기자, 에디터 등 총 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하되 인터뷰에서 얻은 자료 역시 적절히 활용해 고찰해보았다. 조사 결과 뉴스 번역 외의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도 번역사는 기자보다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가시성, 영향력, 자율성, 즉 권한 역시 기자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제한적 역할과 권한은 번역사와 기자의 능력 및 전문성, 역할에 대한 언론사 또는 번역사와 기자 스스로의 이분법적 인 식 및 기대에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담당하는 업무와 관련해서 번역사는 텍스트의 형태를 결정하는 편집 및 감수를, 기자는 뉴스 소재 자체를 선택하는 기사 선정을 주요 업무로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는 각 언론사가 번역사는 언어적 측면에서, 기자는 뉴스 가치 판단에서 능력 및 전문성이 있다고 보면서 각 주체 의 역할에 대해서도 이분법적인 인식과 기대를 갖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일 수 있다. 담당 업무뿐 아니라 다른 국제 뉴스 생산 주체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도 번역사와 기자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번역사는 기자에 비해 적은 단계에서 다른 주체들과 의사소통 하는 등 가시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 업무인 뉴스 번역 단계에서는 기자에 비해 의사소통이 자주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번역사가 기자보다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다른 주체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즉 기자에 비해 영향력과 자율성이 떨어짐을 시사한다. 한편 번역사 중에서는 인하우스 번역사가 프리랜서 번역사보다 번역 지침의 제약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핵심 업무에서의 영향력 및 자율성도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되면서 뉴스 번역 외의 국 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도 제도성에 따른 제약의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언론사 내 번역사와 기자에 대한 인식과 근로조건 역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하되 인터뷰 결과를 통해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검토했으며 이를 통해 번역사와 기자 간에는 스스로의 역할, 영향력 및 지위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인 근로조건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사들은 이상적인 뉴스 번역사의 역할을 언론인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는 번역 전문가 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 기자들은 언론인이라는 이상대로 실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번역사가 기자보다 강한 제약을 받고 있거나 그 밖의 이유로 스스로 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수행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 한다. 아울러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행사하는 영향력과 언론사 내에서의 전반적 지위에 대한 자기 인식에서 번역사가 기자보다 크게 낮은 점수를 기록함으로써 번역사가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거나 못하는 데에 번역사 스스로의 인식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국 번역사는 스스로의 영향력과 지위를 기자보다 낮은 것으로 인식하면서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않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인식은 나아가 번역사가 번역사 와 기자의 텍스트 개입 권한이나 범위를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뉴스 번역 과정에서 이들의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텍스트 분석에서 번역사 사이에 기자보다 소극적인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이 나타난 것 역시 이러한 인식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고용 안정성, 물질적 및 비물질적 처우, 가시성, 영향력, 만족도 등 전반적인 근로조건 역시 번 역사가 기자에 비해 열악했다. 번역사 사이에는 기자에 비해 계약직 비율이 높게 나타나면서 고 용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졌고 급여 등의 물질적 처우는 물론 교육 및 연수 기회와 같은 비 물질적 처우도 기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역사는 기자에 비해 재택 근무 비율이 높아 가시성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승진을 통해 조직 내에서 좀 더 영향력 있는 위치에 오를 수 있는 기회 역시 부족했다. 직업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번역사는 기자보다 훨씬 낮은 점수를 기록했는데 특히 불만족의 이유로 기자는 비생산성이나 커뮤니케이션 문제 등 소속 조직 특유의 문제를 꼽은 반면 번역사는 보수, 고용 불안정성과 같은 근로조건, 인식, 영향력 및 권한, 가시성 등 직업 자체 와 관련된 요소들을 꼽았다는 점은 번역사 사이에 직업에 대한 불만족이 매우 강하게 자리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하우스 번역사와 프리랜서 번역사 간에는 인식과 근로조건 측면에서도 차이가 관찰되었다. 프리랜서 번역사는 인하우스 번역사보다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중시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그러 한 역할을 좀 더 활발히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받는 처우는 인하우 스 번역사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프리랜서 번역사들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그에 맞는 처우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 본 연구가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사들은 일부 뉴스 번역 과정에서는 비교적 적극적이고 자율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어느 정도 보도 관행에 부합하는 기사를 생산하고 있었으나 뉴스 번역을 비롯한 국제 뉴스 생산 과정 전반에 걸쳐서는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영향력, 가시성, 자율성 등 의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권한을 발휘하거나 부여 받고 있다. 둘째 번역사 스스로도 자 신의 영향력과 지위를 기자보다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전반적인 근로조건 역시 번역사가 기자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내 언론사의 뉴스 번역사들은 국제 뉴스 생산 과정 에서 유사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위 역시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다. 뉴스 번역에서는 보도 관행으로 대변되는 텍스트적 원칙 및 윤리적 원칙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에 과감하게 개입하는 것이 기대 규범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번역사들이 이처럼 제한적인 역할만 수행할 경우 이들이 생산하는 번역 결과물의 품질과 이들에 대한 언론사 의 인식이 저하되면서 번역사의 언론사 내 지위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뉴스 번 역사의 역할과 지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요인들을 감안할 때 이들의 지위 개선을 위해서는 번역사의 능력 및 전문성과 역할 범위에 대한 언론사와 번역사 모두의 인 식과 태도 전환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인식과 태도를 바꾸는 것은 단기 내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본 연구는 그 출발점으로 보도 관행에 대 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스크 또는 에디터와의 활발한 의사소통과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보도 관행에 대한 양방향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이를 위해 언론사 또는 번역 조직 차원에서 데스크나 경력이 일정 기간 이상인 에디터를 지정해 번역사의 번역 결과물을 수정하고 지도하도록 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언론사 또는 번역 조직 차원에서 번역사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 대부분의 언론사가 수습 기자를 위해 제공하고 있는 기사 작성 교 육 프로그램에 번역사들을 참여시키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전문 번역사 양성 기관인 통역 번역대학원 역시 작문 또는 기술 번역 과목의 일부로 뉴스 텍스트 유형의 특징과 기사 작성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전달한 뒤 학생들이 이를 실제로 번역에 적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마련에 앞서 번역사 스스로도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할 때 실제로 참고하는 국내외 언론사의 보도 지침 등을 활용해 보도 관행을 충분히 숙지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를 인터뷰, 텍스트 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다각도로 고찰한 본 연구는 연구 주제 및 방법 측면에서 번역학 내 번역사 지위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것 은 물론 뉴스 번역에 관심이 있는 번역사와 시장에서 원하는 번역사를 양성해야 하는 교육기관에 실무를 대비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학과 번역학 내 지위 연구를 접목해 번역사의 지위 측정을 위한 일련의 지표를 마련함으로써 번역학 또는 직업사회학 내 후속 연구에 유용한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뉴스 번역과 뉴스 번역사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언론학계와 언론업계의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를 마 련했다는 측면에서 다학제적 가치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도한 접근법이 번역사에 대한 인 식 제고와 번역사 지위 개선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