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고등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 인식 및 교사의 직업 수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고등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 인식 및 교사의 직업 수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EAM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MART Learning on the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Class Management of Teachers
Authors
송은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스마트 기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이 확산됨에 따라 교육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사회로의 변화추세에 맞추어 교육적 패러다임도 학생중심, 활동중심의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21세기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요구하는 융․복합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장애학생들도 교육의 내용과 환경의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특수교육계에서도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이나 스마트러닝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 학습면에서의 적용효과 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영역의 융합은 장애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교과와 관련된 문제해결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갖출 수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스마트러닝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STEAM 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장점을 고려할 때, 스마트러닝과 STEAM 교육은 실생활과 연계성이 높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문제해결력이 요구되는 직업교과에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과 STEAM 교육의 직업교과와의 연계 가능성을 고려하여 장애학생들을 위해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함으로써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고등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직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직업 수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재에 사용된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들에게 직업교과와 연계된 과학, 수학, 기술․가정, 예술 분야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갖게 하며 융합적 소양(STEAM literacy)인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STEAM 교육의 학습준거인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의 3단계에 스마트러닝 요소 기술, 다양한 앱 및 스마트러닝 전략 등을 접목시켜 특수학급 고등학생들에게 직업교과를 지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교육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S, W시에 위치한 6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학생들은 지능지수와 학년을 고려한 짝짓기 방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총 11명(실험집단 6명(연구자 포함), 통제집단 5명)이었다. 중재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인식에 대해 사전검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 교사들에게는 교사연수가 실시되었다. 중재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기본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직업교과)활동을 적용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직업시간에 공통의 수업지도안을 토대로 주 1-2회씩(1회기 당 3시간) 총 16회기로 진행되었다. 중재 중반에 실험집단 교사들에 대한 포커스그룹 면담이 1회 실시되었다. 중재 실시 후에는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장애학생들에게 사후검사가 이루어졌으며, 중재 후에 실험집단 교사들에 대한 포커스그룹 면담과 개별면담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장애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직업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차이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특수 교사들의 직업수업 운영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포커스그룹 면담 및 개별면담 자료와 교사일지를 지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장애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의 변화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직업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에서 비판성을 제외한 호기심, 협동심, 자발성, 정확성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장애학생들의 직업 인식의 변화정도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들의 직업 인식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직업 인식의 하위영역인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에 참여한 교사들의 직업 수업 운영과 관련된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개의 대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5개의 대주제로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실제적인 직업 수업 운영, 학생의 긍정적인 변화, 교사의 역량강화, 가정과의 협력 증진,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 관련 지원요구가 포함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장애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 스마트러닝과 STEAM 교육을 접목하여 직업 수업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교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 가족과 장애학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는 주로 일반교육계에서 연구되어 왔던 스마트러닝과 STEAM 교육을 장애학생을 위한 직업교과에 접목하여 특수학급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경도 지적장애학생들을 위한 STEAM 교육과 스마트러닝의 효과를 검증하고,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과정 통합 및 융합을 모색할 수 있는 교수방법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토대로 스마트러닝 및 STEAM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STEAM 교육 및 스마트러닝 연구가 아직 초보적인 단계임을 고려할 때, 스마트러닝 및 STEAM 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보다 실질적인 영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러닝 및 STEAM 교육의 효과 검증이 다방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As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smart devices is being expanded due to the recent spread of smart devic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also changing quickly. According to this change trend to smart society, the educational paradigm faces the fusion, complex era which requires the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21stcentury based on the student-centered and activity-centered constructionism. In this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ne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are able to make themselves respon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changes of their environments actively. Given that the effect of the current demands for SMART learning and the fusion education affec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will be able to be connected to real life-connected technical subjects and vocational classes requiring problem solving skills in various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EAM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MART learning and implement th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ffect their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awar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class management of teachers STEAM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MART was design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 on Science, Math, Technological Home Economics, and Art which are affiliated with the job. The program included the SMART learning element technology, a variety of applications and SMART learning strategy to 3 stages of ‘Situational Presentation’, ‘Creativity Design’, ‘Emotional Experience’ which are the learning criterion of STEAM education that helps students to raise the self-leading learning, problem solving skills as fusion knowledge(STEAM literacy) to guide the vocational subjec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from 6 high schools located in S and W cities in Gyunggi provinces.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ose number was 20 respectively,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on their intelligence and grade index.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11(6 teachers for experimental group(including the researcher) and 5 teachers for the control group). The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intervention was started. The teacher’s training was provided for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EAM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MART learning was implemented for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school choice-centered curriculum(professional subjects)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6 sessions once or twice time a week based on common lesson plans during the vocational class.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middle of intervention. The post–test regarding attitudes toward vocational classes and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oth groups was examine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same with pre-test.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were also conducted with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after the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test in order to the change of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vocational class management of teachers, the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 materials and teachers’ daily journals about instruction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 chang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the vocational class. That is, the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of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related on curiosity, cooperation, spontaneity, and accuracy except for criticism and also that of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sub-domains of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 degrees of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at is, the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determinancy, finality, certainty, readiness, and independency which were the sub-domain of career awareness wer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es on vocational class management of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5 themes and 18 sub-themes were emerged including the vocational class management connected to the school curriculum’s positive chang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motion of collaboration with students’ families, empowerment of teachers’ capacities, and needs regarding STEAM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MART learning. Through these study results, we could know that STEAM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MART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management of vocational class. Especially,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research in that the SMART and STEAM education are connected with vocational subject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igh schools. as well as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 methods which allow curriculum convergence and fusion education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on the basis of teacher’s experience and the need.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can introduce the basic materials about SMART or STEAM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Given that STEAM education and smart learning stud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still in the beginning step in domestic level, further effor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AM education and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