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루카스 포스(Lukas Foss)의 『타임 사이클(Time Cycle)』 (1960)의 구조에 관한 분석연구

Title
루카스 포스(Lukas Foss)의 『타임 사이클(Time Cycle)』 (1960)의 구조에 관한 분석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tructure of Time Cycle (1960) by Lukas Foss : Focusing on Pitch Organization
Authors
김원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안소영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ime Cycle (1960) by Lukas Foss (1922-2009). Working in varied musical styles ranging from the neo-classicism to the avant-garde, the German-born American composer sought to explore various timbres and composing techniques such as tonal and atonal music, improvisation, chance music, music quotation, minimalism and electronic music. In the body of work comprised from around a hundred and fifty pieces of orchestral, chamber, solo instrumental, choral, solo vocal, keyboard and dramatic music, Foss never limited himself to a single musical style, experimenting with ever diverse techniques like niente playing and controlled-ch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Foss’s musical language by exposing the organization of Time Cycle's elements that are used to convey the texts’meaning. This is demonstrated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oherent nature of the four movements as a song cycle and an analysis of the way the musical parameters are systemized centering on the pitch system. Throughout the music of his early period, Foss maintained a neo-classical style with its traditional form and tonality until around 1960 when his style took a radical shift towards atonal music and the composer began experimenting with new techniques and tonalities in the avant-garde trend. As a crucial turning point in his stylistic evolution and also as the first work in which Foss ever used twelve-tone system, Time Cycle provides suitable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musical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Foss’s works when he began adopting more experimental techniques. While most previous studies on Time Cycle have taken on a more general approach or have been focused on improvisational aspects of the work, the present study seeks to elucidate Foss’s musical language in analyzing in detail how the different musical elements organize into a system. Time Cycle was composed in 1960 using texts by four writers: W. H. Auden, A. E. Housman, F. Kafka and F. Nietzsche. In setting the texts and treating the different musical elements, the piece is organized systematically into an atonal language. The only elements common to all four songs is the pitch class set from four pitches –A, B, C♯D♯– and the literary theme that includes the ideas of "time" and the "clock". This study divides into two parts: Part I explores the diverse background of Foss’s life and works and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as well as in the characteristics of Time Cycle, emphasizing the setting of the texts. Part II is first focuses on analyzing and comprehending the overall composition of Time Cycle and how the structure of pitch and elements are organized in each movement according to its form, theme and its development. Second, it then analyzes the coherence of the work by reviewing the interconnectivity of the four movements from various angles, finally realizing Foss’s compositional language used to show the meaning of the texts. In summary,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Time Cycle is structured on a pattern derived from its text and that its theme, from the set class 4-21 (0246), develops through each tone row with the implicit pitch-class set. It also shows that the musical parameters help convey the meaning of the text and reinforce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piece through that interaction. The four songs maintain consistency through the presence of shared elements, while structural coherence is achieved through symmetry, motivic repetition in adjoining songs and their contrasting arrangement; the whole is organized into a song cycle by the formation of a circulating link from the joining of the major pitch-classes. In Time Cycle, Foss achieves his own musical cycle of time by constructing a circulating structure of elements, capitalizing on the themes of collapse and reestablishment of time present in the texts.;본 연구는 루카스 포스(Lukas Foss, 1922-2009)의 소프라노와 관현악을 위한 네 개의 노래 『타임 사이클(Time Cycle)』 (1960)에 대한 작품 분석이다. 독일 태생의 미국 작곡가인 포스는 신고전주의에서 아방가르드에 이르는 폭 넓은 음악적 양식 안에서 조성과 무조성, 즉흥연주 우연성음악, 인용음악, 미니멀리즘, 전자음악 등의 다양한 작곡 기법 및 음색에 대한 새로운 탐구를 추구하였다. 그는 관현악, 실내악, 합창, 독창, 건반악기, 그리고, 극음악 등 150여개의 작품을 작곡하는 동안 한 가지 양식에 머물러 있지 않았고, 니엔테 연주(Niente Playing), 제어된 우연성(Controlled-chance) 등을 비롯한 새로운 기법을 끊임없이 실험한 작곡가이다. 포스는 작곡 초기 전통적 형식과 조성을 가진 신고전주의 양식을 유지하였고, 1960년 전후로 음악 양식의 급격한 변화가 생기며 무조성의 길로 들어서 새로운 기법들과 음색을 시도하는 아방가르드 경향으로 향하게 된다. 『타임 사이클』은 포스의 작곡 양식 변화의 가장 큰 전환점이 되었으며, 그가 처음으로 12음 개념을 도입한 작품으로, 실험적인 기법을 시도하는 초반 포스의 음악 어법을 파악하기에 좋은 소재가 된다. 지금까지의 『타임 사이클』 연구는 개괄적이거나 작품에 포함되었던 즉흥연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타임 사이클』에 나타난 음악적 재료들의 조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포스의 음악어법을 밝히도록 한다. 『타임 사이클』은 1960년에 작곡된 음악으로, 네 명의 시인, 오든(W. H. Auden), 하우스만(A. E. Housman), 카프카(F. Kafka), 그리고 니체(F. Nietzsche)의 문학작품이 가사로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가사를 표현하고 음악적 요소들을 다루는 것에서 무조성의 체계에서 조직화되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공통점은 음고류 집합 {9,E,1,3}인 A, B, C♯, D♯ 네 음과 ‘시간’ 및 ‘시계’를 포함하는 가사의 문학적 동기가 있을 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임 사이클』을 음조직을 중심으로 하여 음악적 매개변수들의 결합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네 곡이 연곡으로서 어떠한 응집성을 갖는지 고찰하여, 가사를 표현하며 ‘타임 사이클’이라는 구조를 형성하는 포스의 음악어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는 『타임 사이클』의 배경과 작품 분석으로 나누어 전개한다. 배경에서는 포스의 생애와 작품의 시기별 특징, 그리고 『타임 사이클』의 특징과 가사의 특징을 다룬다. 작품 분석은 전체 구성을 파악하고, 각 곡별로 나누어 형식, 주제, 주제의 발전에 따른 음조직과 음악적 요소들과의 조직화 방법을 밝힌다. 각 곡의 분석 이후 네 곡의 연관성을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타임 사이클』을 연곡으로 응집성을 분석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가사의 의미를 음악적으로 구현화하는 포스의 음악어법을 밝힌다. 작품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타임 사이클』은 가사에서 기인한 형식을 바탕으로 설정되었으며, 주제는 A, B, C♯, D♯ 네 음과 그 집합류 SC4-21(0246)에서 파생되어 형성되어 각 음렬과 주제에 내포된 음집합의 관계집합을 통해 발전된다. 음악적 매개변수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가사를 표현하며 형식과 구조를 강화하도록 사용되었다. 네 곡들은 공통된 요소로 일관성을 유지하며, 대칭구조와 인접한 곡들 간의 동기적 재현 및 대조적인 배치로 구조적 응집성을 갖고, 주요 음고류들의 연결로 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며 연곡으로 구조화된다. 포스는 가사에서 제시하는 시간이 무너지고 재정립되는 내용을 음악적 요소를 사용하여 순환의 구조로 구축하여 시간의 순환, 즉 ‘타임 사이클’을 완성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