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인천지역 주민의 건강정보 노출정도 및 수용정도와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Title
인천지역 주민의 건강정보 노출정도 및 수용정도와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Authors
양선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인천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노출정도 및 수용정도와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건강행동과 관련된 건강정보제공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 지역 내 2개 구청을 방문하여 20대에서 50대까지의 성인 18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교육수준, 직업, 소득, 혼인 상태, 거주 형태,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관심도) 9문항, 건강정보 노출정도(13개 매체별 건강정보 노출정도) 13문항, 건강정보 수용정도(13개 매체별 주의집중, 흥미, 이해, 습득, 수용, 기억) 78문항, 건강행동(흡연, 음주, 운동, 수면, 아침식사, 간식여부, 체중) 7문항으로 총 4개 영역의 10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단순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정보 노출정도 평균은 1.93±0.56, 건강정보 수용정도 평균은 13.83±2.95, 건강행동 평균은 16.00±1.93이었다. 건강정보 노출정도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t=-2.596*), 건강관심도(F=3.174*)였고, 건강정보 수용정도에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t=-2.040*), 건강관심도(F=2.854*)였다. 건강행동에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t=-.510**),연령(F=7.432**) 직업(F=2.824*), 혼인상태(F=2.084*), 건강관심도(F=5.808**)였다. <참고5>와 같이 건강정보 수용정도와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은 신문(r=.302**), 잡지(r=.168*), 라디오(r=.187*), TV(r=.177*), E-mail(r=.15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신문을 제외한 네 개 매체의 상관계수는 매우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정보 노출정도, 수용정도,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을 볼 때, 건강정보 노출정도와 건강정보 수용정도 간의 관련성은 높게 나타났으나(r=.465**), 건강정보 노출정도와 건강행동간의 관련성은 유의미하지 않았고(r=.069), 건강행동과 수용정도간의 관련성은 약한 상관성을 보였다(r=.185*).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05*), 연령(β=.344**), 건강관심도(β=.260**), 건강정보 수용정도(β=.155*)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석됐고, 매체 중에서는 신문의 건강정보 수용정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β=.248**).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정보전달에 있어, 단순히 노출 정도만 증가시키는 것 보다 건강 정보에 대한 수용 정도를 함께 증가시키는 방안을 고려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매체별로 봤을 때, 건강정보에 있어서 뉴미디어 보다는 전통적 매체인 신문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전달했을 때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문이 가지고 있는 신뢰성이나 정보저장이 가능한 인쇄매체라는 측면에서의 장점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단면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건강정보와 건강행동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건강정보 관련 연구들이 건강정보 이용에만 치우쳐있었던 데 비해, 본 연구는 노출된 건강정보에 대한 대상자들의 수용정도와 건강행동수준간의 관련성을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하나의 매체에 치우쳐서 연구가 이루어 진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매체들을 포괄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is study's objective i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related with health behavior, analyzing the relatedness between degree of exposure and acceptance toward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for residents in Incheon, was performed with 180 participants from 20s to 50s years old at two district offices in Incheon. The research tool is comprised of 9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gender, age, education level, vocation, income, marital status, residential type,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health consciousness), 13 questions about degree of exposure to health information(frequencies of exposure to health information by 13 kinds of media), 78 questions about degree of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concentration, interest, understanding, acquisition, acceptance, recollection occurred by 13 kinds of media), and 7 questions about health behavior(smoking, drinking, workout, sleep, breakfast, snack, weight), total 107 questions of 4 part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1.0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exposure degree of the subjects was 1.93±0.56,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degree was 13.83±2.95, and the average of health behavior was 16.00±1.93.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exposure were gender(t=-2.596*) and health consciousness(F=3.174*),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verage of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were gender(t=-2.040*), and health consciousness(F=2.85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health behavior were gender(t=-.510**), age(F=7.432**), vocation(F=2.824*), marital status(F=2.084*), and health consciousness(F=5.808**). As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and health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vity in newspaper(r=.302**), magazine(r=.168*), radio(r=.187*), TV(r=.177*), and E-mail(r=.153*). However,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the four media except newspaper showed very weak correlativity.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cceptance, and health behavior, the relatedness between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nd acceptance was high(r=.465**),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nd health behavior was not significant(r=.069). The relatedness between health behavior and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showed weak relatedness(r=.185*). Factors which affect health behavio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gender(β=.205*), age(β=.344**), health consciousness(β=.260**), and the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of newspaper was only statistically meaningful(β=.248**) among media. According to these results, with regard to health information delivery for developing health behavior,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deliver information considering ways to increase acceptance toward health information than to increase exposure only. Furthermore, depending on media, it was more effective to deliver health information through newspaper, which is a traditional media, than to deliver them through new media. This is because of the advantages that newspaper has, such as reliability and the fact that it is printed media which can save information. There are some difficulty explaining direc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cross-section research through a survey. However,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tudies which were focused on using health inform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exposed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 Moreove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which were focused on only one media,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different levels of med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