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44 Download: 0

자연생태체험놀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연생태체험놀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nature-friendly attitude of disabled children
Authors
김미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위한 자연생태체험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의사소통기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떤 영양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K구에 위치한 장애전문 어린이집의 방과 후 교실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1회 총 10주에 걸쳐, 자연생태체험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장애아동의 의사소통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특수교육원의 김영환(1999)등이 제시한 ‘발달장애학생 언어교육 프로그램개발 기초 연구’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능 10개항을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연친화적 태도는 Museer와 Diamond가 1999년에 제작한 CATES-PV(The Childer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 수정하고, 소경희(2007)가 일부 보완한 것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장애아동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생태체험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기능 능력은 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향상되었다. 즉 몸짓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발달지체 아동인 그룹1의 경우 인사하기와 관심요구 등의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저항·거부 및 자해 행동을 하던 아동의 자해 행동의 빈도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한 단어로 자신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그룹2 아동들은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자신의 활동을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이면서 두 세 마디의 언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그룹3의 아동들의 경우 의사소통기능의 각 하위영역에서 모두 향상된 수준을 나타내 다른 그룹 아동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연생태체험놀이 참여는 여러 유형의 장애 아동들의 적응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자폐아동인 그룹4의 아동들은 언어사용 능력이 다양한데 이에 따른 아동별 특징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룹4의 아동들은 대부분의 하위항목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특히 저항 · 거부, 선택적 의사소통, 타인에게 집중하기 등 항목에서 효과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자연생태체험 프로그램은 숲에서 놀이를 하면서 숲의 많은 재료와 물질을 경험하게 하여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 기술에 중요한 동기부여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연생태체험 프로그램은 장애아동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연을 두려운 존재로 보거나 무서워하던 태도는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 생명 존중에 대한 태도로 인식 변화를 보였다. 아동 스스로가 숲에서 편안함을 느끼며, 자연 환경에서 자유로운 놀이표현을 하게 되어 인공적인 환경보다 자연적 환경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연은 정서적인 긴장감 감소를 이끌어 내어 장애아동들에게 자연을 친근하고 즐거운 놀이장소로 인식하도록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들의 자연생태체험놀이는 1회성의 프로그램이 아닌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체험활동이 중요하다. 둘째, 휠체어를 이용하는 뇌성마비 아동들은 이동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연체험활동 참여를 하지 못하였다. 장애아동들 사이에서도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참여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장애의 형태에 따라 골고루 자연체험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준비가 필요하다.;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how the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for disabled children would affect their communication and nature-friendly attitude. Subjects of the study are fifteen disabled children who attend after-school lesson of a day care center located on K-gu, Seoul. This study progressed the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once a week for ten weeks. To find out communicating function of disabled children, ten communicating function items from ‘The Fundamental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for Developmental Disorder Students’ suggested by Young Hwan Kim(1999) from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ocial Education are supplemented and amended. To analyze nature-friendly attitude of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used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designed by Museer and Diamond in 1999 which was adapted and revised by Yoon Jung Huh(2001) then supplemented partially by Gyeong Hee So(2007) after being supplemented and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communicating function abilities of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are improv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Group-1 consisted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express themselves by gestures showed positive changes of subordinate scope such as greeting, requirement of concern, and so on. Frequency of self-injury is decreased among children with resistance, refusal, and self-injury. Group-2 consisted of children who express themselves with a single wor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ctively, and the children tried to make surrounding people know their activities. In case of Group-3 consisted of children who are mental retardation and able to communicate with two or three words, the children are improved in every subordinate scope of communicating function, thus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refore, participation in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daptive behavior of various types of disabled children. Group-4 consisted of autistic children have a variety of language use ability, for this reas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re strongly reflected in the outcome. Group-4 showed some positive effects on majority of subordinate scope, especially on items such as resistance, refusal, optional communication, concentration on others, and so on. Thus the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causes interests and concern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experience with different materials of forest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an important motivation of communication skill to disabled children. Second,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nature-friendly attitude of disabled children. Cognition of disabled children is changed fear into concern, love, and respect of life as seeing nature. The children felt free to be in forest by themselves, and they preferred natural environment to artificial environment because of unconstrained play expression in nature. In other words, nature leads a decrease in emotional tension of disabled children and helps the children to appreciate the nature as a friendly and pleased plac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 has to be continuous, regular, and long-term instead of being once. Seco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use a wheelchair could not participate in nature experience activity because of difficult movement. A systematic preparation is required to provide a fai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nature experience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y because there are problems with various reasons among disabl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